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흰색바탕에 붉은 글씨의 홍일묘(紅日廟) 흰색바탕에 붉은 글씨의 홍일묘(紅日廟)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에 소재하는 "홍일묘(紅日廟)" 입니다. 백두대간 여남지맥 끝자락 (낙동2길 133)으로 아주 고즈넉한 곳이지요, 나각산(螺角山: 240m) 산행이나 국토종주자전길 인근이라 지나는 길손들이 늘 궁금해 하는 목재와가(木材瓦家) 맞배..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상주관광의 靑信號!!!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상주관광의 靑信號!!! 생물자원(生物資源)의 조기발굴을 통하여 생물주권 확립 및 지역 생물자원의 체계적 관리 · 연구를 위하여 권역별로 생물자원관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擡頭)되어 건립된 상주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09년에 시작을 하여 2014..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모양새와 성격이 독특한 「상주 천주교 신앙고백비」 모양새와 성격이 독특한 「상주 천주교 신앙고백비」 백두대간상 백학산에서 동으로 가지를 친 남산소맥이 개운재를 지나 북으로 방향을 돌리기 전에 남으로 뻗은 석단산(石壇山:212.9m) 자락 얕은 골짜기에 비스듬히 누운 자연석 기단 위에 그 모양새와 성격이 희귀한 한 기의 비(碑)가 ..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통일을 염원하는 「고려대전」 통일을 염원하는 「고려대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684에 소재하는 「고려대전高麗大殿」은 1995년 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에 완공한 곳으로, 고려대전 대제(大祭)는 고려역사를 재조명하고 고려시대의 충신(忠臣)과 공신(功臣)을 기억(記憶)하며 통일을 염원하는 행사로, 주관은 사단법..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김축(金軸) 부자(父子)! 두 난(亂)에 순절(殉節)하다. 김축(金軸) 부자(父子)! 두 난(亂)에 순절(殉節)하다. 백두대간 「갈령작약지맥」이 작약산 시루봉에서 동으로 가지를 뻗어 이안 중심부에 대가산(大駕山:325m)을 솟구치고, 다시 서쪽으로 가지를 쳐 이안천을 바라보며 감싸 안은 곳에 김축(金軸) 부자(父子)의 충효각(忠孝閣)이 있으니, 상..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천감지지(天感之地)의 감암정(感巖亭) 천감지지(天感之地)의 감암정(感巖亭) 입니다. 백두대간 상주「갈령작약지맥」의 작약산 시루봉에서 동으로 한 줄기를 뻗어 서봉을 이루고, 다시 대가산으로 한 줄기를 내 보내고 듬재산이 솟는다. 이 산의 남쪽 끝자락으로 지방도 32호선 변에 소박한 정(亭)이 자리하고 있으니, 천감지..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남재사(南齋舍)는 4성씨((姓氏:郭·權·曺·蔡)의 남재사(南齋舍)는 4성씨((姓氏:郭·權·曺·蔡)의 아름다운 화합의 장(場)!!! · 백두대간 「밤원숭덕지맥」이 공검의 국사봉을 빗고, 예주고개로 내려앉았다가 다시 큰 산을 이루니, 고녕가야국(古寧伽倻國)의 진산으로 알려지고 있는 숭덕산(崇德山:231m)이다. 이 산의 동남쪽으로 뻗어 ..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또 하나의 삼산이수의 명승지 함창 금곡 봉황대(鳳凰臺) 또 하나의 삼산이수의 명승지 함창 금곡 봉황대(鳳凰臺) 상주에는 중동면 우물리에 세칭 이수(二水: 낙동강, 위강)삼산(三山: 속리산, 일월산, 팔공산)의 명승지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데, 또 한곳의 이수삼산의 승경지가 있으니 함창읍 금곡리(산69-1)의 봉황대(鳳凰臺)이다. 이 ..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그 원류는 동일(同一)하다!!! 동원정(同源亭) 그 원류는 동일(同一)하다!!! 동원정(同源亭) 상주시 은척면의 「동원정 同源亭」입니다. 두곡2길 84-7(두곡271)에 소재 합니다. 백두대간 "갈령작약지맥"이 칠봉산을 지나 뭉어리재에서 잠시 쉬었다가 작약산을 들어올리기 전 용산에서 동으로 길게 내리 뻗은 산줄기로 텃골 마을 바로 옆 ..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
[스크랩] Noblesse oblige를 실천한 상주의 선비, 창석(蒼石) 이준(李埈)선생 Noblesse oblige를 실천한 상주의 선비, 창석(蒼石) 이준(李埈)선생 창석 이준 선생은 1560년(명종15)에 상주시 청리면 송학동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흥양(興陽), 자(字)는 숙평(叔平), 別號는 창석(蒼石)이시다. 祖父는 탁(琢)으로 종사랑(從仕郞)이었고, 父는 수인(守仁)으로 증직(贈職)이 좌승.. 여행이야기(경북상주) 2016.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