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孫弘斷髮而爲越王騎, 公孫喜使人絶之曰: “吾不與子爲昆弟矣。” 公孫弘曰: “我斷髮, 子斷頸而爲人用兵, 我將謂子何? ” 周南之戰, 公孫喜死焉。
有與悍者鄰, 欲賣宅而避之。人曰: “是其貫將滿矣, 子姑待之。” 答曰: “吾恐其以我滿貫也。” 遂去之。故曰: “物之幾者 , 非所靡也。”
孔子謂弟子曰: “孰能導子西之釣名也? ” 子貢曰: “賜也能。” 乃導之, 不復疑也。孔子曰: “寬哉, 不被於利! 絜哉, 民性有恆! 曲爲曲, 直爲直。” 孔子曰子西不免。白公之難, 子西死焉。故曰: “直於行者曲於欲。”
周*조謂宮他曰: “爲我謂齊王曰: 以齊資我於魏, 請以魏事王。” 宮他曰: “不可, 是示之無魏也, 齊王必不資於無魏者, 而以怨有魏者。公不如曰: 以王之所欲, 臣請以魏聽王。齊王必以公爲有魏也, 必因公。是公有齊也, 因以有齊·魏矣。” 주조가 궁타에게 ‘나를 위하여 제나라 왕에게 제나라로 나를 위나라에 지원해 주면, 위나라로 왕을 섬기기를 청하겠다고 말해 주시오.’라고 말하니, 궁타가 ‘아니 되오. 이는 제나라 왕에게 공이 위나라에 위세가 없음을 알리는 것이니, 제나라 왕이 반드시 위나라에 위세가 없는 이에게 지원을 하지 않고, 위나라에서 위세가 있는 자를 미워하지 않을 것이오. 공이 “왕이 원하는 것을 가지고 신이 위나라로 왕을 따르기를 청합니다.”라고 말함이 낫소. 이러면 제나라 왕이 반드시 공을 위나라에서 위세가 있다고 여기고, 반드시 공과 친해지려고 할 것이오. 이는 공이 제나라에 위세를 얻어 가지고서, 제와 위에서 위세를 얻는 것이오.’라고 말했다.
白圭謂宋令尹曰: “君長自知政, 公無事矣。今君少主也而務名, 不如令荊賀君之孝也。則君不奪公位, 而大敬重公, 則公常用宋矣。” 백규가 송나라 영윤에게 ‘임금이 자라 스스로 정치를 도맡으면 공은 별 볼일 없을 것이오. 지금 임금이 어린 임금이고 이름 얻기에 힘쓰니, 초나라로 하여금 임금의 효성을 하례하게 하는 것만 못하오. 이러면 임금이 공의 자리를 빼앗지 않고 공을 크게 공경하고 중용할 것이니, 즉 공은 항상 송나라에 중용될 것이오.’라고 말했다.
管仲·鮑叔相謂曰: “君亂甚矣, 必失國。齊國之諸公子其可輔者, 非公子糾, 則小白也。與子人事一人焉, 先達者相收。” 管仲乃從公子糾, 鮑叔從小白。國人果弑君。小白先入爲君, 魯人拘管仲而效之, 鮑叔言而相之。故諺曰: “巫咸雖善祝, 不能自祓也; 秦醫雖善除, 不能自彈也。” 以管仲之聖而待鮑叔之助, 此鄙諺所謂“虜自賣裘而不售, 士自譽辯而不信” 者也。
荊王伐吳, 吳使沮衛·蹶融犒於荊師, 荊將軍曰: “縛之, 殺以釁鼓。” 問之曰: “汝來卜乎? ” 答曰: “卜。” “卜吉乎? ” 曰: “吉。” 荊人曰: “今荊將以女釁鼓, 其何也? ” 答曰: “是故其所以吉也。吳使人來也, 固視將怒, 將軍怒。將深溝高壘; 將軍不怒, 將懈怠。今也將軍殺臣, 則吳必警守矣。且國之卜, 非爲一臣卜。夫殺一臣而存一國, 其不言吉, 何也? 且死者無知, 則以臣釁鼓無益也; 死者有知也, 臣將當戰之時, 臣使鼓不鳴。” 荊人因不殺也。
知伯將伐仇由, 而道難不通, 乃鑄大鍾遺仇由之君。仇由之君大說, 除道將內之。赤章曼枝曰: “不可。此小之所以事大也, 而今也大以來, 卒必隨之, 不可內也。” 仇由之君不聽, 遂內之。赤章曼枝因斷轂而驅, 至於齊, 七月而仇由亡矣。
越已勝吳, 又索卒於荊而攻晉。左史倚相謂荊王曰: “夫越破吳, 豪士死, 銳卒盡, 大甲傷。今又索卒以攻晉, 示我不病也。不如起師與分吳。” 荊王曰: “善。” 因起師而從越。越王怒, 將擊之。大夫種曰: “不可。吾豪士盡, 大甲傷。我與戰, 必不克, 不如賂之。” 乃割露山之陰王百里以賂之。
荊伐陳, 吳救之, 軍間三十里。雨十日, 夜星。左史倚相謂子期曰: “雨十日, 甲輯而兵聚。吳人必至, 不如備之。” 乃爲陳。陳未成也而吳人至, 見荊陳而反。左史曰: “吳反覆六十里, 其君子必休, 小人必食。我行三十里擊之, 必可敗也。” 乃從之, 遂破吳軍。
韓趙相與爲難。韓子索兵於魏曰: “原借師以伐趙。” 魏文侯曰: “寡人與趙兄弟, 不可以從。” 趙又索兵以攻韓。文侯曰: “寡人與韓兄弟, 不敢從。” 二國不得兵, 怒而反。已乃知文侯以搆於已, 乃皆朝魏。
齊伐魯, 索讒鼎, 魯以其鴈往。齊人曰: “鴈也。” 魯人曰: “眞也。” 齊曰: “使樂正子春來, 吾將聽子。” 魯君請樂正子春, 樂正子春曰: “胡不以其眞往也? ” 君曰: “我愛之。” 答曰: “臣亦愛臣之信。”
韓咎立爲君未定也。弟在周, 周欲重之, 而恐韓咎不立也。綦母恢曰: “不若以車百乘送之。得立, 因曰爲戒; 不立, 則曰來效賊也。”
靖郭君將城薛, 客多以諫者。靖郭君謂謁者曰: “毋爲客通。” 齊人有請見者曰: “臣請三言而已。過三言, 臣請烹。” 靖郭君因見之。客趨進曰: “海大魚。” 因反走。靖郭君曰: 請聞其說。客曰: “臣不敢以死爲戲。” 靖郭君曰: “願爲寡人言之。” 答曰: “君聞大魚乎? 網不能止, 繳不能絓也, 蕩而失水, 螻蟻得意焉。今夫齊亦君之海也。君長有齊, 奚以薛爲君? 失齊, 雖隆薛城至於天, 猶無益也。” 靖郭君曰: “善。” 乃輟, 不城薛。
荊王弟在秦, 秦不出也。中射之士曰: “資臣百金, 臣能出之。” 因載百金之晉, 見叔向, 曰: “荊王弟在秦, 秦不出也。請以百金委叔向。” 叔向受金, 而以見之晉平公曰: “可以城壺丘矣。” 平公曰: “何也? ” 對曰: “荊王弟在秦, 秦不出也, 是秦惡荊也, 必不敢禁我城壺丘。若禁之, 我曰: ‘爲我出荊王之弟, 吾不城也。’彼如出之, 可以得荊; 彼不出, 是卒惡也, 必不敢禁我城壺丘矣。” 公曰: ‘善。’乃城壺丘。謂秦公曰: “爲我出荊王之弟, 吾不城也。” 秦因出之。荊王大說, 以鍊金百鎰遺晉。
闔廬攻郢, 戰三勝, 問子胥曰: “可以退乎” 子胥對曰:“溺人者一飮而止, 則無逆者, 以其不休也。不如乘之以沈之。”
鄭人有一子, 將宦, 謂其家曰: “必築壞牆, 是不善, 人將竊。” 其巷人亦云。不時築, 而人果竊之。以其子爲智, 以巷人告者爲盜。
'한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비자 내저설상편 우경 二. 원문+ 일부 해석 (0) | 2013.11.23 |
---|---|
[스크랩] 한비자 설림하편(說林_) 1. (0) | 2013.11.23 |
[스크랩] 열자(列子) 제8 설부편(說符) [1] (0) | 2013.11.23 |
[스크랩] 열자 설부편(說符) [2] (0) | 2013.11.23 |
[스크랩] ‘~은(이) ~이다.’를 한문으로 하면 (0) | 201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