衰旺(쇠왕)
能知衰旺之眞機면 其于三命之奧에 思過半矣이고
능지쇠왕지진기면 기우삼명지오에 사과반의이고
쇠왕(衰旺)의 진기(眞機)를 능히 알면 삼명(三命)의 오묘함에서 이미 깨달은 바가 반(半)이 넘고,
왕(旺)하면 마땅히 설(洩)하거나 마땅히 상(傷)하여야 하고,
쇠(衰)하면 방부(幇扶)를 기뻐하고 생조(生助)를 기뻐하는 것이 자평지리(子平之理)이다.
그런데 왕(旺)한 가운데 쇠(衰)한 것이 있으니 손상하여서는 아니 되고,
쇠(衰)한 가운데 왕(旺)한 것이 있으니 도와주어서는 아니 된다.
왕극자(旺極者)는 손상하여서는 아니 되는데 그 가운데에 손상이 있는 까닭이고,
쇠극자(衰極者)는 보태주어서는 아니 되는데 그 가운데에 보태줌이 있는 까닭이다.
마땅히 손상하여야 하는 것이 확실한 것 같은데 손상하면 도리어 흉하고,
마땅히 보태주어야 하는 것이 확실한 것 같은데 보태주면 도리어 해로운 것은,
진기(眞機)를 헤아려 보면 모두 알 수 있는데, 삼명(三命)의 오묘함을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이 어찌 어려울 것인가?
<< 임철초님 보주 >>
임씨 말하되,
득시(得時)하면 모두 왕(旺)하다고 논하고 실령(失令)하면 곧 쇠(衰)하다고 보는데,
비록 이것이 지극한 이치라고 할지라도 역시 사법(死法)이다.
오행지기(五行之氣)가 사시(四時)에서 유행(流行)하는데,
비록 일간에 각각의 전령(專令)*이 있다고 할지라도, 실은 전령(專令)한 가운데에도 또한 병존(並存)하는 것이 있다.
가령 춘목(春木)이 사령(司令)하면 甲乙이 비록 왕(旺)하다고 할지라도,
이 때의 휴수한 戊己도 역시 천지간에서 끊어짐이 없고,
동수(冬水)가 사령(司令)하면 壬癸가 비록 왕(旺)하다고 할지라도,
이 때의 휴수한 丙丁도 역시 천지간에서 끊어짐이 없다.
다만 계절에서 마땅히 퇴피(退避)*하면 감히 앞을 다투지 못하나,
실은 춘토(春土)가 어찌 만물을 생하지 않을 것인가? 동일(冬日)이 어찌 만국(萬國)을 비추지 않을 것인가?
게다가 팔자는 비록 월령(月令)이 중요하여 왕상휴수(旺相休囚)한다고 할지라도
년월시(年月時)중에도 또한 손익(損益)하는 힘이 있다.
고로 생월(生月)에서 설령 치령(値令,득령)하지는 않았다고 할지라도,
역시 치년(値年)하거나, 치일(値日)하거나, 치시(値時)할 수 있는데, 어찌 하나를 고집하여 논할 수 있을 것인가?
가령 춘목(春木)이 비록 강(强)하다고 할지라도 金이 태중(太重)하면 木이 역시 위태롭다.
천간이 庚辛이고 지지가 申酉이면, 火의 극제(剋制)가 없으면 부유하지 못하고 土의 생(生)을 만나면 반드시 요절한다.
이것은 득시(得時)라도 왕(旺)하지 않은 것이다.
추목(秋木)이 비록 약(弱)하다고 할지라도 木의 뿌리가 깊으면 木이 역시 강하다.
천간이 甲乙이고 지지가 寅卯이면, 官이 투출하더라도 능히 감당하고 水가 생하면 태과(太過)하다.
이것은 실시(失時)라도 약(弱)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일간은 월령의 휴수(休囚)를 논하지 않고,
사주에 유근(有根)이기만 하면 곧 능히 재관(財官)과 식신(食神)을 거두어들이고, 상관(傷官)과 칠살(七殺)을 감당한다.
장생(長生)과 녹왕(祿旺)은 뿌리가 깊은 것이고, 묘고(墓庫)와 여기(餘氣)는 뿌리가 얕은 것이다.
천간에서 하나의 비견(比肩)을 얻은 것은 지지에서 하나의 여기(餘氣)나 묘고(墓庫)를 얻은 것만 못하다.
묘(墓)라는 것은,
가령 甲乙이 未를 만나고, 丙丁이 戌을 만나며, 庚辛이 丑을 만나고, 壬癸가 辰을 만나는 것이 이것이다.
여기(餘氣)라는 것은,
가령 丙丁이 未를 만나고, 甲乙이 辰을 만나며, 庚辛이 戌을 만나고, 壬癸가 丑을 만나는 것이 이것이다.
두 개의 비견(比肩)을 얻은 것은 지지에서 하나의 장생(長生)이나 녹왕(祿旺)을 얻은 것만 못한데,
가령 甲乙이 亥寅卯등의 종류를 만나는 것이 이것이다.
비견(比肩)이란 친구가 상부(相扶)하는 것과 같고, 통근(通根)이란 가족에게 믿고 맡기는 것과 같은 까닭인데,
천간이 많은 것은 뿌리가 깊은 것만 못하다는 것은 이치가 본디 그러하다.
요즘 사람들은 이러한 이치를 알지 못하고,
춘토(春土), 하수(夏水), 추목(秋木), 동화(冬火)만 보면 유근(有根)과 무근(無根)을 논하지 않고 바로 약(弱)하다고 말하고,
춘목(春木), 하화(夏火), 추금(秋金), 동수(冬水)만 보면 극제(剋制)의 경중(輕重)을 탐구하지 않고 바로 왕(旺)하다고 말한다.
또한 壬癸가 辰을 만나거나, 丙丁이 戌을 만나거나,
甲乙이 未를 만나거나, 庚辛이 丑을 만나는 종류를 신고(身庫)에 통근(通根)하였다고 생각하지 아니하고,
심지어는 형충(刑沖)의 충개(沖開)를 구하면서 형충(刑沖)이 나의 본근지기(本根之氣)를 상한다는 것은
결국은 생각하지 않는데, 이러한 종류의 잘못된 논리는 반드시 모조리 쓸어서 없애야 마땅하다.
그런데, 이것은 모두 쇠왕(衰旺)의 정법(正法)을 논한 것이고 쉬운 것이다.
다시 전도지리(顚倒之理)가 존재하는데, 그 이치는 열 가지가 있다.
①목태왕자(木太旺者)는 金과 같아 火의 단련(煅煉)을 기뻐하고, 목왕극자(木旺極者)는 火와 같아 水의 극제(剋制)를 기뻐한다.
②화태왕자(火太旺者)는 水와 같아 土의 지수(止水)를 기뻐하고, 화왕극자(火旺極者)는 土와 같아 木의 극제(剋制)를 기뻐한다.
③토태왕자(土太旺者)는 木과 같아 金의 극제(剋制)를 기뻐하고, 토왕극자(土旺極者)는 金과 같아 火의 단련(煅煉)을 기뻐한다.
④금태왕자(金太旺者)는 火와 같아 水의 기제(旣濟)를 기뻐하고, 금왕극자(金旺極者)는 水와 같아 土의 지수(止水)를 기뻐한다.
⑤수태왕자(水太旺者)는 土와 같아 木의 극제(剋制)를 기뻐하고, 수왕극자(水旺極者)는 木과 같아 金의 극제(剋制)를 기뻐한다.
①목태쇠자(木太衰者)는 水와 같아 마땅히 金으로 생하여야 하고, 목쇠극자(木衰極者)는 土와 같아 마땅히 火로 생하여야 한다.
②화태쇠자(火太衰者)는 木과 같아 마땅히 水로 생하여야 하고, 화쇠극자(火衰極者)는 金과 같아 마땅히 土로 생하여야 한다.
③토태쇠자(土太衰者)는 火와 같아 마땅히 木으로 생하여야 하고, 토쇠극자(土衰極者)는 水와 같아 마땅히 金으로 생하여야 한다.
④금태쇠자(金太衰者)는 土와 같아 마땅히 火로 생하여야 하고, 금쇠극자(金衰極者)는 木과 같아 마땅히 水로 생하여야 한다.
⑤수태쇠자(水太衰者)는 金과 같아 마땅히 土로 생하여야 하고, 수쇠극자(水衰極者)는 火와 같아 마땅히 木으로 생하여야 한다.
이것은 오행전도(五行顚倒)의 진기(眞機)인데, 학자는 마땅히 원원지묘(元元之妙)*를 자세하게 살펴야 한다.
*전령(專令): 월령을 독점함. *퇴피(退避): 물러나 피함, 여기에서는 휴수(休囚)를 말한다.
*원원지묘(元元之妙): 근본의 오묘함. 근본에서의 미묘한 점.
임주(任註)는 결국
‘태왕자(太旺者)는 의설(宜洩)하고, 왕극자(旺極者)는 의생(宜生)하며,
태쇠자(太衰者)는 의극(宜剋)하고, 쇠극자(衰極者)는 의설(宜洩)한다’는 것이다.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월령과 다른 태왕한 오행이 존재할 때 = [ 월령 기준 ]으로 길흉을 판단 (0) | 2013.05.20 |
---|---|
[스크랩] 월령과 같은 태왕한 오행이 존재할 때 = [ 쇠왕의 법칙 ]에 준하여 판단 (0) | 2013.05.20 |
[스크랩] [ 기준관점 확립 ] 새로운 용어 정의 - ★ 멀티자평 ★ 이란 무엇일까? (0) | 2013.05.20 |
[스크랩] [ 運에서 천간이 개판나도 ] 용신과 상신 .. 지지세력의 힘은 어떤가!? (0) | 2013.05.20 |
[스크랩] [[ 정확한 격국표현 ]] 명조의 상황을 한구절로 압축하는 핵심기술 !! (0)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