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상량문 쓰는 법 1. 龍 地 天 運 時 通 昭 泰 臨 西 紀 貳 阡 七 年 月 日 時 立 柱 上 樑 龜 2 . 세로로 긴(들보에 맞춰서)비단, 무명, 또는 종이에 맨 위에 용 龍자를 크게 거꾸로 쓰시고 세로로 某年某月某日立柱上樑 (들보를 세움에 있어) 이라고 쓰신 후에 立 입 柱 주 上 상 樑 량 입주상량 (들보를 세움에 .. 재실 2013.10.10
[스크랩] 생활의 지혜 / 혼예 등 일절 소개 --> 생활 예절 07.02.28 12:35 관리자 HIT 15 DOWN 0 --> DOWN 0 --> --> -->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예절이란 무엇인가?호칭과 지칭촌수 따지는 법계촌법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한국은 예절의 나라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예절의 종류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친족의 호칭며느리와 시댁외가의 관계 명칭처가와 사위의 관계사돈간의 호칭 배례법과 경례,악수 예절예절의 방위와 상하석공통예절읍례와 굴신례절의 종류와 절하는 법경례의 종류와 방법악수의 방법예절의 방위남좌여우는 남동여서상하석의 기준.. 재실 2013.09.27
상례축 . 산신축 (山神祝) : 묘역 일을 시작하기 전 묘역 바로 위에다 잔(盞, 술잔), 실과(實果, 과일), 포(飽, 북어 포)를 진설하고 산신께 고하는 축이다. 상주(喪主)의 친지 중에서 상주를 대신하거나 지관(地官)이 지낸다. 적어도 1주일 정도 부부관계를 하지 않은 정갈한 사람이 지내야 뒤탈이 없.. 재실 2013.05.12
[스크랩] 제사 지방 쓰기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位牌), 즉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이 있었다. 사당은 조선시대 양반층이 먼저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가 되면 각계각층으로 일반화되었다. 가난한 사람들도 집안 한쪽에 간단하게나마 조상의 위패를 모신 자리를 마련하였다. 제사를 지낼 때는 이 위패.. 재실 2013.05.04
[스크랩] 제사 지방 쓰기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位牌), 즉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이 있었다. 사당은 조선시대 양반층이 먼저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가 되면 각계각층으로 일반화되었다. 가난한 사람들도 집안 한쪽에 간단하게나마 조상의 위패를 모신 자리를 마련하였다. 제사를 지낼 때는 이 위패.. 재실 2013.05.04
[스크랩] 상림도우(桑林禱雨) . 춘정집 제문(祭文)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4권 > 경사문(經史門) 상림도우(桑林禱雨) 1] 위백양(魏伯陽)이 이르기를, “탕(湯)은 액운(厄運)을 만나 수재(水災)와 한재(旱災)가 겹쳤다.” 하였는데, 이는 하늘에 이런 액운이 있는데 탕이 마침 그 시기를 만난 것이지 그가 어떤 허물이 있어서 그렇게 된 .. 재실 2013.04.30
[스크랩] 問喪과治葬,葬墓文化의改善 - 林 鍾 泰 선생 기별 4 일자 2008-05-19 영역 상장례 問喪과治葬,葬墓文化의改善 林 鍾 泰 問喪과 治葬, 葬墓文化의 改善 1.문상(問喪)과 부의(賻儀) 가. 성복전 문상(成服前問喪) (1) 전통 상례는 원래 성복전에는 가까운 일가친척 외에는 문상 이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은 문상객이 성복여부에 관계하지 않고.. 재실 2013.02.13
[스크랩] 혼례 토론 자료 - 2 婚 姻 禮 제4기 吳 東 昇 1. 現代婚禮의 批判 최근 우리 나라의 현대혼례는 전통혼례와 서구의 혼례 문화가 혼합된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우리 나라에 서구식 혼례가 처음 소개된 것은 1920년 왕세자 이은과 방자 여사의 혼인에서였다. 이후 청첩이나 답례품, 피로연 등의 서구식 혼례 문화.. 재실 2013.02.13
[스크랩] 혼례 토론 자료 - 1 목 차 1. 혼례에 대한 비판과 발전 방향권 귀 자1 2. 혼례 토론 자료권 영 순4 3. 전통혼례 및 현대혼례의 비판과 경향김 광 조6 4. 전통혼례 및 현대혼례의 비판과 발전적인 방향김 국 원8 5. 전통 및 현대혼례의 비판과 발전 방향김 덕 중11 6. 전통 및 현대혼례의 비판과 발전 방향김 병 학12 7... 재실 201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