[스크랩] 한비자 내저설상편(內儲說_). 설一 1. 먼저 한비자의 원문 전체를 원하다면 인터넷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는 한비자 중에서 한문을 배우려는 초보에게 적합해 보이는 30편 내저설상칠술에 있는 내용의 일부이다. 지금은 해석은 극히 일부이지만 차츰 더해 갈 것입니다. 해석 중에 확실하지 않은 것은 밑줄을 쳤..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비자 30편 내저설상편 說一 2. 張儀欲以秦·韓與魏之勢伐齊·荊, 而惠施欲以齊·荊偃兵。二人爭之。群臣左右皆爲張子言, 而以攻齊·荊爲利, 而莫爲惠子言。王果聽張子, 而以惠子言爲不可。攻齊·荊事已定, 惠子入見。王言曰: “先生毋言矣。攻齊·荊之事果利矣, 一國盡以爲然。” 惠子因說: “不可不察也。夫..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비자 내제설상편 설一. 3 아래는 한비자 내제설상편 설1의 일부입니다. 江乙爲魏王使荊, 謂荊王曰: “臣入王之境內, 聞王之國俗曰: ‘君子不蔽人之美, 不言人之惡。’誠有之乎? ” 王曰: “有之。” “然則若白公之亂, 得庶無危乎? 誠得如此, 臣免死罪矣。” - 강을이 위나라 왕을 위하여 형(초나라)나라에 사신..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비자 설림상편(說林上) 원문과 우리말 해석 . 한비자 중에 설림상편 전부를 원문과 해석을 수록했다. 주의: 해석 중에서 밑줄 친 것은 잘 모르거나 확실하지 않은 부분이다. 說林上第二十二 1. 湯以伐桀, 而恐天下言己爲貪也, 因乃讓天下於務光。而恐務光之受之也, 乃使人說務光曰: “湯殺君而欲傳惡聲於子, 故讓天下於子。” 務光..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비자] 모순이란 말의 유래. 한비자에서 가장 유명한 대목인 모순에 대한 것은 한비자 36편 난편(難篇) 중에 있는데, 그것을 아래에 실었습니다. 해석 중에 밑줄 친 것은 확실하지 않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或問儒者曰: “方此時也, 堯安在? ” 其人曰: “堯爲天子。” “然則, 仲尼之聖堯奈何? 聖人明察在上位, 將使..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비자 내저설상편 우경 二. 원문+ 일부 해석 二 董閼于爲趙上地守。行石邑山中, 見深**澗, 峭如牆, 深百仞, 因問其旁鄕左右曰: “人嘗有入此者乎? ” 對曰: “無有。” 曰: “嬰兒·盲聾·狂悖之人嘗有入此者乎? ” 對曰: “無有。” “牛馬犬彘嘗有入此者乎? ” 對曰: “無有。” 董閼于喟然太息..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비자 설림하편(說林_) 1. 說林下第二十三 伯樂敎二人相踶馬, 相與之簡子廐觀馬。一人擧踶馬。其一人從後而循之, 三撫其尻而馬不踶。此自以爲失相。其一人曰: “子非失相也。此其爲馬也, 踒肩而腫膝。夫踶馬也者, 擧後而任前, 腫膝不可任也, 故後不擧。子巧於相踶馬..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비자] 설림하편 2. 公子糾將爲亂, 桓公使使者視之。使者報曰: “笑不樂, 視不見, 必爲亂。” 乃使魯人殺之。 公孫弘斷髮而爲越王騎, 公孫喜使人絶之曰: “吾不與子爲昆弟矣。” 公孫弘曰: “我斷髮, 子斷頸而爲人用兵, 我將謂子何? ” 周南之戰, 公孫喜死焉。 有與悍者鄰, 欲賣宅而避之。人曰: “..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열자(列子) 제8 설부편(說符) [1] 열자의 주해를 포함한 원문은 아래를 누르면 볼 수 있습니다. http://www.chinapage.com/big5/classic/lie2.htm 說符 第八 - 열자 제8 설부편 子列子學於壺丘子林. 壺丘子林曰:“子知持後, 則可言持身矣.” 列子曰:“願聞持後.” 曰:“顧若影, 則知之.” 列子顧而觀影:形枉則影曲, 形直則影正. 然則枉直..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열자 설부편(說符) [2] 秦穆公謂伯樂曰:“子之年長矣, 子姓有可使求馬者乎?” 伯樂對曰:“良馬, 可形容筋骨相也. 天下之馬者, 若滅若沒, 若亡若失, 若此者絶塵弭**. 臣之子皆下才也, 可告以良馬, 不可告以天下之馬也. 臣有所與共擔纏薪菜者, 有九方皐, 此其於馬, 非臣之下也. 請見之.” 穆公見之, 使行.. 한문문법 201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