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林下第二十三
伯樂敎二人相踶馬, 相與之簡子廐觀馬。一人擧踶馬。其一人從後而循之, 三撫其尻而馬不踶。此自以爲失相。其一人曰: “子非失相也。此其爲馬也, 踒肩而腫膝。夫踶馬也者, 擧後而任前, 腫膝不可任也, 故後不擧。子巧於相踶馬而拙於任腫膝。” 夫事有所必歸, 而以有所腫膝而不任, 智者之所獨知也。惠子曰: “置猿於柙中, 則與豚同。” 故勢不便, 非所以逞能也. 백악이 두 사람에게 제마(차는 버릇이 있는 말) 보는 법을 가르치니, 서로 간자(趙의 왕)의 마구간에 가서 말을 살폈다. 그중에 한 사람이 제마를 지목하니, 다른 사람이 뒤로 가서 말 주변을 돌고, 세 번 그 꽁무니를 어루만졌으나, 말이 발로 차지 않았다. 이로 제마를 지목한 사람은 스스로 말 상보기를 잘못한 것으로 여겼다. 다른 사람이 이렇게 말했다. “자네는 말을 상보기를 잘못한 것이 아니네. 이 말은 생긴 것이 어깨는 마르고 무릎은 부어 있네. 제마란 것은 뒷다리를 들어 앞다리에 몸을 맡기는데 무릎이 부어 맡길 수가 없으니, 고로 뒷다리를 들지 못하는 것이네. 자네는 제마를 보는 데엔 정교하나 부은 무릎에 몸을 맡김을 보는 데엔 서툴렀네.” 대저 일은 반드시 귀결되는 바가 있으니, 무릎이 부은 것을 가지고 몸을 맡길 수 없다는 것은 지자(智者)만이 홀로 아는 바이다. 혜자(惠子)가 “원숭이를 우리 속에 두면, 돼지와 같아진다.”라고 했다. 고로 형세가 불리하면, 능력을 다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衛將軍文子見曾子, 曾子不起而延於坐席, 正身見於奧。文子謂其御曰: “曾子, 愚人也哉!以我爲君子也, 君子安可毋敬也? 以我爲暴人也, 暴人安可侮也? 曾子不僇命也。” 위(衛)나라 장군 문자가 증자를 만나는데, 증자가 일어나지 않고 자리에 앉아 쭉 버티고, 몸을 바로 하고 아랫목에서 보고 있었다. 문자가 그 마부에게 ‘증자는 어리석은 사람이네. 나를 군자로 봤다면 군자에게 어찌 가히 공경하지 않을까. 또 나를 난폭한 사람으로 봤다면 난폭한 사람을 어찌 업신여길 수 있을까. 증자는 제 명에 죽지 못할 것일세.’라고 말했다.
鳥有翢翢者, 重首而屈尾, 將欲飮於河, 則必顚。乃銜其羽而飮之, 人之所有飮不足者, 不可不索其羽也。새 중에 우우라는 새가 있는데, 머리는 무겁고 꼬리는 짧아 이제 막 물을 냇물에서 마시려 하면 꼭 넘어지니, 이리하여 그 깃털을 물고 물을 마신다. 사람 중에서 물을 마심에 불편함이 있는 자(어떤 것에 약점이 있는 자)는 그 깃털을 잘 간수하지 않을 수 없다.
鱣似蛇, 蠶似蠋。人見蛇, 則驚駭; 見蠋, 則毛起。漁者持鱣, 婦人拾蠶, 利之所在, 皆爲賁·諸。드렁허리는 뱀처럼 생기고 누에는 나비애벌레처럼 생겼다. 사람이 뱀을 보면 놀라고 나비애벌레를 보면 모골이 오싹해진다. 어부가 드렁허리를 잡고 여인네들이 누에를 집는 것은 거기에 이익이 있기 때문이니, 모두 분(賁)과 저(諸)와 같은 씩씩한 용사가 된다.
伯樂敎其所憎者相千里之馬, 敎其所愛者相駑馬。以千里之馬時一有, 其利緩; 駑馬日售, 其利急。此《周書》所謂“下言而上用者, 惑也。” 백악이 미워하는 자에게는 천리마를 보는 법을 가르치고, 좋아하는 자에게는 보통 말을 보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천리마는 가끔 한번 있어, 그 이익이 급하지 않으나, 보통 말은 날마다 팔리니 그 이익이 급하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주서(周書)에서 말한 이른바 ‘말을 경시하고 쓰임을 중시하는 자는 미혹된다.’라는 것이다.
桓赫曰: “刻削之道, 鼻莫如大, 目莫如小。鼻大可小; 小不可大也。目小可大; 大不可小也。” 擧事亦然。爲其後可復者也, 則事寡敗矣。환혁이 말하기를 ‘새기고 깎는 방법은 코는 크게 하는 것이 가장 좋고 눈은 작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코는 크면 작게 할 수 있으나 작으면 크게 할 수 없고, 눈은 작으면 크게 할 수 있으나 크면 작게 할 수 없는 것이다.’ 라고 했다. 일을 일으키는 것도 또한 이러하니, 후에 다시 돌이킬 수 있는 일을 하면, 일을 망치는 경우는 적다.
崇侯·惡來知不適紂之誅也, 而不見武王之滅之也。比干·子胥知其君之必亡也, 而不知身之死也。故曰: “崇侯·惡來。知心而不知事, 比干·子胥知事而不知心。” 聖人其備矣。숭후, 악래(紂 임금 주변의 간신들)는 주임금의 주살(처형)을 당하지 않을 줄은 알았지만, 무왕이 그들을 멸할 줄은 내다보지 못했다. 비간, 자서는 그들의 임금이 꼭 망할 것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자신이 죽을 줄은 몰랐다. 고로 ‘숭후、악래는 마음은 알았으나 일은 몰랐고, 비간、 자서는 일은 알았으나 마음은 몰랐다.’라고 말하다. 성인은 다 겸비한다.
宋太宰貴而主斷。季子將見宋君, 梁子聞之曰: “語必可與太宰三坐乎, 不然, 將不免。” 季子因說以貴主而輕國。송(宋)나라 태재(관직)가 득세하여 나라를 전단했다. 계자가 장차 송나라 왕을 뵈려고 하니, 양자가 그에게 ‘왕과 말할 때엔 반드시 태재와 더불어 셋이 합석하시오. 그렇지 않으면 장차 화를 면하지 못하리오.‘라고 말해 주었다. 계자가 그 말에 의하여, 임금을 귀중히 여기고 나랏일을 가벼이 여겼다.
楊朱之弟楊布衣素衣而出。天雨, 解素衣, 衣緇衣而反, 其狗不知而吠之。楊布怒, 將擊之。楊朱曰: “子毋擊也, 子亦猶是。曩者使女狗白而往, 黑而來, 子豈能毋怪哉? ” 양주의 동생 양포가 흰옷을 입고 나갔다가, 날이 비가 내려 흰옷을 벗고 검은 옷을 입고 돌아오니, 그 개가 몰라보고 양포를 보고 짖었다. 양포가 화가 나 곧 개를 치려고 했다. 양주가 ‘너는 치지 마라. 너는 또한 오히려 당연하게 여겨라. 언젠가 가령 네 개가 나갈 때는 희었는데, 검어져서 돌아오면, 너는 어찌 괴이하게 여김이 없겠는가.’라고 말했다.
惠子曰: 羿執鞅持扞, 操弓關機, 越人爭爲持的。弱子扞弓, 慈母入室閉戶。” 故曰: “可必, 則越人不疑羿; 不可必, 則慈母逃弱子。” 혜자가 ‘예(羿)가 뱃대끈을 잡고 활팔찌를 잡으며, 활을 쥐고 용수철을 당기면, 월나라 사람이 다투어 과녁을 잡으려고 할 것이다. 어린 자식이 활을 당기면 자상한 어머니도 방에 들어가 문을 닫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고로 ‘확신할 수 있다면 월나라 사람이라도 예를 의심하지 않고, 확신할 수 없다면 자상한 어머니도 어린 자식한테서 도망간다.’라고 말한다.
桓公問管仲: “富有涯乎? ” 答曰: “水之以涯, 其無水者也; 富之以涯, 其富已足者也。人不能自止於足, 而亡其富之涯乎!” 환공(齊 桓公)이 관중에게 “부(富)에 끝이 있소.”라고 물었다. 관중이 이렇게 대답했다. “물에 끝이 있는 것은 물이 더 없기 때문이고, 부에 끝이 있는 것은 그 부에 이미 만족하기 때문이오. 사람은 스스로 만족함에 그치지 못하니, 그 부의 한계는 없소이다.”
宋之富賈有監止子者, 與人爭買百金之璞玉, 因佯失而毁之, 負其百金, 而理其毁瑕, 得千溢焉。事有擧之而有敗, 而賢其毋擧之者, 負之時也。송(宋)의 부상(富商) 중에 감지자라는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과 백금(百金) 어치의 박옥을 사기를 다투다가, 일부러 박옥을 놓쳐 훼손시키고 그것을 백금을 물어주고 가져와서, 그 훼손된 티를 수리하여 천일(千溢) 어치를 얻었다. 일에는 성공하는 경우가 있고 실패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성공하지 못한 것을 잘 처리하는 자는 그 상황을 잘 이용한다.
有欲以御見荊王者, 衆騶妒之。因曰: “臣能撽鹿。” 見王。王爲御, 不及鹿; 自御, 及之。王善其御也, 乃言衆騶妒之。어떤 사람이 어거(馭車)로 초(楚) 왕을 뵈려고(이로 벼슬이나 포상 등을 노림) 하니, 뭇 마부가 그것을 투기했다. 이에 그 마부가 “저는 (어거하여) 사슴을 따라잡아 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고, 왕을 뵀다. 왕이 어거하니 사슴을 따라잡지 못 했으나, 그 마부가 어거하니 사슴을 따라잡았다. 이에 왕이 그 어거 솜씨를 훌륭히 여기고, 뭇 마부들이 그를 투기한다고 말했다.
荊令公子將伐陳。丈人送之曰: “晉强, 不可不愼也。” 公子曰: “丈人奚憂? 吾爲丈人破晉。” 丈人曰:“可。吾方廬陳南門外。” 公子曰:“是何也?” 曰:“我笑句踐也, 爲人之如是其易也, 已獨何爲密密十年難乎? ” 초(楚)가 공자(公子)로 하여금 장차 진(陳)을 치게 했다. 장인이 그를 떠나보내며 “진(晉)은 강하니 조심하지 않을 수 없네.”라고 말했다. 공자가 “장인어른은 어찌 걱정하시오. 제가 장인어른을 위하여 진(晉)을 격파하겠소.”라고 말했다. 장인이 “나는 이제 진(陳) 남문 밖에 살아야겠네.”라고 말했다. 이에 공자가 “그것은 어째서이오.”라고 말하니, 장인이 “내가 구천(句踐)을 비웃기 위해서네. 남을 위함이 그렇게 쉬운데, 이미 홀로 부지런히 애쓰며 십년동안 고생했을까.”라고 말했다.
堯以天下讓許由, 許由逃之, 舍於家人, 家人藏其皮冠, 夫棄天下而家人藏其皮冠, 是不知許由者也。요(堯)가 천하를 허유(許由)에게 선양하니, 허유가 도망가서, 일반 사람에게 머무르니, 일반 사람이 그(일반 사람)의 가죽 갓을 감췄다. 허유가 천하를 버렸는데 일반 사람이 그의 가죽 갓을 숨기니, 이는 허유를 잘 모르는 자이다.
三蝨食彘相與訟, 一蝨過之, 曰: “訟者奚說? ” 三蝨曰: “爭肥饒之地。” 一蝨曰: “若亦不患臘之至而茅之燥耳, 若又奚患? ” 於是乃相與聚嘬其身而食之。彘臞, 人乃弗殺。세 마리 이가 돼지를 먹다가 서로 말다툼했다. 한 이가 지나다가 “무슨 말로 다투오.”라고 물었다. 세 이가 “살찐 부위를 가지고 다투오.”라고 말했다. 한 이가 “당신들은 또한 납일(납일에 제를 지내는데 돼지를 바치므로, 이가 먹을 돼지가 없어짐을 암시)이 오고 띠가 시듦을 걱정하지 않고, 당신들은 또 무엇을 걱정하리오.”라고 말하니, 이에 서로 모여 돼지 몸을 물어 먹었다. 돼지가 여위니, 사람이 돼지를 죽이지 않았다.
蟲有螝者, 一身兩口, 爭食相齕也。遂相殺也, 人臣之爭事而亡其國者, 皆螝類也。벌레 중에 거위(회충)라는 것이 있느데, 몸뚱이는 하나고 입은 둘이여서, 먹기를 다퉈 서로 깨물다가 드디어 서로 죽이게 된다. 신하 중에 모시기를 다투다가 그 나라를 망하게 하는 자는 모두 회 같은 부류이다.
宮有堊, 器有滌, 則潔矣。行身亦然, 無滌堊之地, 則寡非矣。집에 회칠하고 그릇에 씻음이 있으면 깨끗해진다. 처신도 또한 그러하니, 씻거나 회칠할 처지가 없게 하면, 그릇됨이 적어진다.
설림하편 2. http://blog.daum.net/wordair/6528842
'한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비자] 모순이란 말의 유래. (0) | 2013.11.23 |
---|---|
[스크랩] 한비자 내저설상편 우경 二. 원문+ 일부 해석 (0) | 2013.11.23 |
[스크랩] [한비자] 설림하편 2. (0) | 2013.11.23 |
[스크랩] 열자(列子) 제8 설부편(說符) [1] (0) | 2013.11.23 |
[스크랩] 열자 설부편(說符) [2] (0) | 201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