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스크랩] 小學 立敎第一

장안봉(微山) 2013. 4. 13. 09:43

.

 

 

 

小學

 

<立敎第一>

 

立敎,000

子思子曰,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則天明, 遵聖法, 述此篇. 俾爲師者, 知所以敎. 而弟子知所以學.

 

자사자(子思子)가 말하기를 , "하늘이 사람에게 명령한 것을 성(性), 성에 따르는 것을 도(道). 도를 닦는 것을 가르침(敎)이라고 한다," 하였다. 하늘의 밝은 명령을 법칙으로 하고 , 성인(聖人)의 법도에 따라 이 편을 지어서, 스승된자로 하여금 가르칠 바를 알게 하고, 제자된자로 하여금 배울 바를 알게 하노라.

 

 

立敎,001

列女傳曰, 古者, 婦人妊子, 寢不側. 坐不邊. 立不蹕. 不食邪味. 割不正不食. 席不正不坐. 目不視邪色. 耳不聽淫聲. 夜則令瞽誦詩. 道正事. 如此則生子, 形容端正. 才過人矣.

 

열녀전(烈女傳)>에 말하기를 , " 옛날에는 부인이 아이를 배면, 잠잘 때 몸을 기울게 하지 않으며, 앉을 때 한쪽이 치우치게 하지 않으며, 설 때 한쪽 발에만 의지 하지 않았다.맛이 정상이 아닌것을 먹지 않으며, 벤곳이 반듯하지 않으면 먹지 않으며, 자리가 반듯하지 않으면 앉지 않았다. 눈으로는 사악(邪惡)한 빛을 보지 않으며, 귀로는 음란한 소리를 듣지 않으며, 밤에는 소경을 시켜 시(詩)를 외우고 바른 일을 이야기하게 했다." 하였다. 이와같이 하여 아들을 낳으면 형용(形容)이 단정하고 재주가 남보다 뛰어났다고 한다.

 

 

立敎,002

內則曰, 凡生子, 擇於諸母與可者, 必求其寬裕慈惠溫良恭敬愼而寡言者, 使爲子師.

子能食食敎以右手. 能言男唯女兪. 男鞶革, 女鞶絲.

六年敎之數與方名. 七年男女不同席, 不共食. 八年出入門戶及卽席飮食, 必後長者, 始敎之讓. 九年敎之數日.

十年出就外傅, 居宿於外, 學書計, 衣不帛襦袴, 禮帥初, 朝夕學幼儀, 請肄簡諒.

十有三年學樂誦詩, 舞勺, 成童舞象, 學射御. 二十而冠, 始學禮, 可以衣裘帛, 舞大夏, 惇行孝悌, 博學不敎, 內而不出. 三十而有室, 始理男事, 博學無方, 孫友視志. 四十始仕, 方物出謀發慮, 道合則服從, 不可則去. 五十命爲大夫, 服官政, 七十致事.

女子十年不出, 姆敎婉娩聽從, 執麻枲, 治絲繭. 織紝組紃, 學女事, 以共衣服, 觀於祭祀, 納酒漿籩豆葅醢, 禮相助奠.

十有五年而笄, 二十而嫁. 有故二十三而嫁. 聘則爲妻, 奔則爲妾.

 

내칙(內則)>에 말하기를 " 아들을 낳으면 여러 어머니나 그밖에도 할 수 있는 자중에서 반드시 너그럽고, 인자하고, 온화하고, 공경하며, 신중하고, 말이 적은 사람을 가려서 아이의 스승이 되게 한다.

아이가 능히 밥을 먹게 되면 오른손으로 먹도록 가르치며, 능히 말을 하게 되면 사내아이는 빨리 대답하고, 여아는 느리게 대답하게 하며, 사내아이는 띠를 가죽으로 하고,여아의 띠는 실로 한다.

여섯살이 되면 숫자와 방위(方位)의 이름을 가르치고, 일곱살이 되면 남아와 여아의 자리를 같이 하지 않게 하며, 음식도 함께 먹지 않게 하고, 여덟살이 되면 들어가고 나갈 때와 모임의 자리에 나아갈때와 음식을 먹을때에는 반드시 어른보다 나중에 하게 하여 사양하는 도리를 가르치고, 아홉살이 되면 숫자 세는법을 가르친다.

열살이 되면 바깥 스승에게 나아가 배우고 바깥 방에서 거처하고 잠자며, 글씨와 셈을 배우게 한다. 명주 저고리와 바지를 입히지 않으며, 예절은 초보적인 것에 따르게 하며, 아침 저녁으로 어린이로써의 예의를 배우게 하되 간략하고 알기 쉬운 것을 청하여 익히게 한다,

열세살이 되면 악(樂)을 배우고 시(詩)를 외우며 작(勺)으로 춤추게 한다. 성동(成童)이되면 상(象)으로 춤추고 ,활쏘기와 말타기를 배우게 하고, 스무살이 되면 관례(冠禮)하고 비로소 예를 배우며, 갑옷과 명주옷을 입을 수 있으며, 대하(大夏)를 춤추며, 효제(孝悌)를 돈독(敦篤)히 행하며, 널리 배울 뿐 남을 가르치지 않으며, 덕(德)을 속에 쌓을 뿐 겉으로 드러내지 않으며. 서른 살이 되면 아내를 맞이하여 비로소 한 남자로써의 일을 처리하며, 널리 배워 일정함이 없으며, 벗과 화순(和順)하게 사귀어서 그 뜻을 보고, 마흔살이 되면 비로소 벼슬하며, 사물에 대응하여 계책(計策)을 내며 ,임금과 도(道)가 맞으면 복종하고 옳지 않으면 벼슬을 버리고 떠나 가며, 쉰 살이 되면 대부(大夫)에 임명되어 관부(官府)의 정사(政事)를 맡아 보며. 일흔 살이 되면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 난다." 하였다.

여아는 열살이 되면 규문(閨門) 밖에 나가지 않으며, 보모(保母)가 유순한 말씨와 태도 그리고 남의 말을 잘 듣고 순종하는 일을 가르친다. 삼베를 짜며, 누에를 처서 실을 뽑의며,명주를 짜고, 실띠를 짜는 등 여자가 하는 일을 배워서 의복을 제공하게 하고, 제사에 참관하여 술, 초(醋), 대나무 제기(祭器), 나무제기, 김치와 젓갈 같은 것을 올려서 어른을 거들어 제물 올리는 일을 돕게 한다,

열 다섯이면 비녀를 꽂고 스무살이 되면 시집을 가는데 연고가 있으면 스물세살에 시집 간다. 예절을 갖추어서 맞이하여 가면 아내가 되고 그대로 가면 첩이 된다.

 

 

立敎,003

曲禮曰, 幼子常視毋誑, 立必正方, 不傾聽.

 

곡례(曲禮)에 말하기를 , " 어린 아이에게는 항상 속이지 않는 것을 보여 주어야 하고, 설 때에는 반드시 방향을 바르게 하며, 귀를 기울여서 듣지 않게 해야 한다." 하였다.

 

 

立敎,004

學記曰, 古之敎者, 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

 

학기(學記)에 말하기를 " 옛날의 교육은 집에 숙(塾)이 있고, 당(黨)에는 상(庠)이 있고, 술(術에는 서(序)가 있으며, 나라에는 학(學)이 있었다.

 

 

立敎,005

孟子曰, 人之有道也, 飽食暖衣, 逸居而無敎, 則近於禽獸. 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맹자가 말하기를 " 사람에게는 도(道)가 있다.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히 살면서 교육이 없으면 그것은 금수(禽獸)에 가깝다. 성인(聖人)이 이것을 근심하여 설(契)을 사도(司徒)에 임명하여 인륜을 가르치게 하니, 아버지와 아들은 친애(親愛)함이 있고, 임금과 신하는 의리(義理)가 있고,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고,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고,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다." 하였다.

 

 

立敎,006

舜命契曰, 百姓不親, 五品不遜, 汝作司徒, 敬敷五敎, 在寬. 命夔曰, 命汝典樂. 敎冑子, 直而溫, 寬而栗, 剛而無虐, 簡而無傲. 詩言志, 歌永言, 聲依永, 律和聲. 八音克諧, 無相奪倫, 神人以和.

 

순(舜)이 설(契)에게 명하기를 "백성이 친목하지 않으며, 오품(五品)이 화순(和順)하지 않다. 너를 사도(司徒)에 임명하니, 오륜의 가르침을 펴되 관대(寬大)하게 하라." 하였다. 기(夔)에게 명하기를 " 너를 전악(典樂)에 임명한다. 주자(胄子)를 가르치되, 곧으면서도 온하하며, 너그러우면서도 씩씩하며, 굳세면서도 사납지 않으며, 크면서도 거만함이 없는 성격이 되게 하라. 시(詩)는 뜻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고, 노래는 가락을 붙여서 길게 말하는 것이며, 소리는 말을 길게 하는 데서 생기는 것이고,율(律)은 소리가 협화(協和)한 것이다. 팔음(八音)이 잘 조화되어 서로 조화를 잃는 일이 없으면 신(神)과 사람이 모두 화순하게 될 것이다." 하였다.

 

 

立敎,007

周禮, 大司徒以鄕三物, 敎萬民而賓興之.

一曰, 六德, 知仁聖義忠和.

二曰, 六行, 孝友睦婣任恤.

三曰, 六藝, 禮樂射御書數.

以鄕八刑, 糾萬民.

一曰, 不孝之刑. 二曰, 不睦之刑. 三曰, 不婣之刑. 四曰, 不弟之刑.

五曰, 不任之刑. 六曰, 不恤之刑. 七曰, 造言之刑. 八曰, 亂民之刑.

 

주례(周禮)에 "대사도(大司徒)가 향(鄕)의 세가지 일로 만백성을 가르쳤으며 그중에서 우수한 자를 뽑아서 향음주례(鄕飮酒禮)의 빈(賓)으로 대우하고, 어진 선비로 나라에 천거 했다.

첫째, 6덕(德)이니 지(知). 인(仁). 성(聖). 의(義). 충(忠). 화(和)이며,

둘째, 6행(行)이니 효(孝). 우(友). 목(睦). 인(姻). 임(任). 휼(恤)이며.

셋째, 6예(藝)이니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이다.

향(鄕)의 여덟가지 형벌(刑罰)로 만백성을 바로 잡았으니,

첫째는 불효에 대한 형벌. 둘째는 친족끼리 화목치 못한 행위에 대한 형벌. 셋째는 타성(他姓) 친척끼리 친목치 않는 행위에 대한 형벌. 넷째는 어른에게 공손치 못한 행위에 대한 형벌.

다섯째는 벗에게 신의(信義)가 없는 행위에 대한 형벌, 여섯째는 가난한 자를 구휼(救恤)치 않는 행위에 대한 형벌. 일곱째는 말을 조작한 행위에 대한 형벌. 여덟째는 백성을 혹란(惑亂)시킨 행위에 대한 형벌이다," 하였다.

 

 

立敎,008

王制曰, 樂正, 崇四術, 立四敎. 順先王詩書禮樂以造士. 春秋敎以禮樂. 冬夏敎以詩書.

 

왕제(王制)에 말하기를 " 악정(樂正)이 네 가지 도(道)를 숭상하고 네가지 가르침을 베풀어서 선왕(先王)이 마련한 시(詩). 서(書). 예(禮). 악(樂)의 교도방법(敎導方法)에 따라 선비를 양성했다. 봄과 가을에는 예와 악을 가르치고 겨울과 여름에는 시와 서를 가르친다." 하였다.

 

 

立敎,009

弟子職曰, 先生施敎, 弟子是則, 溫恭自虛, 所受是極. 見善從之, 聞義則服, 溫柔孝弟, 毋驕恃力. 志毋虛邪, 行必正直, 游居有常, 必就有德. 顔色整齊, 中心必式. 夙興夜寐, 衣帶必飭. 朝益暮習, 小心翼翼. 一此不懈是謂學則.

 

제자직(弟子職)에 말하기를 "스승이 가르치면 제자는 이것을 본 받으며, 온순 하고 공손하게 하며 스스로 겸허해서 배우는 바를 극진히 해야 한다. 선한 것을 보면 그것에 좇고, 의로운 일을 들으면 그것을 실천해야 하며, 온화하고 유순하며, 부모에게 효도하고, 어른을 공경해야 하며, 제 능력을 믿고 교만한 마음을 가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 뜻은 거짓됨과 사특함이 없어야 하며, 행실은 반드시 바르고 곧아야 하며, 노는 곳과 거처가 일정하여 반드시 유덕한 이를 선택해야 하고, 얼굴 빛을 바르게 하면, 마음도 경건하게 되는 것이니, 아침 일찍 일어나 밤에 잠 잘 때까지 옷과 띠를 반드시 정제(整齊)해야 하고, 아침에 더 배우고 저녁에 익혀서 조심하고 삼가야 하며, 한결같이 이렇게 하며 게을리 하지 않는것, 이것을 일컬어 배우는법이라고 한다." 하였다.

 

 

立敎,010

孔子曰, 弟子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공자가 말하기를 " 자제(子弟)된 자는 집에 들어가면 부모에게 효도하고, 밖에 나가면 어른에게 공손하며, 근신(謹愼)하고 믿음이 있으며, 널리 뭇사람을 사랑하되 특히 어진 사람을 친애(親愛)한다. 이런 일들을 실천하고도 남는 힘이 있으면 곧 글을 배워야 한다 ," 하였다.

 

 

立敎,011

興於詩, 立於禮, 成於樂.

 

시(詩)에서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마음을 일으키며, 예(禮)에서 사물에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의지(意志)를 세우며, 악(樂)에서 성정(性情)을 도야(陶冶)하며 도덕적인 인격을 성취한다.

 

 

立敎,012

樂記曰, 禮樂不可斯須去身.

 

악기에 말하기를, " 예(禮)와 악(樂)은 잠시도 몸에서 떼놓을 수 없는 것이다." 하였다.

 

 

立敎,013

子夏曰, 賢賢, 易色, 事父母, 能竭其力, 事君能致其身, 與朋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자하가 말하기를 " 어진 사람을 좋아 하되 여색(女色)을 좋아 하는 마음과 바꿀 수 있으며, 부모를 섬기되 능히 그 힘을 다 할 수 있으며, 임금을 섬기되 능히 그 몸을 바칠 수 있으며, 벗과 사귀되 말에 믿음이 있다면 비록 배우지 않았다 해도 나는 반드시 배웠다고 말할 것이다."하였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小學 明倫第二 60~108  (0) 2013.04.13
[스크랩] 童蒙先習(동몽선습)  (0) 2013.04.13
[스크랩] 小學 明倫第二  (0) 2013.04.13
[스크랩] 小學 敬身第三  (0) 2013.04.13
[스크랩] 小學 稽古第四  (0) 201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