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자표(韻字表 아래는 106 운(韻)이다. 입력이 불가능한 한자는 플러스(+) 기호 등을 이용하여 표현했고, 그 한자음 뒤에 괄호로 그 한자의 뜻을 실었다. 운자표(韻字表) -106자 평성(平聲)에는 상평성과 하평성이 있다. 상평성(上平聲) 15자 - 東, 冬, 江, 支(지), 微(미), 魚, 虞(우), 齊(제), 佳(가), 灰(회), 眞, ..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9.07.27
대대례.hwp 대대례기(大戴禮記) 한문 원문을 한글 프로그램으로 수록한 것입니다. 퍼온 곳은 중국 위키소스로 http://zh.wikisource.org/zh-hant/%E5%A4%A7%E6%88%B4%E7%A6%AE%E8%A8%98 대대례.hwp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9.07.27
동이전.hwp 중국 25사(史) 중에 동이(東夷)에 관한 기록을 엮은 것이 이른바 ‘동이전’이다. 인터넷에 널리 퍼져 있는 동이전(東夷傳)의 원문 파일(hwp)이 주해 부분을 괄호 처리를 하기는 했으나, 그래도 본문과 주해가 다소 헷갈릴 수 있기에, 이것의 주해 부분을 알아 보기 쉽게 파란 글자로 수정, ..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9.07.27
[스크랩] 훈민정음 언해본 * 訓民正音 諺解本 훈민정음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御旨와 音價 및 運用法인 例義를 번역해 단행본으로 발행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총 15장 30쪽의 "훈민정음 언해본"은 세종 승하후 간행된 月印釋譜(세조5년:1459년) 권두에는 "세종어제훈민정음"의 제목으로 실려 있고 제1장 1행에서 4행의 ..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6.02.25
[스크랩] 훈민정음 언해본 * 訓民正音 諺解本 훈민정음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御旨와 音價 및 運用法인 例義를 번역해 단행본으로 발행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총 15장 30쪽의 "훈민정음 언해본"은 세종 승하후 간행된 月印釋譜(세조5년:1459년) 권두에는 "세종어제훈민정음"의 제목으로 실려 있고 제1장 1행에서 4행의 ..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6.02.23
[스크랩] 한문의 경전, 고전 원문 파일 모음. 이 블로그 내에 있는 한문 원문 파일을 정리한 것이다. 난중일기 http://blog.daum.net/wordair/15709780 노자교석(도덕경), 왕필본, 하상공주 http://blog.daum.net/wordair/15709750 논어집주 http://blog.daum.net/wordair/15585318 논형교석 http://blog.daum.net/wordair/15709759 대대례기 http://blog.daum.net/wordair/15709775 맹자집주 ht..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4.11.06
[스크랩] [어우야담] 자린고비 이야기. 원문과 해석 수록. 이야기가 두개 있는데, 처음 이야기는 구두쇠의 극치를 보여주어 코믹하고, 두번째 이야기는 너무 절박하고 고달퍼 보이기도 하지만 자린고비가 한 말이 타당하다. 長者高蜚, 忠州人也. 性慳嗇重貨, 能居貯貿販, 致家財鉅萬. 倉庾樻櫝, 封鎖必親, 雖糠覈之微, ..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4.11.06
[스크랩] 양서(梁書)에서 신라의 말에 대한 기록. 아래의 내용은 양서 열전 48편 제이편에 있는 신라의 말에 대한 기록입니다. 其俗呼城曰健牟羅 ,其邑在內曰啄評 ,在外曰邑勒 ,亦中國之言郡縣也 。國有六啄評 , 五十二 邑勒 。 그 나라(신라)에서는 성을 건모라라고 하고, 고을이 안에 있는 것을 탁평이라 하고 밖에 있는 것을 읍륵..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4.11.06
[스크랩] 정몽주의 단심가 대 이방원의 하여가의 한역시. 이방원이 하여가로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고 정몽주가 이에 단심가로 화답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본래 우리말 시조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인데, 한역된 것은 후에 한 것으로 보인다. 하여가(何如歌) 如此亦何如 如彼亦何如 城隍堂後壇 頹落亦何如 我輩若此爲 不死亦何如 丹心歌(단심가) 此.. 한문원전 경전 원문파일 201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