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고전 공부법 고전 공부법 [다음 글은 고전을 공부하는 방법에 관해 대산 김석진 선생님이 강조하시는 말씀입니다. 한길사 간행의 『대산대학강의』에 실린 내용을 그대로 발췌해 옮겼습니다.] 한문 공부를 제대로 하려면 좀 진부하기는 하지만 옛날식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옛날의 ‘하야.. 한문부수 2014.02.20
[스크랩] 기초학습실 한문 기초학습실 漢文의 기초 한자와 한자어 한자의 3요소 육서(六書) 한자어의 구조 주술 술목 술보 수식 병렬 대립 첩어관계 한문의 품사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개사 종결사 감탄사 문장의 형식 긍정문 부정문 의문문 반어문 사역문 피동문 문장의 구조 주술구조 술목구.. 한문부수 2014.02.20
[스크랩] 한문번역 - 관련사이트 입니다.-2 No, 21 홈페이지:http://www.kstinc.or.kr/ (사)한국번역가협회 유네스코산하기관/문화관광부법인체인 국제번역가연맹(FIT/UNESCO)의 한국대표기관인 사단법인 한국번역가협회의 홈페이지입니다. 협회는 일찍이 국제번역가연맹(FIT)에 가입하여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FIT의 한국 대표.. 한문부수 2014.02.20
[스크랩] 部首講解(부수해설) 部首講解 一劃 一(일) :(하나) 옛날 문자. 가로로 한 획을 그어 하나라는 수를 표기하였다. <上, 下, 不, 世 등> 丨(곤) :(위아래로 통할) 세로로 한획을 그었으니 說文解字(단옥재본)에 「상하가 통한다」라고 하였다. 「상하가 통한다」는 말은 串通(관통)의 의미가 .. 한문부수 2014.01.04
[스크랩] 語助辭(어조사) 어조사(語助辭) 한문에서 실질적인 의미가 없이 다른 한자를 보조하여 우리말의 조사, 어미, 의존 명사 같은 역할을 하는 한자를 어조사(語助辭)라고 한다. 대표적인 어조사로는 於, 也, 而 등이 있다. 어조사에 대하여 처음부터 옥편이나 허사(허자) 사전에 있는 많은 어조사의 의미나 기.. 한문부수 2014.01.04
[스크랩] 六書(육서)의 이해 육서(六書)의 이해 한자가 시대와 더불어 수없이 증가하게 된 이유는 인지가 발달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자연 나타내려고 하는 새로운 개념이 자꾸만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아무런 체계도 없이 마구 생겨난 것이 아니고 몇 가지 통일된 원칙아래 이루어졌다. 우리는 여기서 .. 한문부수 2014.01.04
[스크랩] ☆표기 혼동에 주의할 한자어 47개 ☆표기 혼동에 주의할 한자어 47개 한글 표기 맞는 표기 틀린 표기 설 명 가정부 家政婦 家庭婦 家庭: 사회집단, 家政: 집안 살림을 다스림 각기 各其 各己 각기 저마다 개별적인 개념 강의 講義 講議 뜻을 풀어서 가르친다는 의미 경품 景品 競品 상품 이외에 곁들여 주는 물건 골자 骨子 .. 한문부수 2014.01.04
[스크랩] 略字.俗字(약자.속자) 일람표 약자.속자 일람표 구분 정자 약/속자 정자 약/속자 정자 약/속자 정자 약/속자 정자 약/속자 ㄱ 假(가) 仮 價(가) 価 鑑(감) 鑑 岡(강) 崗 強(강) 强 거짓, 빌리다 값, 가치 거울, 본보기 산등성이, 언덕 강하다, 억지로 個(개) 箇 蓋(개) 盖 擧(거) 挙 據(거) 拠 檢(검) 検 낱.. 한문부수 2014.01.04
[스크랩] 잘못읽기 쉬운 漢字語 ? 잘못읽기 쉬운 漢字語 - 參考(참고)- ( )는 틀린 讀音(독음) 1. ㄱ 苛斂가렴(가검) 恪別각별(격별) 角逐각축(각추) 間歇간헐(간갈) 干涉간섭(간보) 看做간주(간고) 甘蔗감자(감서) 降下강하(강하) 槪括개괄(개활) 改悛개전(개준) 坑夫갱부(항부) 更生갱생(경생) 車馬거마(차마) 怯懦겁나(거유) .. 한문부수 201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