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펌) 한자 허자(虛字 : 어조사)의 쓰임 아래는 제가 어느 블로그에서 퍼온 것을 약간 첨삭, 수정한 것입니다. 퍼온 곳은 http://blog.daum.net/062hanvit/8481220 ◈한자 허자(虛字 : 어조사)의 쓰임◈ ▶於.于.乎 의 쓰임 於.于.乎의 쓰임은 거의 같다. 그러나 乎 의 경우는 때로 종결사로 쓰이는 것이 다르다. *于는 춘추시대 많이 썼고, 이..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상용한자 1800 한자 -(2000년 교육부 지정) 아래는 교육부에서 2000년 12월에 공포, 지정한 상용한자 1800 자이다. 이것은 그 전의 72년에 문교부에서 지정한 상용한자 1800자 중에서 44자가 새로 추가되고, 44자가 제외됐다. 제외된 44자는 다음과 같다. 憩戈瓜鷗閨濃潭桐洛爛 藍朗蠻矛沐栢汎膚弗酸 森盾升阿硯梧貳刃壹雌 蠶笛蹟滄悽稚..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펌) 기본적인 한문 문장의 구조 기본적인 한문 문장의 구조 ꊱ 기본 구조 ‘문장의 기본구조’란 주성분만으로 이루어진 문장의 구조를 말한다. 이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로 나뉘어진다. (1) 주술 구조 : 주어 ∥ 서술어 ‘주어+서술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주어는 행동 주체를, ..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문의 허사나 어조사 간단히 정리. 허사(虛辭)나 이와 비슷한 기능의 한자들 간단히 열거. 실질적인 의미는 없이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어조사, 실사 그리고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한자들이 있다. 우선 이에 대하여 아주 간단히 열거만 하니, 자세한 기능이나 의미는 후에 옥편 등을 참고하기 바란다. ※ 부정(否定)에 쓰이는 ..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가장 기본적인 한문 문법이나 특성. 알아두면 좋은 기본적인 한문 문법이나 특성. 한문을 공부함에 샅샅이 한문의 문법이나 특성에 대해 알고 있으면 좋겠으나, 이러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니, 우선 기본으로라도 꼭 알아두면 한문 습득에 유용한 몇 가지 한문의 특성이나 문법적인 사항이 있다. 이에 대하여 간단히 열..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문의 허사나 어조사 간단히 정리. 허사(虛辭)나 이와 비슷한 기능의 한자들 간단히 열거. 실질적인 의미는 없이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어조사, 실사 그리고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한자들이 있다. 우선 이에 대하여 아주 간단히 열거만 하니, 자세한 기능이나 의미는 후에 옥편 등을 참고하기 바란다. ※ 부정(否定)에 쓰이는 ..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주요 어조사 정리 여기에 있는 내용은 아래 있는 파일의 일부 내용이다. http://blog.daum.net/wordair/15677779 어조사(語助辭) 한문에서 실질적인 의미가 없이 다른 한자를 보조하여 우리말의 조사, 어미, 의존 명사 같은 역할을 하는 한자를 어조사(語助辭)라고 한다. 대표적인 어조사로는 於, 也, 而 등이 있다. 어.. 한문문법 2013.11.23
[스크랩] 한문 문법, 기초를 배우기 위한 자료 - 5.문장 구조(文章構造) 문장 구조(文章構造) 문장은 주어, 서술어 같은 문장 성분(成分)으로 이루어진다. 문장 성분 중에서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같은 주된 것을 국어에서 주성분이라고 하고, 관형어, 부사어 같은 다른 것을 수식해 부수적으로 쓰이는 것을 부속성분이라고 한다. 문장 구조는 대개 주성.. 한문문법 2013.05.19
[스크랩] 한문 문법, 기초를 배우기 위한 자료 - 6.어순(語順) 어순(語順) 단어가 모여 문장을 이루는데, 여기에서 단어들이 어떤 순서대로 모이느냐를 어순(語順)이라고 한다. 한문은 국어처럼 조사나 어미 같은 문법적인 요소가 많이 발달하지 않아서, 한문 문장의 의미를 해석함에 국어보다 훨씬 어순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 그래서 한문의 어순을 .. 한문문법 2013.05.19
[스크랩] 한문 문법, 기초를 배우기 위한 자료 - 7.도치문(倒置文) 도치문(倒置文) 어순이 평소와는 다르게 바뀌어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도치(倒置)라고 한다. 한문에서 도치가 어떠한 경우에 일어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의문사(疑問詞)가 쓰일 때 1) 誰怨誰咎, 萬事由我.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랴. ~ . 1-a) 怨誰咎誰, 萬事由我. 2) 汝何所.. 한문문법 201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