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지심대도술 萬物資生 羞耻 放蕩神道統 만물자생 수치 방탕신도통 春之氣放也 夏之氣蕩也 秋之氣神也 춘지기방야 하지기탕야 추지기신야 冬之氣道也 統 以氣之主張者也 동지기도야 통 이기지주장자야 知心大道術 戊申十二月二十四日 지심대도술 무신십이월이십사일 만물의 흐름을 조금만 ..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현무경 敍宗課) 益者도 三友요 損者도 三友니 其瑞는 在東하니 言聽神計用이니라 익자도 삼우요 손자도 삼우니 기서는 재동하니 언청신계용이니라 (以詔章) (1절) 己酉正月一日 巳時 玄武經午라. 기유정월일일 사시 현무경오라. (2절) 水火金木이 待時以戌하야 水生於火故로 天下에 無相克之理..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20 - 도성덕립 5. 도성덕립(道成德立) 1) 수심정기의 목표 수심정기는 "내 마음을 지키고 내 기운을 바르게 하여 한울님 성품을 거느리고, 한울님의 가르침을 받아 자연한 가운데서 되는 것(논학문)"인 무위이화(無爲而化)의 도이다. 이와 같은 무위이화의 수행법인 수심정기는 교육에 의해 강요되는 외..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9 - 용변부동본 14) 용변부동본(用變不動本) 용변부동본은 쓰임은 변하지만 그 근본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번 설명되었으므로 더 덧붙여 설명할 내용은 없다. 여기서 쓰는 주체나 대상은 모두 마음으로 이해해야 하는데, 천부경 전체가 마음의 작용을 해설하고 있으..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8 - 일묘연 만왕만래 13) 일묘연 만왕만래(一妙衍 萬往萬來) 일묘연 만왕만래는 하나가 오묘하게 퍼져 모든 곳으로 가고 온다는 뜻이다. 그 '하나'는 '한'이기도 하고 '한'이 세상에 드러난 사람의 마음이기도 하다. 천부경 해설에서 찾으면 삼사성환의 그림에서 가운데에 그려진 중심이다. 이 중심이 곧 외부의..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7 - 오칠일묘연 12) 오칠일묘연 (五七一妙衍) ① 천부경 수리 검증 천부경 수리를 설명할 때 천지인 삼극에 다시 음양중을 배정하여 +와 - 의 기호까지 붙였던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그 이유란 오칠일묘연이라는 이 단락을 통해 천부경 수리체계가 올바르게 해석되었음이 증명된다는 점이다. 즉 자연수 ..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6 - 삼사성환 11) 삼사성환 ① 삼사성환과 회전운동 앞의 육생칠에서 그린 이음삼양의 그림은 천삼이의 팔괘재분화 과정을 거쳐 천삼삼으로 한 단계 더 깊은 마음이 현실로 드러나므로서 삼사성환이 된다. 즉 인간 자신을 객관화 하는 더 깊은 속마음이 나타나 천지와 함께하는 인간을 파악할 수 있게 ..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5 - 팔괘와 구궁 ⑥ 팔괘와 구궁 오행에서 하도와 낙서 및 복희팔괘가 나왔으니, 육생칠에서 팔괘구궁은 이미 갖추어진 셈이다. 팔괘와 구궁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고 하겠는데, 팔괘와 구궁을 따로 일컫는 경우에는 팔괘의 여러 가지 배치형태인 복희 팔괘, 문왕팔괘, 정역팔괘 등이 팔괘가 되며, 구궁은..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4 - 오행의 상생상극 ⑤ 오행의 상생상극 이제 오행사상에서 가장 어려운 주제를 다루어 보자. 오행을 나타내는 그림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그 하나는 지금 까지 몇 번 거론된 하도이고, 다른 하나는 우(禹)임금이 구년 홍수를 다스리는 과정에서 낙수(洛水)에 나타난 거북이의 등에 그려진 무늬를 보고 얻었..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3 - 육생칠과 오행 팔괘 ② 육생칠과 오행 육생칠에 의해 형성된 사차원 사면체는 기존에 부르는 이름이 없으니 오행입체도, 줄여서 오행체라고 부르기로 하자. 오행체의 네 면은 실제로는 네 개라고 볼 수 있는 사면체의 한 면이다. 즉 네 면 자체가 삼극을 갖춘 현실적 실체라는 말이다. 따라서 하나의 면이 사.. 천부경 201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