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1(士小節一).성행(性行) . 사소절 1(士小節一) - 사전 1 성행(性行) 언어(言語) 복식(服食) 고전번역총서 > 청장관전서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1(士小節一) - 사전 1 사소절 1(士小節一) - 사전 안으로 사단(四端)001]과 밖으로 구용(九容)002] 및 오품(五品)003]은 천도(天道)의 떳떳함이다. 이것을 닦으면 길..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1(士小節一). 언어(言語)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1(士小節一) - 사전 1 사소절 1(士小節一) 언어(言語) 언어(言語)는 소근거려도 안 되고, 지꺼려도 안 되고, 산만하게 해도 안 되고, 지체해도 안 되고, 길게 끌어도 안 되고, 뚝뚝 끊어지게 해도 안 되고, 힘없이 해도 안 되고, 성급하게 해도 안 된다. 기쁠 ..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1(士小節一). 복식(服食)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1(士小節一) - 사전 1 사소절 1(士小節一) 복식(服食) 아무리 나쁜 의복이나 음식일망정 조금도 싫어하거나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어야 한다. 내가 본 바로는 오직 일가인 심계(心溪)001]가 있을 뿐이다. 적삼 끝의 한건(汗巾)002]이 길고 넓으면 나태함을 기..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2(士小節二) .동지(動止) . 청장관전서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2(士小節二) 사소절 2(士小節二) - 사전 2 동지(動止) 근신(謹愼) 동지(動止) 군자는 행동거지에 있어서 온아(溫雅)하고 교결(皎潔)하며, 정민(精敏)하고 관박(寬博)해야 한다. 인(仁)이란 생생(生生)을 이르는 것이다. 군자가 인도(仁道)를 체..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2(士小節二) 근신(謹愼) . 청장관전서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2(士小節二) 사소절 2(士小節二) - 사전 2 동지(動止) 근신(謹愼) 근신(謹愼) 천하의 큰 죄악과 큰 재앙은 모두 담박한 생활을 견디지 못한 데서 생긴다. 《중용(中庸)》에, “빈천(貧賤)에 처하면 빈천을 편안히 여기고, 환난(患難)에 처하면 ..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3(士小節三). 교습(敎習) . 청장관전서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3(士小節三) - 사전 3 사소절 3(士小節三) - 사전 3 교습(敎習) 인륜(人倫) 교습(敎習) 선비가 독서를 귀중히 여기는 것은 한 언어(言語), 한 동작(動作)에서 반드시 성현(聖賢)의 행동과 훈계를 이끌어 준칙으로 삼아 전도됨이 없기를 생각하..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3(士小節三). 인륜(人倫)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3(士小節三) - 사전 3 사소절 3(士小節三) 인륜(人倫) 조부모(祖父母)ㆍ외조부모(外祖父母)ㆍ백부(伯父)ㆍ숙부(叔父)ㆍ중부(仲父)ㆍ계부(季父) 및 고모(姑母)ㆍ내구(內舅)ㆍ종모(從母)ㆍ종형제(從兄弟)ㆍ중표형제(中表兄弟)ㆍ이형제(姨兄弟)ㆍ종자녀(從子..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4(士小節四). 교접(交接) . 청장관전서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4(士小節四) - 사전 4 사소절 4(士小節四) 교접(交接) 뜻이 같은 사람이 만일 성의로써 먼저 와서 사귐을 청하거든 즉시 가서 사례하라. 문벌이나 재주가 비록 나만 못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교만한 마음을 내어 사례하지 않는 일이 없도록 ..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5(士小節五). 어하(御下) . 청장관전서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5(士小節五) - 사전 5 사소절 5(士小節五) - 사전 5 어하(御下) 사물(事物) 어하(御下) 자제(子弟)에게 《소학(小學)》을 가르치지 않고서 그 실효를 독책하며 그들의 경솔하고 험악함을 걱정만 하는 것은 바로 맹자(孟子)가 이른바 ‘망민(罔.. 청장관전서 2014.05.13
[스크랩]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5(士小節五). 사물(事物) . 청장관전서 > 청장관전서 제27~29권 > 사소절 5(士小節五) - 사전 5 > 사소절 5(士小節五) 사물(事物) 농사짓고 나무하고 고기 잡고 짐승 치는 일은 인생의 본업인 것이다. 목수의 일, 미장이의 일, 대장장이의 일, 옹기장이의 일에서부터 새끼 꼬는 일, 신 삼는 일, 그물 뜨는 일, 발 엮.. 청장관전서 201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