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四十五章 .
大成若缺, 其用不 . 大盈若沖, 其用不窮.
대성약결, 기용불폐. 대영약충, 기용불궁.
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 躁勝寒. 靜勝熱. 淸靜爲天下正.
대직약굴, 대교약졸. 대변약눌. 조승한. 정승열. 청정위천하정.
노담의 말인 즉은 반드름하게 보이는데 풀어보면,
커다란 성취는 흠결이 지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사용에서는 폐단이 없다하고, 커다란 채워짐은 서로간 맞질러 재키는 모습을 그리는 것이지만 그 사용에 있어서는 궁박한 곳으로 몰리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마치 與野(여야) 兩大山脈(양대산맥)의 수레바퀴가 잘 굴러감으로 國家(국가) 經營(경영)이 잘 되어 나가듯이 그런 위상을 말하는 것이다 크나큰 강직함은 도리혀 보기에 굴욕을 느끼는 것처럼 비춰질 수 있고, 커다란 교활함은 그 오히려 옹졸한 것처럼 보여질 수가 있는 문제요 크게 웅변을 토함은 오히려 그 말하는 폼새가 말 잘 못하는 어눌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는 문제라는 것이며 조급한 자는 그 매몰 찬 자를 감당하고, 고요한 자는 무르익은 열기를 감당한다하여선 서로가 주고 받는 양상을 그린다 소이 맑고 고요한 것이 천하의 바름이 된다고 지금 老聃(노담)이 여기선 力說(역설)을 하고 있다 그러니깐 動的(동적)인 것 보다 靜寂(정적)인 것이 더낫다 그 于先(우선)한다 이렇게 말을 하고선 그 對相(대상)을 부추기는 性向(성향)을 그리고 있다
所以(소이) 逆說(역설)논리 그 어찌 그럴 건가 하는 그 反論(반론)을 펴기를 학수고대하는 모습이라는 것이라 所以(소이) 그 反對(반대)를 招待(초대)하고 있는 모습인 것이다
이렇게 반론이 널을 뛰듯 춤을 추기를 학수고대하고 있어선 세상의 발전을 圖謀(도모) 하려고 하는 밑그림을 깔고 있다는 것이다 老聃(노담)의 펼치는 논리 전개에 대하여선 그 반대로 나아간 것이 오늘까지 이어진 곧 歷史(역사)요 世上(세상) 繁榮(번영) 발전이라는 것을 알으라는 것이다 지금 노담이 말을 추종해서 세상이 이렇게 발전 궁글러 온 것이 아니라 그런 것을 逆[역]하여선 그 우에든 克服(극복)하려는 자세를 갖고선 도전정신을 갖고선 도전을 하여온 것이 지금의 세상 현실 모습이라는 것이다
인간 세상만 그런 것이 아니라 만물이 또한 그렇게 자연을 잘 극복함으로서 여기까지 그 種(종)을 번식을 하며 굴러왔다는 것이고 극복하지 못한 種(종)은 자연 淘汰(도태)되고 말았다할 것이다
세상은 활동을 부추겨서만이 그 발전을 보는 것이지 정적으로 고요하게 있음으로 인해서 그발전을 보는 것이 아닌 것이고 오히려 그를 추종한다면 적만한 암흑 죽엄의 세상이 될 것이란 것이리라 그러므로 우에든 활동할수 있는 여건 경쟁체제를 만들어놓고선 거기 돌입하게 해야만 한다 할 것이라 그래선 이판사판 죽기 아니면 까물치기로 머리가 터지도록 쌈박질 하게 함으로서 이 세상은 큰 발전을 보게되는 것이다
오직 사람에게는 가르칠 것은 그 적개심을 부추기는 것을 가르치는 것 이외에는 다른 것을 가르칠 것이 없다 할 것임에 소위 세상을 원수를 삼듯이 그렇게 마음을 부글부글 끓게 해야만 한다는 것이라 서로가 서로를 못잡아 먹어선 불공대천지 원수처럼 여기게 서로가 원한이 쌓이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이고 고만 이를 앙시물고 적개심을 일으켜선 잡아 죽이게 함으로서 그 발전을 보며 통쾌하고 짜릿한 맛을 느끼게 할 수가 있다는 것인지라 그래서 마구마구 고만 속을 박박 긁어 주어선 확 뒤잡 엎게금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 천년 道(도)를 닦은 돌 부처도 속이 상해서 고만 뒤잡아 엎으러 나서게끔 하는 재주를 피워서만이 이 세상은 커다랗고 무궁한 발전 번영을 이루게 된다는 것 그래서 아주 흐드러진 아라한 열반의 꽃을 멋지게 피워 보일수 있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우에든 적개심을 크게 일으킬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장철 군가를 부르고 사기충천하여선 그저 단매에 때려죽일 각오가 서게끔 사람의 마음을 사나운 용기가 꽉 차도록 하여선 풍선이 곧 터질 듯이 해야만 한다 할 것이다
사상 이념으로 對立(대립)角(각)을 세워선 그 갈등을 조성하여선 서로간 利害(이해)를 만들고선 싸움을 하게 하는 것이 그 적개심을 부추기는데 제일 有效(유효)한 작전인 것이다 소이 낮에는 우익 밤에는 좌익 이렇게 패당을 지어 몰려다니면서 반대파 首魁(수괴)를 마구 지게 작대기로 죽창으로 몰매를 가하고 원수가 지게끔 두둘겨 패주고 그렇게 하면 다시 복수전이 일어나고 해선 서로가 으르렁거리고 물어뜯고 하는데 이렇게 해선 지금 반세기의 영화의 터전을 이룩 하여 논 것이 그 이념 갈등 이라는 것인데 所以(소이) 外勢(외세)의 列强(열강)에 의해서 약소한 種(종)으로 몰린 민족들이 그렇게 우롱놀음 적개심의 부추김을 받아선 형제와 동포의 가슴에 총부리를 겨누고 원수 원수 하면서 이래 역사는 굴러 왔다는 것이다 형제와 동포가 서로 물어뜯지 않으면 이만큼의 발전을 圖謀(도모)하겠느냐 이다
美化(미화)하는 무리들이 매국너가 나라를 권력을 강탈 장악 한것 집권한 것 까지 美化(미화)하는 發言(발언)을 하는데 필자의 말은 그런데 대하여서는 아주 鳥足之血(조족지혈)이라 할 것이다 우리가 역사를 보면서 무엇을 배워 왔겠는가 오직 적자생존 논리만 배워 왔지 않겠는가 이다 堯舜(요순)다음 成湯(성탕)이래로 중국의 역사가 그 뒤잡는 법을 가르친 것인지라 오직 힘센 넘이 장땡이라는 것을 역사는 가르치고 있다
그러므로 우에든 지혜를 동원해선 뒤잡아 없는 자만이 왕으로 군림 한다는 것인지라 왕 이외에는 별볼일 없는 종살이들이라 그래 종만 살 것이 아니고 우에든 대어 들어선 거러 엎기를 권유하는 바이라 敢鬪精神(감투정신) 挑戰(도전)精神(정신)을 항상 갖고선 있어선 그 최고라 하는 넘을 거꾸러 엎을 연구를 하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쇠꼬쟁이를 길게 시퍼렇게 갈아 만들어선 그저 사람 대갈바리 정수리서 부텀 항문까지 고기 끔지 꿰듯할 그런 악다구니를 갖어 서만이 큰판 싸움에서 크게 이긴다 할 것임에 그 지독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라 땡비 집에 연장을 박아놓고선 허허거리고 웃을 정도의 기백이 살 아 숨쉬어서야 만이 적을 때려 누일 것인지라 그런 무모한 용기라도 키워야한다는 것이다
짐승 오소리와 곰을 그 꿀을 얻기 위해서 따거움을 무릅쓰고 오직 전진만 하여선 벌집을 따는 것이다 그런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는 天下(천하)라는 꿀을 얻어선 그 享有(향유)하게 되는 것인지라 不屈(불굴)의 용기를 갖고선 세상을 원수 삼아 힘차게 돌격돌진하기를 宣動(선동)하는 바이다
모두들 주먹을 꽉 쥘 것이다.....
* 本文 第 四十五章 = 큰 이룸은 흠 결이 있는 듯 해도 그 사용에 있어선 폐단 될게 아니고 (*폐단 될게 없고) 큰 가득함은 빈 듯 해도(*허전한 감이 도리혀 있는 듯 해도 =목적달성 정상에 이르면 되려 허무만 감돈다 할 것이다) 그 사용에 있어선 궁색치 않다 큰 강직함은 휘어지는 듯 하고 (*곧게 올라간 고층빌딩을 쳐다보면 보면 한쪽으로 씨름해 보인다 이것이 마음속에서 사시 감각을 일으키는 거와 비슷하다할지 모르겠다) 큰 재주 부림은 되려 옹졸한 것처럼 보이고 큰 말 잘함은 말이 어눌한 것처럼 느껴지고 바짝 마름 잘 차가워 진것처럼 보이고 지나친 적막은 후끈거리는 열기를 느끼게 한다 (*혹여 소름이 달아오른다 할까나) (*마른 것은 오히려 냉한 것보다 낳고 고요함은 오히려 열기보다 낳다) 맑고 고요한 게 천하의 바름이 된다 할 것이다
* 큰 성취 발전은 흠결 투성 이라도 그 사용함에 있어서는 붕괴되지 않는다 [ 폐단이 없다] , 큰 참은 맞 지르는 것 같아도 그 사용함에 있어선 궁색하지 않다 크게 강직하면 비굴하게 보이고, 크게 기교를 부린다면 오히려 옹졸한 것처럼 된다
크게 변론하는 말씀형태를 볼 것 같으면 도리혀 말하는 폼새가 어눌해 보인다 조급하게 활약하는 것은 식어져 차 보이는 것보단 낫고, 주위를 안정시켜서는 정숙한 대처 꽉 눌러 잡는 모습 [ 신성한 법정의 무거운 공기가 흐르는 것 같아선 거기 참여한 모든 이를 진압 경건하게 하는 것처럼] 들뜬 열기를 이긴다 , 맑고 고요한 것이 천하의 바름이 된다
蘇註
소주
天下以不缺爲成 故成必有 以不虛爲盈 故盈必有窮 聖人要於大成而不
천하이불결위성 고성필유폐 이불허위영 고영필유궁 성인요어대성이불
其缺 期於大盈而不惡其沖 是以成而不 盈而不窮也 直而不屈 其直必
술기결 기어대영이불오기충 시이성이불폐 영이불궁야 직이불굴 기직필
折 循理而行 雖曲而直 巧而不拙 其巧必勞 付物自然 雖拙而巧 辯而不訥
절 순리이행 수곡이직 교이불졸 기교필노 부물자연 수졸이교 변이불눌
其辯必窮 因理而言 雖訥而辯 成而不缺 盈而不沖 直而不屈 巧而不拙 辯
기변필궁 인리이언 수눌이변 성이불결 영이불충 직이불굴 교이불졸 변
而不訥 譬如躁之不能靜 靜之不能躁耳 夫躁能勝寒 而不能勝熱 靜能勝熱
이불눌 비여조지불능정 정지불능조이 부조능승한 이불능승열 정능승열
而不能勝寒 皆滯於一偏 而非其正也 唯泊然淸淨不染於一 非成非缺 非盈
이불능승한 개체어일편 이비기정야 유박연청정불염어일 비성비결 비영
非沖 非直非屈 非巧非拙 非辯非訥 而後無所不勝 可以爲天下正矣.
비충 비직비굴 비교비졸 비변비눌 이후무소불승 가이위천하정의.
* 소씨는 주석을 달길. 천하 이지러지지 아니함으로써 성취함을 삼는지라 그런 까닭에 이루어짐 반드시 무너짐이 존재케 된다 비지 아니함으로써 가득함을 삼는지라 그런 까닭 에 가득하면 필히 궁색함이 존재케 된다 성인은 큰 이룸을 구하면서도 그 이지러짐을 근심치 않으며 크게 가득할 것을 기약하면서도 그 빈 것을 미워하지 않는다 이래서 이룸이 있으면서도 폐단 될게 없고 가득하여도 궁색하지 않는다 곧아서 굽혀들지 않음이란 그 곧으면 필히 꺾기게 마련인데 이치를 따라서 행함 비록 굽은 것이라도 곧은 게 되고 재주 있는 것 같아도 옹졸함이란 그 재주가 필히 노고함 을 격게 된다 사물이 자연에 의지하는지라 비록 옹졸해도 재주 있는 것 처럼 보이고 말잘해서 어눌치 않는 듯 하나 그 말을 잘하게 되면 반드시 궁색한 면을 격게 된다 이치를 따라 말함 비록 어눌하게 말해도 말 잘하는게 되는 것이다 이루어도 이지러지지 않고 가득해도 비지 않고 곧아서 굽혀지지 않고 재주 있어서 옹졸치 않고 말 잘해서 어눌치 않음을 비유컨대 서두르는 자가 고요함을 잘못하는 것 같고 고요한 처지에 있는 게 서두르는걸 잘 못하는 것 같을 뿐이다 무릇 조급한 게 잘 차가운(*냉정한것)보다 낳지만 뜨거운 열기보단(*열성적인 것) 능숙한게 못된다 할 것이다 고요함이 열기보다 능숙한 것이 되고 냉정한 것보단 잘 못한게 된다 (* 모든 게 빙둘러 일장 일단이 다 있다는 것이리라) 모두 한편에 치우쳐서 지체되는 게 있으니 그 바르지 못한 것이라 할 것이다 오직 담연 청정해서(*심이 담백하고 물욕이 없어 현혹에 들지 않음이라서) 한쪽에 물들지 않게 됨이라 성취도 않고 이지러지지도 않고 가득치도 않고 비지도 않고 곧지도 않고 휘지도 않고 간교치도 않고 옹졸치도 않고 말 잘하지도 않고 어눌치도 않은 후에 라야 보다 낫지 못할 게 없게 되어서 그렇게 바르게 천하에 바름이 된다 할 것이다
여주
萬物始乎是 終乎是 是大成也 然始無所始終無所止 故若缺 唯其若缺 故
만물시호시 종호시 시대성야 연시무소시종무소지 고약결 유기약결 고
其用日新而不 萬物酌焉而不竭 是盈也 然益之而不可益 故若 唯其若
기용일신이불폐 만물작언이불갈 시영야 연익지이불가익 고약충 유기약
故其用日給而不窮 大直者 曲之而全 枉之而直者也 故若屈 大巧者 刻
충 고기용일급이불궁 대직자 곡지이전 왕지이직자야 고약굴 대교자 각
雕衆形而不爲巧者也 故若拙 代辯者 不言而辯者也 故若訥如是無他 凡以
조중형이불위교자야 고약졸 대변자 불언이변자야 고약눌여시무타 범이
有本故也 本者何也 今夫寒熱者 天地之所爲 有形之所不免也 而一躁焉
유본고야 본자하야 금부한열자 천지지소위 유형지소불면야 이일조언
則可以勝寒 一靜焉 則可以勝熱 以一時之躁靜猶可以勝天地之所行 夫
즉가이승한 일정언 즉가이승열 이일시지조정유가이승천지지소행 황부
體無爲之淸靜 以爲天下正 則安往而不勝者乎 故以言其成 則若缺而不
체무위지청정 이위천하정 즉안왕이불승자호 고이언기성 즉약결이불폐
以言其盈 則若 而不窮 其直若屈而伸 其巧若拙而工 其辯若訥而諭 此之
이언기영 즉약충이불궁 기직약굴이신 기교약졸이공 기변약눌이유 차지
謂有本
위유본
* 여씨 주석하대. 만물이 바르게 시작되고 옳게 마치면 바른 큰 성취라한다 그러나 처음이 처음이랄 게 없고 마침이 머무를 데가 없는지라 그래서 이지러진 듯 하다함인 것이다 오직 그 이지러지는 듯 (모자르는 듯)하는지라 (*즉 미완성이나 성에 안 차는 듯이 한곳을 비워 놓는 듯 한다= 여분이 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 날로 사용해도 새로운 맛이 들고 폐단이 없게 된다 만물을 잔질 해서 퍼내도 다하지 않음을 이 가득한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가득 넘치는 것엔 더 보탤 수가 없는지라 여분의 빈곳이 있는 것처럼 해 논다는 뜻이다 그렇게 빈 여분이 있는 것처럼 하는지라 그 날로 써도 흡족해 궁한 면이 없게 된다 크게 곧은 것이란 굽은 게 온전해 진 것이다 (*즉 굽은걸 쫙 펴논 것이다) 휘었어도 곧아 진 것인지라 그러므로 옹졸(*치졸)한 듯 하다는 뜻이다 크게 말 잘하는 자는 말치 아니 하면서도 말 잘하는 게 되는 것인지라 그런 까닭에 어눌한 것처럼 느껴진다는 뜻이다 이 같음은 다른 게 없다 대저 근본이 존재함으로써 그렇다 할 것인데 근본은 뭣 인가? 이제 무릇 차갑고 뜨거운 것은 하늘땅의 된바 형체 가진 것에 면치 못할 것이라서 한번 조급해지면 그렇게 찬 것을 이기게 되게 되고 한번 고요해지면 그렇게 열기 보다 낳은 게 된다 일시에 조급하고 고요함을 하면 오히려 천지의 행하는 그 어떤 것보다도 나음이 있다 할 것인데 항차 무릇 몸 됨이 하염없는 맑고 고요함으로 됨이라서 야 말할 나위며 이로 천하 바르게 한다면 어느 덴들 가서 낳지 못할게 있다 할 것인가? 그러므로 그 성취를 말할 것 같으면 흠 결 진 듯 해도 폐단 될게 업고 그 가득함을 말할 것 같으면 휜 듯 하면 서도 궁색한 면이 없고 그 곧음이 굽은 듯 해도 펴진 것이고 그 재주 옹졸해진 듯 해도 장인의 기예를 발휘한 게 되고 그 말 잘함이 어눌한 듯해도 일목요연 밝게 고하는 게 되니 이를 갖다 근본이 존재한다 이름인 것이다
朴註
박주
大成若缺天地是也 四時迭運不見其停 缺而不 也 大盈若 江海是也 百
대성약결천지시야 사시질운불견기정 결이불폐야 대영약충강해시야 백
川爭輸不見其溢 而不窮也 大直若屈枉則能直 大巧若拙 無爲之益 大辯
천쟁수불견기일충이불궁야 대직약굴왕즉능직 대교약졸 무위지익 대변
若訥不言之敎 五者皆言虛靜之體 躁勝寒靜勝熱此言靜躁之理 以明淸靜之
약눌불언지교 오자개언허정지체 조승한정승열차언정조지리 이명청정지
能御 濁鬧熱而爲天下之正也
능어분탁료열이위천하지정야
* 박씨 주서하대. 큰 성취가 흠결이 있다함은 하늘땅이 바로 이러하다 사시절이 갈마들어 운행해도 그 흠 결이 머무르는 것을 보지 못해서 폐단이 없다 크게 가득해도 빈 듯 하다함은 강과 바다가 바로 이렇다 일백 시내가 경쟁하듯 실어 날라도 그 넘치고 맞질러 역하여 들어옴을 보지 못하니 궁한 면을 보이지 않는다 큰 곧음이 굽은 듯 하다함은 휘면 곧기 도 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큰 재주(기교)가 옹졸한 듯 하다함은 하염없는 유익함을 뜻한다 할 것이다 큰 말 잘함이 말하는 게 민첩치 못하다함은(*원활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함은) 말치 아니한 가르침을 뜻한다 (* 꼭 입으로 말하는 것만이 가르침이 아닌 것이다)이 다섯 가지가 모두 헛되고 고요한 몸을 말하는 것이니 조급한 게 찬 것 보다 낳고 고요한 게 열기보다 낳다함은 이러한 고요함과 조급함의 이치를 말함으로써 맑고 고요한 좋은 면을 밝혀선 흐리고 떠들썩한 열기를 아우러서(*잠재워서)(*한데 긁어모아서 눌러 잡음)천하는 바르어 짐인 것이다 (*천하를 바르게 함인 것이다)(*천하가 바르어 진다 할 것이다)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43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44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46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47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48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