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문 독해의 복병(伏兵) 고유명사. 한문 독해의 복병(伏兵) 고유명사. 고유명사는 다 알다시피, 인명(人名)이나 지명(地名)처럼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특정한 한 사물이 고유한 이름을 갖고 있는 것을 고유명사라고 한다. 그런데 한문에서 이 고유명사가 상당히 독해에 어려움을 주는 복병 역할을 한다. 아래 예문을 보..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無자가 들어가는 흔한 문장 패턴 無자가 들어가는 흔한 문장 패턴. 無(무)자가 들어가는 흔한 어구나 문장 패턴이 있다. 이런 것은 단어 하나하나 따로 떼어 해석하기보다는, 숙어처럼 그 형태에 익숙해지는 것이 훨씬 해석하기에 수월하다. 어구 패턴은 대개 [고정 어구 + 교체 어구]로 이루어진다. 고정 어구는 말 그대로..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구절이나 문장을 길게 취하는 한자(漢字) 구절이나 문장을 길게 취하는 한자(漢字). 한자 중에서 단순히 단어가 아니고 구절이나 문장을 길게 취하는 한자가 있다. 영어에서 that ~ 이하의 구절을 취하는 say, think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이런 한자는 길게 취할 때 어디까지 걸려 취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한문의 문장 구조 문장 구조(文章構造) 문장은 주어, 서술어 같은 문장 성분(成分)으로 이루어진다. 문장 성분 중에서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같은 주된 것을 국어에서 주성분이라고 하고, 관형어, 부사어 같은 다른 것을 수식해 부수적으로 쓰이는 것을 부속성분이라고 한다. 문장 구조는 대개 주성..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한문에서 단어상의 특징 단어(單語)상의 특징 한문이 가지는 단어상의 특징은 많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가지로 추릴 수 있다. 하나는 한문이 우리말과 달리 용언(동사, 형용사)이 활용을 하지 않는 것이고, 또 하나는 한 단어가 여러 가지 품사로 쓰인다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 알아보자. ▶ 용언이 활용이 없..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2013.12] 한문 공부나 문법을 배우기 위한 자료(파일) 한문을 공부하고 싶거나, 한문 기초나 문법 이론 같은 것을 알고 싶은데, 마땅한 것을 구하지 못했나요? 그런 분들을 위해 마련한 파일이다. 초보적인 내용도 있지만 중급자에 초점을 맞춰 작성된 것도 있어, 한문 생초보가 보기에는 조금 내용이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배움에 열정이 있..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주요 어조사 정리 여기에 있는 내용은 아래 있는 파일의 일부 내용이다. http://blog.daum.net/wordair/15677779 어조사(語助辭) 한문에서 실질적인 의미가 없이 다른 한자를 보조하여 우리말의 조사, 어미, 의존 명사 같은 역할을 하는 한자를 어조사(語助辭)라고 한다. 대표적인 어조사로는 於, 也, 而 등이 있다. 어..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어떤 단어가 때, 상태를 나타내며 “-할 때”로 해석되는 경우 한문에서 어떤 단어가 때나 상태를 나타내면서, 우리말로는 “-할 때, -해서(-하여)”로 풀이되는 경우가 있다. 아래를 보라. a) 少不學, 則老無知.(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나이 들어 아는 것이 없다.) a-1) 少不學, 則老無知.(어림은 배우지 않으면, 나이 듦은 아는 것이 없다.) a-2) 少時不學, ..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대명사가 가정(假定)으로 쓰이는 경우 此, 是, 斯 같은 다른 단어를 대신 받는 대명사 역할을 하는 한자가 ‘~하면’의 의미를 갖는 가정으로 쓰일 때가 있다. 예를 들어보자. a) 若無湖南, 是無國家.(호남이 없었다면 나라가 없었을 것이다.) 비고) 若無湖南, 是無國家.(호남이 없다면 이것은 나라가 없는 것이다.) 위 문장은 모 .. 한문 문법 2014.11.06
[스크랩] 王자에 ‘왕이 되다’라는 의미가 있다. 如此而不王者, 未之有也.(이러하고도 왕이 되지 않은 자는 아직 없다) 위에서 보듯이, 王자가 동사 ‘왕(임금)이 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가 있다. 이렇게 주된 의미는 명사로 쓰지만, 간혹 ‘~이 되다’라는 의미로 쓰이는 한자가 있다. 王자 말고도, 人, 君, 父, 相 등이 이렇게 쓰인다. .. 한문 문법 201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