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6. 어순(語順) . 어순(語順) 단어가 모여 문장을 이루는데, 여기에서 단어들이 어떤 순서대로 모이느냐를 어순(語順)이라고 한다. 한문은 국어처럼 조사나 어미 같은 문법적인 요소가 많이 발달하지 않아서, 한문 문장의 의미를 해석함에 국어보다 훨씬 많이 어순에 의존하게 된다. 그래서 한문의 어순.. 한문부수 2013.02.12
[스크랩] 5. 문장 구조(文章構造) . 문장 구조(文章構造) 문장은 주어, 서술어 같은 문장 성분(成分)으로 이루어진다. 문장 성분 중에서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같은 주된 것을 국어에서는 주성분이라고 하고, 관형어, 부사어 같은 다른 것을 수식해 부수적으로 쓰이는 것을 부속성분이라고 한다. 문장 구조는 대개 .. 한문부수 2013.02.12
[스크랩] 3. 어조사(語助辭) . 어조사(語助辭) 한문에서 실질적인 의미가 없이 다른 한자를 보조하여 우리말의 조사, 어미, 의존 명사 같은 역할을 하는 한자를 어조사(語助辭)라고 한다. 대표적인 어조사로는 於, 也, 而 등이 있다. 어조사에 대하여 처음부터 옥편이나 허사(허자) 사전에 있는 많은 어조사의 의미나 .. 한문부수 2013.02.12
[스크랩] 2. 단어(單語)상의 특징 . 단어(單語)상의 특징 한문에서 단어 차원(형태론)의 특징은 많지만, 가장 중요한 두 가지로 추릴 수 있다. 하나는 한문이 우리말과 달리 용언(동사, 형용사)이 활용을 하지 않는 것이고, 또 하나는 한 단어가 여러 가지 품사로 쓰인다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 알아보자. 용언이 활용이 없음.. 한문부수 2013.02.12
[스크랩] 1. 한자 . 한문 익히는 방법 . 목 차 1. 한자와 한문 2. 단어상의 특징 3. 어조사 4. 기타 어조사 5. 문장 구조 6. 어순 7. 도치문 8. 까다로운 문형 9. 흔히 쓰이는 어구나 표현 10. 문장의 내용 11. 해석의 노하우 12. 실전 독해 오래전 파일로 보관하여 공부하였으나 새로이 공부하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적색부.. 한문부수 2013.02.12
[스크랩] 한문 원리, 구성 . 한자를 만든 원리 한자를 만든 원리는 상형·지사·회의·형성·전주·가차 이렇게 여섯가지로 나눠지고, 이를 다른 말로 육서(六書)의 원리라고도 합니다.. 상형문자(象形文字) : 사물의 모양을 그대로 본떠서 그려낸 가장 기초적인 글자를 상형문자 라고 합니다. 그리고 상형자에속.. 한문부수 2013.02.12
[스크랩] 1. 한자 . 한문 익히는 방법 . 목 차 1. 한자와 한문 2. 단어상의 특징 3. 어조사 4. 기타 어조사 5. 문장 구조 6. 어순 7. 도치문 8. 까다로운 문형 9. 흔히 쓰이는 어구나 표현 10. 문장의 내용 11. 해석의 노하우 12. 실전 독해 오래전 파일로 보관하여 공부하였으나 새로이 공부하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적색부.. 한문부수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