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2 - 육생칠팔구운 10) 육생칠팔구운(六生七八九運) ① 육생칠 존재의 세 요소인 삼극의 상대적 측면, 즉 공간적 삼극인 천지인과 시간적 삼극인 과거 현재 미래를 그러잡아 쓸 수 있는 한마 음의 출현이 육생칠(六生七)이다. 석가모니가 탄생한 직후 사방으로 일곱 걸음씩을 걸은 다음, 오른손과 왼손으로 ..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1 - 대삼합육 9) 대삼합육(大三合六) ① 수체계의 완성원리 앞의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의 과정을 거쳐 삼십진법의 내실을 가지고 자연수(십진법)의 외형을 띤 입체가 형성(분화창조) 되었다. 이는 사람의 마음이 자연 속에서 공간을 삼차원 까지 이해했다는 뜻이 된다. 그런데 자연은 공간적 요소인 물..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10 -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8)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① 천이삼 일석삼극으로 형성된 천지인 삼극은 나누어진 반작용으로 되묶는 삼극을 동반 창조한다. 이는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의 <삼극 정립> 그림을 통해 이미 설면하였다. ② 지이삼 한 쌍의 삼각형으로 표현되는 천이삼의 삼극은 ..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9 - 무궤화삼 7) 무궤화삼 앞 단락인 일적십거에서 십진수를 도입하였지만, 그 십진수가 일석삼극 무진본이 제시하는 삼진수 체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이 단락의 뜻이다. 최재충 선생은 천부경의 수체계가 다음 그림과 같이 완성된다고 한다. 이 그림은 일적십거 무궤화삼의 부연설명에 해당하..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8 - 일적십거 6) 일적십거(一積十鉅) 천부경 수리에 쉬운 부분은 없지만, 그 중에서도 수위를 다투는 부분이 "하나를 쌓아 열로 커진다" 는 이 단락일 것 같다. 삼진수(三進數) 체계에서 느닷없이 십진수 체계로 넘어가는 데다가, 납득할 만한 논리적 근거가 어딘지 짐작하기조차 힘들기 때문이다. 최재..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7 -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5)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지금까지와 같이 원둘레, 중심, 반지름으로 천지인 삼극을 이해하는 것은 석삼극(析三極)의 측면보다는 무진본(無盡本)의 측면 에 중점을 둔 것이다. 그런데 이 관점에서는 창조와 분화의 현실적 모습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천부경의 수체계..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6 - 일석삼극 3)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 한은 시작없는 시작인 하나요, 그러므로 하나의 시작이기는 하지만 시작이라고도 할 수 없는 한이다. 이 진리를 아는 이는 어떻게 말해도 틀렸다 할 것이요, 모르는 이는 어떻게 말해도 모르겠다 할 것이니, 말이 필요없는 자리라 하는 것이 바로 이 것을 가리..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5 - 천부경의 `한` 4. 천부경의 이해 1) 지심대도술 무극대도의 한 갈래인 태을교의 신앙대상인 증산 선생은 "지심대도술(知心大道術)이라 하는 말을 남겼는데, 이는 마음을 아 는 것이 큰 도술 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천도교의 핵심 가르침의 하나가 수심정기이니, 결국 무극대도가 추구하는 진리의 핵심은 ..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4 - 수심정기 3. 수심정기(守心正氣) 1) 천도교의 수행법 수심정기는 천도교의 고유한 수행법이다. 수운 선생은 동경대전의 논학문에서 "몸이 몹시 떨리면서 밖으로 접령하는 기운이 있고 안으로 강화의 가르침이 있으되, 보였는 데 보이지 아니하고 들렸는데 들리지 아니하므로 마음이 오히려 이상해.. 천부경 2015.01.13
[스크랩] 천부경과 수심정기 3 - 천부경과 무극대도 2. 천부경과 무극대도 1) 천부경과 풍류 천부경을 한겨레 고대문화의 중심경전이라고 인정하면, 천부경이 곧 풍류의 중심경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풍류는 신라말의 대학자인 고운 최치원 선생이 쓴 '난랑비서(鸞郞碑序)'란 글에서 소개된 한겨레의 고대종교 이름이다. "나라에 현묘지도(.. 천부경 201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