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四十四章 .
名與身孰親, 身與貨孰多, 得與亡孰病.
명여신숙친, 신여화숙다, 득여망숙병.
是故甚愛必大費, 多藏必厚亡, 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시고심애필대비, 다장필후망,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
명분과 신분 중에 무엇이 더 자기 심상에 친숙하게 여겨질 것이라 할 것인가 신분과 재물 중에 어느 것이 더 價値(가치)가 많다 할 것인가 얻음과 없앰 중에 어느 것이 더 病 (병탈)이 된다 할 것인가 이러므로 甚(심)하게 사랑하는 것은 畢竟(필경)은 그 浪費(낭비)가 消耗(소모)가 많게 될 것이고, 많이 貯藏(저장) 하려 드는 자는 그 필경 그 없어지는 것도 두텁게 될 것이다 족함을 알면 辱(욕)되지 않을 것이며 머무를 줄 안다면 위태롭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는 長久(장구)하게 保全(보전)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욕심을 버리라는 말이리라
그런데 老聃(노담)의 말은 旣存(기존)을 그 固守(고수)하라는 말로 들리지 그 무슨 지혜롭게 그 물결을 타라는 말로는 들리지 않는다 할 것인지라 그렇다면 그 무슨 發展(발전)을 바라 겠는가 이다 그 위태함을 안는 곳에 상대적으로 그 많은 이득 혜택도 겸하여 있다는 것을 알으라는 것이리라
사냥꾼이 險地(험지)에 曲藝(곡예)를 타지 않으면 큰 수확을 얻어내지 못하듯이 그렇게 자기 一身(일신)을 擔保(담보)로 하는 곳에는 그 얻어지는 수확도 珍貴(진귀) 할 것이라는 것이다라는 필자의 견해는 老聃(노담)이 논리 펼치는 것을 逆說的(역설적)으로 말하여보는 것이다 항상 머무르기만 한다면 언제 갈 것인가 이다 언제 敵(적)이 지칠 때만 기다릴 것이냐 이다 물론 때에 따라선 持久戰(지구전) 籠城(농성)전도 그 유익함을 보는 수가 허다하다 할 것이나 그 時期(시기)를 놓치면 그 災殃(재앙)을 취하는 바라고 가만히 있다간 적에게 當(당)하는 恥辱(치욕)을 당하는 수가 어디 한 두 번이겠느냐 이다 다 그러므로 공격은 최대의 방어라고 계속 전진하는 모션을 취해서만이 그 적이 일어날 기회를 주지 않는다 할 것이라 그 대를 쪼개듯 破竹之勢(파죽지세)의 세력으로 나아가서만이 天下(천하)大權(대권)을 掌握(장악)하게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만 한다 할 것인지라 漁夫(어부)가 投網(투망)을 걺어 졌다면 適時(적시)適所(적소)에 던져 야지만 그 약삭 빠른 고기를 잡는 이득이 있지 머뭇머뭇 거리다간 고만 그 사냥할 고기가 다 도망 갈 것이라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失期(실기)하면 안되고 그 固守(고수)한다고만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우에든 물결을 타고 나아가선 자혜를 발휘하는 속에 그 집단은 繁榮(번영)을 가져오는 것이라 그 작은 한 두가지의 희생을 각오해야만 한다 할 것인지라 구더기 무섭다고 장 못 담구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一路(일로)邁進(매진)할 것을 사람들에게 勸誘(권유) 하는 바이라
그 무슨 일체 입에 발린 甘言(감언) 惑世(혹세) 思想(사상)을 따를 필요가 없는 것이라 그들의 주장을 따르다간 그 사상의 對相(대상) 먹이 체 역할을 할뿐 자신한테는 덕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銘心(명심)하라는 것이라 일체 귀에 솔깃한 理想(이상)에 심신이 황폐화 당하지 말라는 것이리라 이를테면 부처라는 작자가 無所有(무소유)를 主長(주장)하였다해선 그 논리 전개가 귀에 솔깃하다고 해선 그 주장에 동조하고 본다면 그 思想(사상) 펼치는데 소이 남의 氏種子(씨종자) 가는대 그 沃土(옥토)를 대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서 그것을 기를려 할려면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는 종살이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그 어지러운 종자 가는 밭 일찌감치 거둬치우는 것이 그 자신 한테는 이롭지 않겠느냐 이라고 그 大畜(대축) 初爻(초효) 에서는 되묻고 있는 것이다
욕심을 버리고 일체 無所有(무소유)를 指向(지향)한다는 것은 전체주의 사상으로서 共産(공산)理念(이념)과 별반 차이가 없게끔 흘러가게 된다 所以(소이) 그 주장을 펼치는 우두머리가 首魁(수괴)가 그러한 주장을 펼침으로 모든 것을 끝내는 자기 마음대로 권한을 휘들러 掌握(장악)하겠다는 심보인 것이다 그러므로 그 질박한 順民(순민)들은 그 간악한 흉계 속이는 戰術(전술)임을 잊지 말으라는 것이라 일체 親和(친화)를 圖謀(도모)하는 체 하나의 울타리로 얽어 메어선 접근하려는 것은 당신을 그대를 구제하여 주려는 것만은 아닌 것이고 그 활용할 가치가 있음으로 그 무언가가 접근을 하게 되는 것이다 所以(소이) 먹이 대상으로 여긴다는 것이라
말이 누이 좋고 매부 좋고 이지 따지고 보면 그 이용가치가 있음으로 그 접근을 하게 되는 것인 것이다 그러므로 우선 그런 데에는 경계심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所以(소이) 무엇을 '하라' '하자' 는 등의 주장을 펼치는 자는 항상 그 검은 심보를 안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는 것으로 세상을 터전으로 여기는 간악한 흉계를 가진 자들인 것인지라 그 절대로 그 밭 대어줄 理由(이유)가 없는 것이고 오히려 戰勢(전세) 둘러 엎어선 그 '하자'는 무리들의 主長(주장)을 자신의 理想(이상)을 耕作(경작)하는 밭으로 삼을 작전을 구사해야만 한다는 것인지라 그렇게 두뇌 회전이 빨라서만이 이 세상은 그 나에게 유리하게 돌아가지 그러지 않다면 항상 낙오자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것을 각오하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힘차게 뛰고 볼 것이다 일체 나태한 가르침을 추종하고 일신 안녕을 도모할 생각을 거둬치우라는 것이리라 자신의 몸을 담보로 뛰는 자는 반드시 커다란 수확이 따른다는 것을 그 필자가 장담하는 바이라 그만큼 위험 이 따르는 것에는 언제라도 잇권이 크게되어 있는 것이다 所以(소이) 남의 낚시 놓는데 걸려 들 것이 아니라 자신이 낚시 놓는 자가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리라 그 심보가 영악해야만 한다는 것이리라 남은 흉계를 쓰게 하면 안되고 그런 작전에 말려들지 말고 자신은 그러한 남 모르는 흉계를 사용해서라도 그 승리를 이끌 필요가 있다는 것인지라 우에든 목적 추구를 장악하고 볼 것 인지라 세상은 進行(진행)은 둘째치고 결과를 놓고 따지는지라 오직 승자만이 할말이 있고 패배자는 입이 열이라 無言(무언)이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에든 자신은 갖은 야비하고 비열한 수단을 다 사용해서라도 승리해 보고 봐야 하는 것인지라 良心(양심)이라 하는 것은 그 간특한 힘 가진 지배자가 힘 없는 順民(순민)을 愚民(우민)으로 몰아선 속히 수월하게 부려 먹고자 하는데서 부터 생겨난 말인 것이고 그 의미인 것인지라 일체 가책 받는다는 생각을 거둬치우라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心理戰(심리전)에서 비롯된 말인 것이지 그 무슨 양심 따위는 본연에 없는 것이고 그 세상 생김을 볼진데 오직 승냥이 같은 심성이 그 바른 심상이라 할 것임으로 탈취해먹고 잡어 죽이고 하고자 하는데서 그 生(생)의 存續(존속)을 이어가게 지어져 있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야비하고 비열하다하는 것이 戰術(전술)로서 그 능력을 발휘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되는 것이므로 정당성을 부여받는 것인지라 그 야비 비열한 것이 아닌 것이라는 것이리라
勢(세)를 봐서 怖匐(포복)할 적도 있고 아부를 할 적도 있는 것인지라 그 상황을 봐선 별아별 작전을 다 구사하게 된다 할 것임에 하나도 그 무슨 심상에 감상에 젓는 가르침에 얽메일 이유가 없다 할 것임에 일체 심신을 나약하게 하는 쇠뇌하는 가르침이라는 것을 추종할 것이 없고 오직 악다구니 적개심을 일으키는 가르침을 추종해야만 한다 할 것이라 그 겉으로는 내색하지 않고서 속으로 감추고선 그 흉악한 술수를 부리는 계략으로 삼을 것이란 것이다
그래선 일체의 하늘이라 하는 저 잘낫다 하는 세력을 거러 어퍼선 천하를 장악해서만이 진정한 패도자 승자가 된다는 것을 명심할 것이란 것이라 그러므로 그러기 위하여선 모든 수단은 정당시된다는 것을 잊지 말라는 것이다
* 찌르는 까시가 자기 방어를 위해 있는 것이 아니고 우선은 남을 먼저 찌르기 위해서 있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발톱이 생긴 것이고 잇발이가 있는 것이지 그 무슨 자기를 지켜 내겠다하는 데서 생긴 것은 아닌 것이라 그렇게 공격하다보니 자기를 저절로 固守(고수)한 것이 된 것이지 본래 자기를 지키기 위한 수단은 아니라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표독스런 매 발톱을 세우듯이 해서 대상을 할퀴려 들 때 진정한 그 生(생)의 가치가 숨쉰다할 것이다
방어를 말하는 것은 구실 빙자에 불과한 것이고 남의 눈에 좋게 비춰 보여지게끔 말 꾸밈 수단에 불과한 것이라 所以(소이) 속이기 위한 말인 것인지라 그 속이는 작전에 말려 들 필요가 없는 것이다 공격 속에 다 자신을 지키는 수단 防禦(방어) 한다는 것도 하나의 공격 작전으로 는 될 수 있다 곤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그 패배자가 저가 승리 못해선 남의 작전을 그렇게 비열하고 야비한 것으로 몰지 승자에게는 그 정당한 전술에 속하는 것인지라 무슨 방편을 다 동원 해서도 그 정당성이 부여되는 것인지라 갖은 奇詭(기궤)와 欺瞞(기만)전술을 동원해서 그 정상에 우뚝 서선 그 부여된 全權(전권)을 휘둘러 보길 원해야만 한다 할 것인지라 易言(이언)해서 남은 간악하면 안되고 자신은 간악해야만 한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세상을 둘러엎고 王天下(왕천하)로 君臨(군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담의 가르침을 바로 이해 하는 자는 이세상의 진정한 승리자가 될것이고 그 바보처럼 이해 하려 드는 자 소이 글자 어구에 拘 (구애)되어선 그 속박을 벗어나지 못하는 자는 感想(감상) 虛影(허영) 虛無(허무) 주의 思想(사상)에 젓어 들어선 항상 남보다 낙오된 삶을 살 것이라는 것을 주지하라는 것이라 그러므로 어떻게 노담이 진정코 무엇을 말하려 하였던 것인가를 바로 알으라는 것이리라 그 모두가 그 역설적 가르침을 항시 염두에서 떠나면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하라는 것이다
本文 第 四十四章 = 이름과 더불어 심신 중에 어느 것이 더 친근한 것인가? 몸과 재물 중 어느 것이 더 소중한 것인가? (*가치가 많은 것인가?) 얻음과 더불어 없앰에 있어 어느 것이 병됨인 것인가? 이러므로 심하게 사랑하면 필히 크게 심신의 씀을 가져와 허비케 되고 많이 갈무리면 필히 없어짐도 두터워 진다 넉넉함을 알음 욕되지않고 머물를줄 알음 위태롭게 되지 않으니 바르게 오래도록 길게 간다 할 것이다
* 명예와 몸 사이에서 어느 것이 더 소중한 것인가? 몸과 재화사이에서 어느 것이 그 더 값진 것이 많다할 것인가? 얻음과 더불어 잃어버림 사이에서 어느 것을 병 됨을 여길 것인가? 이러므로 심하게 사랑하면 필히 그 낭비도 큰 것이 될 것이다 많은 것을 저장하게 된다면 잃어 없애는 것도 두텁게될 것이다 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머무를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 이런 것을 장구한 버팀을 바르게 한다할 것이다 [ 또는, 바로 장구한 버팀이라 할 것이다]
蘇註
소주
先身而後名 貴身而賤貨 猶未爲忘我也 忘我者 身且不有 而 於名與貨乎
선신이후명 귀신이천화 유미위망아야 망아자 신차불유 이황어명여화호
然貴以身爲天下 非忘我不能 故使天下知名之不足 親貨之不足多 而后知
연귀이신위천하 비망아불능 고사천하지명지부족 친화지부족다 이후지
貴身知貴身 而后知忘我 此老子之意也 不得者 以亡爲病 及其旣得而患失
귀신지귀신 이후지망아 차노자지의야 부득자 이망위병 급기기득이환실
則病又有甚於亡者 惟齊有無 均得喪 而後無病也 愛甚 則凡可以求之者
즉병우유심어망자 유제유무 균득상 이후무병야 애심 즉범가이구지자
無所不爲 能無費乎 藏之多 則攻之者必衆 能無亡乎.
무소불위 능무비호 장지다 즉공지자필중 능무망호.
* 소씨 주석하대. 몸을 앞세우고 명분을 뒷전으로 하고 몸을 귀하게 여기고 재물을 천박히 여김 오히려 나라는 존재를 잊지 못하는것같다 나라는 존재를 잊는다면 육신 또한 두려 않을터인데 (*돌보지 않을 터인데) 항차 명분과 재물이야 말할 나위 있을 건가? 그러히 몸을 귀하게 여겨선 천하를 위하려는 게 나라는 존재를 잊지 못하는 걸 잘못함인지라 그러므로 천하로 하여금 명분이란 게 넉넉하게 가까히 할 것 아니고 재물이란 것도 넉넉하게 많이 가질게 아닌걸 알으킨후에 육신의 귀함을 알게 한다 심신의 귀함을 알은 후에 나라는 존재를 잊게 함을 알게 한다 이런 게 노자 님의 뜻이다 얻지 못하는 자는 얻는걸 갖고 병됨을 삼다가 그 이미 얻음에 밋쳐선 잃어버릴까 근심하나 곧 병됨이 또한 얻을려 할 적 보다 더 심함이 있게 된다 오직 있고 없음을 다스려서 고르게 (*상함 喪=상은 夷와 통한다고 봐서 다 같아 고르게 문드러져서 평이한걸 뜻한다할 것임 따라서) 평등함을 얻은 후에 병 됨이 없다 할 것이다 좋아하는 게 심할 것 같으면 무릇 그렇게(*바르게) 찾으려는 게 잘 허비함이 없다 아니할 바 없다 할 것인가? {(* 그러니까 사랑하는 게 더욱 심하면 구해 나서는 것을 심하게 하여 그로 인한 힘(마음씀의 또는 덕)의 낭비적 소모가 심하다는 뜻이다)} 갈무린 게 많으면 쳐들어와 빼앗으려는 자 많을 것이니 잘 망하지 않는다 할 것인가?
呂註
여주
列士之所徇者名也 而至於殘生傷性 則不知身之親於名也 故曰名與身孰親
열사지소순자명야 이지어잔생상성 즉부지신지친어명야 고왈명여신숙친
貪夫之所徇者貨也 而至於殘生傷性 則不知身之多於貨也 故曰身與貨孰多
탐부지소순자화야 이지어잔생상성 즉부지신지다어화야 고왈신여화숙다
所徇者名 則世謂之君子 所徇者貨 則世謂之小人 君子小人之所徇 雖或不
소순자명 즉세위지군자 소순자화 즉세위지소인 군자소인지소순 수혹부
同 而亡其所存則一也 然則得名與貨而亡其存 則不知亡之病於得也 故曰
동 이망기소존즉일야 연즉득명여화이망기존 즉부지망지병어득야 고왈
得與亡孰病 是故愛名欲以貴其身也 以甚愛之故 幷其良貴而失之 是大費
득여망숙병 시고애명욕이귀기신야 이심애지고 병기량귀이실지 시대비
也 蓄貨欲以富其身也 以多藏之故 幷其至富而害之 是厚亡也 夫唯有德者
야 축화욕이부기신야 이다장지고 병기지부이해지 시후망야 부유유덕자
知至貴之在己而無待於名也 故知足而不辱 知至富之在己 而無待於貨也
지지귀지재기이무대어명야 고지족이불욕 지지부지재기 이무대어화야
故知止而不殆 不辱不殆 則可以長久矣.
고지지이불태 불욕불태 즉가이장구의.
* 여씨 주석하대. 열열한 선비가 쫓는 것은 명분이라서 삶을 쇠잔시키고 본성을 손상시킴에 이르러선 심신이 명분보다 더 가까운 것인 줄 모른다 그런 까닭에 말하길 명분과 더불어 심신 중 어느 게 더 친근한가 하고 탐욕 가진 남자의 쫓는 것은 재물이라서 삶을 쇠잔시키고 본성을 손상시킴에 이르러선 몸이 재물보다 더 값어치가 많이 나가는 줄 모른다 (*즉 몸이 재물보다 더 소중한 것인 줄 모른다) 그러므로 말하길 몸과 더불어 재물 중 어느 것이 더 소중한가 하고 명분을 쫓는 자이면 세상에선 그를 갖다 군자라 하고 재물을 쫓을 것 같으면 세상에선 그를 소인이라 한다 군자와 소인이 추구하는바 비록 혹여 같지 않아도 그 존재하는걸 없애버림에 있어선 한가지임인 것이다 그렇다면 명분과 재물을 얻어서 그 존재(*가진 것)하는 것을 없애면 망하는(*없애버리는) 병 됨이 얻음에서 온다는 걸 모른다 할 것이다 그런 까닭에 말하길 얻음과 함께 없앰 중 어느 것이 병 된 것인가 함인 것이다 이러므로 명분을 좋아해서 그 몸을 귀하게 하고자 하는 자 너무 심하게 사랑함으로써 아울러 그 좋은 귀함을 상실케 되니 이 큰 (*덕)의 허비(*소모)라 하는 것이다 재물을 축적하여 그 일신을 부유롭고자 함은 많은걸 갈무리 게 되므로 아울러 그 지극한 부요로움이 되려 해로움이 되어 이 망하게 됨이 두텁다 함인 것이다 대저 오직 덕을 가진 자 지극한 귀함이 자기에게 있음을 알아서 명분을 기다림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넉넉함을 알면 욕됨이 없다 하는 게요 지극한 부요로움이 자기에게 있는 줄 알아서 재물을 기다림이 없는(*긁어 모을려 함이 없는)지라 그런 까닭에 자제 할줄 알아서 위태롭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욕되지 않고 위태롭지 않으면 그러한 처세술의 방도 (*길의 깨우침) 오래도록 존재케 된다 할 것이다
朴註
박주
多猶重也 亡猶失也 名比於身名 爲疎而身爲親身 比於貨 身爲重而貨爲輕
다유중야 망유실야 명비어신명 위소이신위친신 비어화 신위중이화위경
疎名輕貨 保身之術 重貨親名 生之道 此得失之辨也 故曰得與亡孰病 愛
소명경화 보신지술 중화친명구생지도 차득실지변야 고왈득여망숙병 애
名甚者 至殉以身 所費者大藏 貨多者或害其生 所亡者厚 知足者無藏貨之
명심자 지순이신 소비자대장 화다자혹해기생 소망자후 지족자무장화지
累 知止者無愛名之失 所以不辱不殆 而能長久也
루 지지자무애명지실 소이불욕불태 이능장구야
* 박씨 주석하대. 多=다 즉 많다는 것은 重=중 즉 소중함과 같다 亡=망이란 失=실 즉 잃어버린다는 뜻이다 명분을 심신에 비길 것 같으면 명분은 성긴 것(*소원한 것 =거리가 먼 것)이 되고 심신은 친근한 게 된다 몸을 재물과 비겨 본다면 몸은 소중한 게 되고 재물은 가벼운 게 된다 명분을 성길 게 여기고 재물을 가벼히 여기는 게 몸을 보전하는 방책이다 재물을 소중히 여기고 명분을 친근히 함 삶에 보람 있음을 갖추고자 하는 것이니 이는 얻고 잃음의 분 변 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얻음과 더불어 없앰 중 어느 것이 병 되는 것인가 하고 명분 사랑하길 심하게 하는 것은 몸을 순직함에 이르게 하니 소모 허비하는바가 크다 할 것이다 크게 많은 재물을 갈무리는 자는 혹여 그 삶을 해롭게 하니 잃어버리는 게 (*없애버리는 게) 두텁다 할 것이다 넉넉함을 아는 자 재물을 갈무리는 데 얽매임이 없고 자제할 줄 아는 자 사랑하는 게 없으리니 명분을 잃어버리면 욕되지 않고 위태롭게 되지 않아서 잘 장구하게 갈 수 있다 할 것이다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42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43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45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46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47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