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작시 실습 공간 | < < | 측성爲 | 靜 < 평성 蘆 < 寒 | 위 정 노 한 | < < | 君 | 夜 < 雁 < 砧 | 군 야 안 침 < | | < 평성傳 < 측성 不 | 煙 .. 한시작법 2014.02.20
[스크랩] 작시연습 1.준비 먼저 초등학교 한자공책 독음 칸에 평측식을 적어 놓는다. 시제와 운통을 정하여 운자를 고르고 운각을 달아 다리를 놓는다.옛시에 차운 하는 것도 한 방법이나 근체시는 일운도저 이므로 한 운통인지 반드시 확인 할 것.같은 자이나 다른 운목에 속하는 것이 수두룩 하다. 또 운각.. 한시작법 2014.02.20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平聲(평성)과 仄聲(측성) 구분법 초보자를 위한 平聲(평성)과 仄聲(측성) 구분법. // 이 글은 극히 초보자의 시각에 맞추어 쓴 것임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두보와 이태백이 중심이 되었던 당나라 이전에는 정형시가 없었습니다. 韻字는 있었지만 평성과 측성에 관한 定形은 없었고, 자유로운 형식의 시였는데 글자 수도 .. 한시작법 2014.02.20
[스크랩] 한시의 형식 <<한시의 형식>> 한시의 기초적인 형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고체시(古體詩) 고체시(또는 ‘고시’라고도 한다.)는 당나라 초기에 근체시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지어진 시체를 말한다. 시형을 살펴보면, 시구(詩句)에 별 제한이 없고(4 구인 것에서부터 그 이.. 한시작법 2014.02.20
[스크랩] (한시를 즐기기 위한) 한문읽기입문 (한시를 즐기기 위한) 한문읽기입문 차 례 첫째마당 ― 한자를 외우자 둘째마당 ― 한문을 읽자 셋째마당 ― 한시를 읊어보자 첫째마당 ― 한자를 외우자 지금 북반부에서는 한자를 쓰지 않는다. 우리 나라 언어생활에서 한자를 몰라도 특별히 불편한 일은 없으나 한자문화권인 우리 .. 한시작법 2014.02.20
[스크랩] 한시의 창작기법 ㉱.押韻과 平仄 A.압운 : 韻母가 같은 자끼리 詩行의 끝에 쓰는 것. a.絶句詩의 경우 : 1 , 2 , 4 행의 끝이나 또는2 , 4 행의 끝에 씀. b.律詩의 경우 : 1 , 2 , 4 , 6 , 8 행의 끝에 주로 쓰며, 때로는 1행의 끝에는 쓰지 않음. *押韻은 주로 평성이 많이 쓰였으나 仄聲도 때로 쓰였음. B.평측 : 平.. 한시작법 2014.02.20
[스크랩] 한시의 이론 ㉮.漢詩의 定義 : 漢詩는 말할 것도 없이 한자를 표현수단으로 한 詩를 말한다. 詩인지라 作者의 思想과 感情이 韻律을 빌어서 문자로 표현한 것이다. ㉯.漢詩의 起源 : 중국 고대의 시를 최초로 시집으로 편찬한 <詩經>에서 그 유래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 <詩經>을 집대성한 孔.. 한시작법 2014.02.20
[스크랩] 古 時 調 115首 古 時 調 115首 古 時 調 115首 [가] 올해 댜른 다리 (김 구) 가노라 삼각산(三角山)아 (김상헌) 이런들 엇더하며 (이방원) 가마귀 눈비 마자 (박팽년) 이 몸이 주거 가셔 (성삼문) 가마귀 싸호는 골에 (정몽주 어머니) 이 몸이 주거 주거 (정몽주) 가마귀 검다 하고 (이 직) 이시렴 브디 갈따 (성.. 한시작법 2014.02.13
[스크랩] 당시330수강의록정리(芝山) 한학기동안 당시 300수를 잘 배웠습니다. 하루도 결석하지 않고 열심히 배웠으나 머리속에 남은 것은 하나도 없는 것같습니다. 선생님의 설명을 열심히듣고 기록하였습니다. 그리고 보내주신 그림도 정리하여 넣어는데 메일에서는 그림과 서예작품이 떠지 않았습니다. 그림이나 글씨가 .. 한시작법 2014.02.13
[스크랩] 평성(平聲)과 측성(仄聲)을알면 한시(漢詩)이해의도움이된다 평측을 알면 한시가 보인다. 가슴속 정한을 몇 줄의 한시로 나태내는 일은 분명 매력적인 일입니다. 한시를 짓는데 있어서 가장 힘들고도 어려운 일이 있습니다. 바로 평측과 압운이라는 것인데 처음엔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평측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 한시작법 201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