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小學 立敎第一 . 小學 <立敎第一> 立敎,000 子思子曰,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則天明, 遵聖法, 述此篇. 俾爲師者, 知所以敎. 而弟子知所以學. 자사자(子思子)가 말하기를 , "하늘이 사람에게 명령한 것을 성(性), 성에 따르는 것을 도(道). 도를 닦는 것을 가르침(敎)이라고 한다," 하였.. 소학 2013.04.13
[스크랩] 小學 明倫第二 . 小學 明倫第二 명륜편에서는 어버이와 자식, 임금과 신하, 남편과 아내, 어른 과 아이, 벗과 벗사이의 도리로 인간도덕의 윤리인 오륜과 통론의 여섯가지로 구분하였으며 모두 108장이다. 000 孟子曰, 設爲庠序學校, 以敎之. 皆所以明人倫也. 稽聖經, 訂賢傳, 述此篇, 以訓蒙士. 맹자가 말.. 소학 2013.04.13
[스크랩] 小學 敬身第三 . 小學 敬身第三 이편에서는 몸가짐을 공경히 하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심술(心術), 위의(威儀),의복, 음식의 네가지로 구분했으며, 모두 46장으로 되었다. 敬身,000 孔子曰, 君子無不敬也, 敬身爲大. 身也者, 親之枝也. 敢不敬與. 不能敬其身, 是傷其親. 傷其親, 是傷其本. 傷其本, 枝從而亡.. 소학 2013.04.13
[스크랩] 小學 稽古第四 . 小學 稽古第四 稽古 옛일을 상고(詳考)(고찰(考察))함 稽 상고할 계 ㉠상고하다(詳考--), 조사하다(調査--) ㉡헤아리다 ㉢논의하다(論議--), 상의하다(相議ㆍ商議--) ㉣묻다, 점을 치다 ㉤셈하다, 세다 ㉥견주다 ㉦맞다, 서로 같다 ㉧머무르다, 멈추다 稽古,000 孟子道性善, 言必稱堯舜. 其言.. 소학 2013.04.13
[스크랩] 小學 嘉言第五 1~50 . 小學 外篇 嘉言第五 가언(嘉言)은 훌륭한 말, 선한 말이란 뜻으로 한대(漢代) 이후 현인들의 훌륭한 말을 수록해 놓았다. 광입교(廣立敎), 광명륜(廣明倫), 광경신(廣敬身) 세편으로 나누어 내편에서 말한 입교(立敎), 명륜(明倫), 경신(敬身)의 내용을 확충하고 있다. 모두 91장이다. 嘉言,0.. 소학 2013.04.13
[스크랩] 小學 嘉言第五 51~91 . 小學 外篇 嘉言第五 嘉言,051 伊川先生曰, 近世淺薄, 以相歡狎, 爲相與, 以無圭角, 爲相歡愛. 如此者, 安能久, 須是恭敬. 君臣朋友, 皆當以敬爲主也. 이천 선생이 말하기를 "요사이 세상 사람은 천박하여 서로 즐기고 예절없이 무관하게 지내는 것을 가지고 뜻이 맞는다 하고, 원만하여 모.. 소학 2013.04.13
[스크랩] 小學 善行第六? 1~40 . 小學 善行第六 선행(善行)은 한대(漢代) 이후의 현자들이 행한 선한 행실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가르침의 시작(立敎), 인륜을 밝힘(明倫), 몸을 삼감(敬信)의 가르침을 실증하였다. 모두 81편으로 ‘입교를 실증한다’(實立敎), ‘명륜을 실증한다’(實明倫), ‘경신을 실증한다’(實敬身.. 소학 2013.04.13
[스크랩] 小學 善行第六? 41~81 . 小學 善行第六 善行,041 近世故家惟晁氏, 因以道申戒子弟, 皆有法度. 群居相呼, 外姓尊長, 必曰, 某姓第幾叔若兄. 諸姑尊姑之夫, 必曰, 某姓姑夫某姓尊姑夫. 未嘗敢呼字也, 其言父黨交游必曰, 某姓幾丈. 亦未嘗敢呼字也. 當時故家舊族, 皆不能若是. 근세의 고가(故家) 중에 조(晁)씨만이 .. 소학 201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