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使役文(사역문) 使役文(사역문) : 사역문은 使動文(사동문)이라고도 하는데, 사역의 의미를 지닌 보조사를 사용하여 " -로 하여금 -하게하다"는 의미로 해석하는데, 보조사 뒤에는 시키는 대상이 위치합니다. { 使+대상+서술어 } 사역보조사 사용 대표글자 - [ -로 하여금 -하게하다] 使(사), 令(령), 敎(교) 등..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假定文(가정문) 假定文(가정문) : 條件(조건)이나 假定(가정)을 의미하는 앞 구절과 結果(결과)를 의미하는 뒷 구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문은 일반적인 구조가 서술어 성분 앞에 가정부사 '如(여), 若(약)' 등을 사용하고 뒤에 접속사 '則(즉)'을 사용합니다. { 如+서술어+ -, 則+서술어+ - } [가정부사 사..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比較文(비교문) 比較文(비교문) : 비교문은 전치사로 쓰이는 어조사 '於(어), 乎(호)'나 비교형용사 '如(여), 若(약)'를 사용하는 경우와 '與其 - 寧'과 같은 호응관계를 사용하여 비교의 의미를 지닌 문장입니다. 어조사나 비교형용사는 각각 별도의 다른 쓰임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反語文(반어문) 反語文(반어문) : 반어문은 반어의 의미를 지닌 문장으로 말을 거꾸로 돌려 의문의 형태를 지니면서 의문이 아닌 강한 강조를 의미하게 되는 문장입니다. 일반적인 의문문과의 구별 방법은 의문사 뒤에 명사가 오면 의문문이고, 서술어가 오면 반어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문부수 ..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疑問文(의문문) 疑問文(의문문) : 의문문의 일반적인 구조는 문장 앞에 의문사가 위치하고 문장 끝에 의문종결사가 위치합니다. 反語文(반어문)과의 구별에 유의해야 합니다. 의문대명사 사용 대표글자 - 誰(수: 누구), 孰(숙: 누구), 何(하: 어떤,무슨), 安(안: 어느,어떤) 등 예) * 漢陽中 誰最富(한양중 수..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平敍文(평서문) 平敍文(평서문) : 평서문은 한문의 기본적인 어순을 그대로 지킨 평범한 문장인데, 부정문과 구별하여 '肯定文(긍정문)'이라고도 합니다. 예) * 孝 百行之本也(효 백행지본야) : 효는 온갖 행동의 근본이다. * 勤 爲無價之寶(근 위무가지보) : 근면함은 값을 따질 수 없는 보물이다. 否定文(..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한문의 문장 형식 한문의 문장 형식 한문 문장에 대한 이해는 본 사이트에서 다룬 [한문의 문장 構造(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합니다.이를 바탕으로 한문 문장의 型式(형식)은 그 구조 속에서 특정한 글자를 주로 사용하여 여러 가지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기 때문에 각 문장의 종류마다 결정하는 ..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終結詞(종결사) 終結詞(종결사) : 종결사는 단순하게 문장의 끝에 놓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역시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됩니다. 단정, 지정, 서술 - 平敍文(평서문)의 종결사로 사용는데, 큰 의미를 지니지는 않습니다. 의문문에 사용되는 경우는 의문종결사가 되기도 합니다. 대표..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고문에서의 인칭대명사 고문에서의 인칭대명사-시전과 육혈포에서 // <보통 1인칭> 昻(나 앙), 台(태), 身, 吾, 言, 余(나 여), 予(나 여), 我, 朕 (秦나라 이전에는 일반인 모두 사용, 이후 황제 전용어) 沙家, 酒家 (5호16국~宋초기 사용) &#21681; (나 찰.. 현대 중국어로도 사용중), 俺(나 엄.. 중국.일본 모두 현재.. 한문문법 2014.02.20
[스크랩] 後置詞(후치사) 後置詞(후치사) : 후치사는 명사의 뒤에 놓이는 경우인 '之(지)'를 의미하는데, 학계에서는 '之'에 대한 문법적 분석에 많은 異說(이설)을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之'의 助詞(조사) 성격 의미는 한문에서 있을 수 없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초학자가 '之'를 분류해서 이해하기 .. 한문문법 201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