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시 번역의 구성과 표현 . 한시 번역의 구성과 표현 김종태(한국고전번역원) 【목차】 1. 한시의 번역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한시의 번역 무엇이 문제인가? 3. 한시 번역의 구성과 표현을 어떻게 할 것인가? 1) 한시 번역에 있어서 원의 구현의 3가지 중요한 방향과 그 예시 가. 역문의 구사를 잘해야 빛이 나는 시 ..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27
[스크랩]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초발심자경문》은 보조국사의《계초심학인문》과 원효대사의《발심수행장》과 야운선사의《자경문》을 합본하여 조선시대 이래 우리나라 강원의 필수과목으로 전수되고 있는 불교공부의 기본서입니다. 먼저 《계초심학인문》은 승려들의 수행청규를 ..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27
[스크랩] 山海 ? (산해경) . 산해경 산해경(山海經)은 중국 선진(先秦)시대에 저술되었다고 추정되는 대표적인 신화집, 지리서로, 곽박(郭璞)이 기존의 자료를 모아 저술하였다고 전해진다. 본래 산해경은 인문지리지로 분류되었으나, 현대 신화학의 발전과 함께 신화집의 하나로 인식되고 연구되기도 한다. 산경(..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27
[스크랩] 周代 采地制度와 井田制 實施 地域 / 이만형 . The Enforcement Area of the Nine-square Field System(井田制) and the Feud System(采地制) in the Zhou(周) Dynasty Lee, Manhyeong (Pusan National University) 周代 采地制度와 井田制 實施 地域 이만형(부산대학교 대학원) Abstract The fundamental problem in socio-economic history that we faced studying the Pre-Qin(先秦) society is the Nine-square F..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27
[스크랩] 中國古典에 나타난 經濟倫理. 論語 . 韓國實學과 經濟論理 005 第2章 中國古典에 나타난 經濟倫理 Ⅱ. 論語 33. 다음에는『論語』에 타나타고 있는 經濟倫理에 관해서 보기로 한다. 學而篇에 이런 말이 나오고 있다. 「子曰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敏於事而愼於言.就有道而正言焉.可謂好學也己」 (子曰, 君子는 自己가 먹는 ..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27
[스크랩] 韓國實學과 經濟論理. 大學. 墨子. . Ⅳ. 大學 61. 『大學』에 다음과 같은 文章이 있다. 「其本亂而末治者否矣」(本〈修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末〈家 國〉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家庭도 國家도 個人에 의해서 構成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高級의 個人의 基礎위에 高級의 家庭과 高級의 國家가 建設되어야 한다..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27
[스크랩] 퇴계학파의 남명학 비판 / 조남호 . 퇴계학파의 남명학 비판 -曺好益, 李玄逸, 李萬敷를 중심으로- 조남호*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 〈목 차〉 1. 서론 2. 본론 1) 미발이발-존양성찰 논쟁 2) 인심도심논쟁 3. 맺음말 1. 서 론 조식과 이황은 대립적인 관계에 있었다.1] 학문상이나 기질상으로도 그렇다. 이언적을 ..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27
[스크랩] 대한민국 과 중국 일만년 역사 대 한 민 국 역 사 중 국 역 사 마고성 (부도지) 마 고 시 대 마고성의 여신 마고(麻姑城) 궁희 穹姬 소희 巢姬 선천(先天)을 남자로 하고, 후천(後天)을 여자로 하여,배우자가 없이, 궁희와 소희를 낳았다. 황궁 黃穹 청궁 靑穹 백소 白巢 흑소 黑巢 두 천인(天人) 두 천녀(天女) 두 천인(天人)..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13
[스크랩] 대한민국 과 중국 일만년 역사 대 한 민 국 역 사 중 국 역 사 마고성 (부도지) 마 고 시 대 마고성의 여신 마고(麻姑城) 궁희 穹姬 소희 巢姬 선천(先天)을 남자로 하고, 후천(後天)을 여자로 하여,배우자가 없이, 궁희와 소희를 낳았다. 황궁 黃穹 청궁 靑穹 백소 白巢 흑소 黑巢 두 천인(天人) 두 천녀(天女) 두 천인(天人)..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13
[스크랩] 중국 감주(?州) 옥척당(玉尺堂)의 풍수 이론과 실천에 관한 연구 . 중국 감주(竷州) 옥척당(玉尺堂)의 풍수 이론과 실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engshui Theory and Practice of Ganzhou Jade Rule House in China 청지엔쥔(程建軍, 中國華南理工大學) 1. 감주 ‘옥척당’에 대하여 중국 풍수하면 강서(江西), 강서 풍수하면 감주1)를 꼽을 정도로 명청(明靑) ..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6.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