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五十一章 .
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勢成之. 是以萬物, 莫不存道而貴德.
도생지, 덕축지. 물형지, 세성지. 시이만물, 막부존도이귀덕.
道之尊, 德之貴, 夫莫之爵而常自然.故道生之, 德畜之, 長之育之, 亭之毒
도지존, 덕지귀, 부막지작이상자연.고도생지, 덕축지, 장지육지, 정지독
之, 養之覆之.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지, 양지복지.생이불유, 위이불시, 장이부재, 시위현덕.
길이라 하는 것은 나서 생기게 하는 것이고 덕이라 하는 것은 기르는 것이고 事物(사물)은 형체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며 勢力(세력)이 있어 야지만 成果(성과)를 보게 되는 것이다 이래서 萬物(만물)이 길 이라 하는 것이 존재하지 아니함이 없고 덕을 귀하게 여긴다 길은 높은 것이고 덕은 귀한 신분인 것이다 대저 人爲的(인위적) 손질 잔 질 함이 없어,
늘 상 한 自然(자연)인지라 그러므로 道(도)는 생기게 하고 德(덕)은 기른다 한다 成長(성장) 발육시키는 머무름을 지독하게 해코지하고 養育(양육)하는 것은 顚覆(전복) 망가트리며, 생기게 하는 것을 있지 않게 하며, 했어도 미덥다 않게 하며, 성장시켰으면서 내가 主幹(주간)했다 하지 않음을 갖다가선,
그윽한 덕이라 하는 것이 나니라
또는 이렇게도 해석 가능한데 대저 人爲的(인위적) 손질 함 덜고 더함이 없어선 변함 없는 자연의 이치가 그 길이라 하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길은 생기게 하고 덕은 기르는 것이고 성장시키는 것이고 발육시키는 것이고 머물게 하는 것이고, 督勵(독려) 지독하게 堪耐(감내) 精神(정신)을 갖게도 하고 , 너무 많이 量産(양산)되면 조절할 필요가 있음인지라 그 반대 성향 顚覆(전복)시키고, 그 筍(순)을 꺽는 양상 망가트리고, 생기는 것을 있지 않게 하며, 자기가 하면서도 미덥다 하지 아니하며 , 발전 성장을 시키면서도 자신이 主幹(주간)을 하지 않는 다하는 것을 갖다가선 그윽한 덕이라 할 것이니라
모든 것을 자연 託稱(탁칭) 한다는 것이리라 그래서 그 허물 冒免(모면) 하려드는 말처럼 들린다 할 것이다
所以(소이) 하늘이 하였다하면 그 正當(정당)시 되는 것처럼 그렇게 핑계 빙자되는 것을 여기서는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이다 實狀(실상) 人爲的(인위적) 加味(가미)라 하는 것을 저절로 自然(자연)에 託稱(탁칭)을 하게 된다면 그 自然(자연)의 鍊匠(연장)度俱(도구)의 움직임에 불과한 놀림이 될 것, 활동이 될 것이라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自然(자연)의 召命(소명)을 받아선 그 부림 받는 자는 자연의 도구연장이지 그 무슨 자기 주간대로 일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그 빙자 발뺌을 하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大略(대략) 보면 宗敎的(종교적) 思想家(사상가)들이 그렇게 託稱(탁칭)을 잘하게 되는데 自身(자신)들이 무엇을 하는 것을 모두다 託稱(탁칭) 天(천)을 빌리는 것인지라 이렇게 하늘이라 하는 것을 我田引水(아전인수)로 사용하는 名分(명분)을 삼는다는 것이리라 지금 老聃(노담)도 그러한 방식을 빌려서 여기서 말을 하는 것이 아닌가 하여 본다 所以(소이) 무언가 하게 되는 것을 그렇게 宗主(종주) 自然(자연)을 앞세워선 그것이 한 것 처럼 꾸민다는 것이리라
처녀가 애를 낳아도 할말이 있고 핑계 없는 무덤 없다고 하는 말이 이런데서 오는 의미인지라 그 무언가 일을 저질르고선 그 허물이 생길 것 같은 의심 냄을 떨칠 길 없으면 그렇게 자연이나 하늘을 에게 떠맡기는 논리의 간계 술수를 쓴다는 것이다
또는 그렇게 功勞(공로)가 있으면서도 讓步(양보)하고 辭讓(사양)하는 虛禮(허례)를 갖음으로서 그러한 것은 검은 덕 갈之字(지자) 검을 玄字(현자)의 右往左往(우왕좌왕)하는 德(덕)이라고 한 다고 한다고 여기선 말을 하고 있는 것인지라, 功勞(공로)가 있어선 實狀(실상)은 자기 걸로 하고 싶은데도 미심 적은 바가 있어선 확실하게 자기 것이라 주장을 못하고선 나중에 그것이 좋은 걸로 확정이 된 다음에는 배가 아퍼서 하는 말로 들리기 일수요
그렇게 이왕 잃어버린 功果(공과)이지만 좋게 美化(미화)나 하여볼 것이라 하여선 그 숨은 덕 그윽한 덕이라 이렇게 그 누가 다른 자가 주도 한냥 밀어 붙친 다는 것이리라 소이 자신이 크게 선심을 쓰는 냥의 논리를 펼친다는 그런 斜視的(사시적) 관찰 잣대도 들여 밀어 볼 수가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所以(소이) 은연중 實狀(실상)은 자기가 공로 있다 이렇게 내비쳐 보일려는 얄팍한 수단의
면모를 보이는 그런 말이 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사람의 심리 일정치 못하고 이랬다 저랬다 하는 것을 읽는 것인데, 이해득실에 따라 左右(좌우)되면서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거나 읽는다는 것인데 세상은 적자생존 약육강식이라 힘있는 자가 눌러 잡아선 君臨(군림)하게 되어 있는데 힘 약한 자는 그 힘있는 자에게 우에든 잘 보이는 아부나하고 그 비위를 맞추려고 그 앞에서는 갖은 아부를 다한다는 것이리라 그래서 그 힘의 보호 雨傘(우산) 소이 힘의 우산을 쓰고자 한다는 것이리라 그러고선 그 호시탐탐 올라설 기회를 엿본다는 것인데 그 君臨(군림)하는 힘 있는 자가 조금이라도 放心(방심)하는 면모를 보인다면 고만 몰란절에 뒷통수를 까버리는 作戰(작전)으로 나온다는 것이리라 이런 것을 그 反骨(반골)이라 하는 것인데 歷史(역사)는 이러한 反骨(반골)들에 의해서 發展(발전)을 보아 왔다할 것이다
중국의 歷史(역사)를 살펴 본다면 멀리는 成湯(성탕)과 昌(창)과 發(발)로부터 시작 되었다는 것이라 성탕이라 하는 作者(작자)와 후세에 문왕,무왕 으로 존칭되는 창과 발이라 하는 넘들은 모두 역적넘들 로서 反骨(반골)이라는 것인데 그 下剋上(하극상) 윗 된 자들을 뒷통수를 까버린 자들이라 할 것이다 우리나의 수양이라 하는 자도 그 김종서의 뒷통수를 까는 바람에 政權(정권)을 잡게된 것이라 근래에 와서는 전 세계가 그렇게 구테타 몸살을 앓았다할 것이다 이렇게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가 또는 計略(계략)과 作戰(작전)을 짜선 그 敵勢(적세)를 뒷통수를 까버린 다면 천하에 군림하게 되는 것인지라
歷史(역사)의 記述(기술)은 언제나 승리자의 편에 流離(유리)하게끔 大義名分(대의명분)을 달아주게 되는 것인지라 어제의 그른 것이 그 顚覆(전복)되면 바르어지는 것이 한둘이 아닌 것이다 그 만약상 성탕이나 창발이 그 전쟁에 승리하지 못하였다면 천하에 邪惡(사악)한 逆賊(역적) 首魁(수괴)들로 描寫(묘사)되는 歷史(역사) 記述(기술)이 있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다행이도 그 승리하는 바람에 좋게 維新(유신)이니 뭐니 혁명한 것으로 美化(미화)되고 그 뒷통수 까임 받은 舊態依然(구태의연)한 세력은 惡(악)의 세력으로 몰리는 記錄(기록)을 받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에든 힘을 培養(배양) 상대방을 거러엎을 때만이 모든 것은 정당시 된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만 된다할 것이다 그저 힘을 길러선 뒷통수를 까버리는 자들이 될 것이다 야비한 것은 원래 없는 것이다 그런 것은 패배자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다
야비하고 비열하고 하다는 것은 아주 훌륭한 전술전략인 것이다 승리자의 입장으로서는 그러므로 갖은 간특하고 奇詭(기궤)하여 보이는 수단을 다 동원해서는 우에든 원수 넘들을 거러엎고 王天下(왕천하) 하기를 모든 이들에게 선동선전 하는 바이다 반골 위연을 마대가 "여기있다"하면서 단칼에 뒷통수를 까듯이 그렇게 방심하게 만든 다음 뒷통수를 깔 것이다 그러고 자신은 그렇에 왕천하고 난 다음 다른 넘들이 같은 전법 소이 자신의 뒷 통수를 깔려고 노리고 덤빌 것이므로 그에 대한 철저한 방비가 있어야만 한다 할 것임에
所以(소이) 뒤에도 눈을 달고 살다시피 하여야만 한다 할 것이라 所以(소이) 无方(무방)으로 꺼지지 않는 눈을 붙쳐선 감히 뒷 통수라 하는 개념이 없어지게끔 해서는 까지 못하게끔 해야만 한다 할 것이다 사방천지 그 공작원 첩보원을 풀어선 細作(세작)정치를 하여야 하며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는 체제를 만들어서는 조금이라도 자기를 誹謗(비방)하는 말을 하는 자가 있다면 그 감시하는 자가 그 즉시 처단하여도 된다는 엄한 법을 만들어서 마구 죽이게 한다면 절대로 反旗(반기)를 드는 넘 들이 없을 것이라 그렇게 된다면 天下(천하)에 王(왕)으로 군림 하여선 온갖 영화를 누린다 할 것이다
요새는 그 증거 확보가 손쉬운 것이 녹음하고 촬영할 수 있는 장비들을 모두 그 핸드폰 이런 것 다 갖고 있음에 증거확보하고 난 다음 고만 까죽이면 그 褒賞(포상)을 내리는 제도를 실시하면 된다 할 것임에 함부로 반항이나 대어들지 못하고 고만 나죽었네- 하고 백성들이 바보 되는 주사 맞은 것처럼 말을 잘 들을 것이라는 것이다
몰래 카메라 녹음기가 판을 치는 판이라 , 소이 신고군[카파라치 등]들이 그 직업을 삼는데 일부러 허물 죄를 誘導(유도)해서는 그 증거확보하고 고만 단심에 척살 그 자리에서 죽이면 어디 항거도 못한다할 것이라 마구마구 서로가 서로를 쳐죽이게 하면 감히 대어드는 자들이 없을 것이다 그러한 수양제가 그러한 細作(세작)정치를 실시해선 정권의 安寧(안녕)을 維持(유지)하였는데 그 얼마가지 못한 것은 그 세작을 다루는 솜씨가 노련하지 못한데서 온것이라 할 것임에 아주 노련한 수완가의 솜씨를 보이듯이 그렇게 머리를 잘 굴려선 부려 쳐 먹는다면 고만 세상은 그 힘으로 통치하게 된다 할 것이고[명나라는 환관 패거리 동창이 다스렸다 이들은 모두 첩보원 세작 이런 것을 아주 요소요소에 심어서는 그렇게 정치를 한 것이다] 한때의 즐거운 영화를 누린다 할 것이고 고만 통제된 사회 절대군주 독재체제를 확립하여선 그 자손만대로 임글질을 할 수가 있다할 것이다
덕은 무슨 덕인가 그런 것은 간궤한 대갈머리 굴리는 넘들 한테서 나오는 말인자라 우에든지 힘을 갖고 눌러 잡아선 탄압을 해서는 다스려야 한다 할 것이라 널 상 방탄 조끼 입고 눈만 방탄 유리로 빠끔하게 내어 놓는 철갑 감투 쓰고 있으면 어느 넘이 총질 해악질 못할 것이고 음식에도 독을 타선 줄지 모름으로 항상 은수저를 갖고 다니면 먼저 시식하는 자를 대동하여선 조금 먹어선 표시가 않 나는 술수를 쓸지 모름으로 아주 밥 한사 발 거의 먹는 량이 같이 되게끔 퍼 먹인다면 그 毒殺(독살)도 못시킨다 할 것이다
이래 의심내는 정치를 펼친다면 함부로 의심 사는 행위를 못한다할 것이다 속이는 자는 그 동태 파악 눈을 보면 아는데 똑바로 보기를 회피하려 드는 자는 분명 무언가 속에 속이려 하는 자들이라 그러므로 고개를 올곧게 쳐들지 않고 걸어가는 넘들은 모두다 죽이 버리는 것이라 그런 넘들은 모두 반골 배반하려는 생각을 품고 있는 것인지라 모두 죽이 버리야 된다 할 것이다 이렇게 무자비하게 다스려선 반골들의 시체가 尸山血海(시산혈해)를 이룰 정도로 되어지면 감히 반골이 다 없어질 것인지라 천하는 태평해진다 할 것이다 또 이렇게 명령을 내려 노으면 고개를 빳빳하게 세워 갖고는 정면을 바라보고만 걷게 될 것인지라 그 걷는 자세도 바르게 하여준 다할 것이다
폭약으로 폭파하려 덤벼드는데 대한 적절한 대처방안은 무엇인가 그런데 대하여서는 자기와 같은 인조인간 가짜를 많이 만들어 두면 될 것이고 원천봉쇄 백성들에게 그런 생각을 일으키지 못하게끔 하는 바보 되는 주사를 한대 놔주면 고만 아무 생각 없이 일만 열심히 한다 할 것이다 사나운 개들을 食用(식용)으로 기를제 엔 개들은 귀를 먹게 귀청을 찣어 놓는다 한다 사람들도 그렇게 듣지 못하게끔 고막을 찢어 노으면 그리곤 눈으만 보게 하여선 어떻게 하라고 손짓 발짓 해대면서 부려먹음 된다 할 것이다 耳目(이목)기관 중에 하나씩을 닫게 하여선 二人(이인)一條(일조)로 하여선 노예화하여 부려먹으면 마음대로 하질 못한다 할 것이다
마구 독재 탄압을 해돼서만이 천하가 크게 발전을 보게 되는 것이다
* 本文 第 五十一章 =길로 인하여 생기고 덕으로 인하여 길러지고 물질로 인하여 형체지어지고 세력으로 인하여 이루어진다 이래서 만물에 있어 길은높고 덕은 귀하지 아니함이없다 길이 높고 덕은 귀하다 무릇 벼슬 함이 없어도 늘상 자연 그러한지라 그런까닭에 길이 낳고 기르고 성장시키고 빌육시키고 머물르게하고 시련을 줘 지독하게 하고 양육하고 감싼다 생기게 했으면 서도 가지려 않고 위하면서도 의지치않고 주장이 뚜렸 하면서도 주관하려 들지않음에 이를 일러 그윽한 덕이라 한다
* 길이라 하는 것은 삶이 있게 하는 것이고, 덕이라 하는 것은 그러한 삶을 기르는 것이며, 사물이라 하는 것은 그 형체를 드러내는 것이며 세력이라 하는 것은 그 성사시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래서 만물이 길의 존재와 덕의 귀하게 여기지 아니함이 없는 것이라
길의 높음과 덕의 귀함을 [지존의 길과 고귀한 덕은] 대저 벼슬로 말한다 할진대 늘 상한 자연만 함이 없다 그러므로 길은 생기게 한다는 것이고 덕은 방목하듯 기른다는 것이고, 자라게 하는 것이고 사육[교육]하는 것이고 거주케 하는 것이고, 독려하고 인내력을 심어주는 것이고, 수양 [봉양]하는 것이고 수용 [포용] 하는 것이다, 생기게 하고선 뒀다 아니하고, 위하고선 긴가를 믿으려 들지 않고, 성장시키고선 [이래 저래 관여] 군림하려 들지 않는다, 이를 갖다가선 그윽한 덕이라 한다
蘇註
소주
道者萬物之母 故生萬物者道也 及其運而爲德 牧養群衆而不辭 故畜萬物
도자만물지모 고생만물자도야 급기운이위덕 목양군중이불사 고축만물
者德也 然而道德則不能自形 因物而後形兒 物則不能自成 遠近相取 剛柔
자덕야 연이도덕즉불능자형 인물이후형아 물즉불능자성 원근상취 강유
相交 積而爲勢 而後興亡治亂之變成矣 形雖由物 成雖由勢 而非道不生
상교 적이위세 이후흥망치란지변성의 형수유물 성수유세 이비도불생
菲德不畜 是以尊道而貴德 尊如父見 貴如侯王 道無位而德有名故也 恃爵
비덕불축 시이존도이귀덕 존여부견 귀여후왕 도무위이덕유명고야 시작
而後尊貴者 非實尊貴也.
이후존귀자 비실존귀야.
*소 씨 주석하대. 길이란 것은 만물의 어머니다 그런고로 만물을 생기게 한 것은 길이다 그 운영에 밋쳐서 덕이 된다 모든 무리를 방목치듯 길름을 마다 않는지라 그러므로 만물을 길르 는 걸 갖다 덕이라 한다 그렇더라도 길과 덕이 곧 스스로 형체 짓진 못하고 사물로 인한 뒤에 형체를 보이게 되고 사물은 또한 스스로 성취칠 잘못하는 지라 멀고 가까움이 서로 취하고 강유가 서로 시귀어 그런게 쌓여 세력이 된 후에 일어나고 망하고 다스리고 어지러움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형체 설령 사물로 말미암고 이룸이 비록 세력으로 말미암는다해도 길이 생하지 아니함이 없고 덕이 길르지 아니함이 없다 이래서 길은 높고 덕이 귀함인 것이다 높으기가 어버이 형 같고 귀하기가 후왕(제왕) 같아도 길은 자리가 없고 덕만 이름을 갖게 되는 이유는 무슨 벼슬을 의지한 후에 존귀하다는 것은 진정 존귀한게 아니기 때문이다
呂註
여주
萬物之生 常本於無名之物 而其畜 常在於一未形而物 得以生之際 無名者
만물지생 상본어무명지물 이기축 상재어일미형이물 득이생지제 무명자
道也 一而未形物得以生者德也 及其爲物 則特形之而已 非其所以生且畜
도야 일이미형물득이생자덕야 급기위물 즉특형지이이 비기소이생차축
也 已有形矣 則 者不得不 鱗介羽毛者不得不鱗介羽毛 以至於幼壯老
야 이유형의 즉나자불득불나 인개우모자불득불인개우모 이지어유장노
死不得不幼壯老死 皆其勢之必然也 故曰道生之德畜之 物形之勢成之 然
사불득불유장노사 개기세지필연야 고왈도생지덕축지 물형지세성지 연
則勢出於形 形出於德 德出於道 道德本也 形勢末也 本尊而末卑 本貴而
즉세출어형 형출어덕 덕출어도 도덕본야 형세말야 본존이말비 본귀이
末賤 是以萬物莫不尊道而貴德 道之尊德之貴 夫莫之爵而常自然 此其所
말천 시이만물막불존도이귀덕 도지존덕지귀 부막지작이상자연 차기소
以能以無爲之柔弱 而勝形勢之剛强 則侯王之所以賓化萬物者 在此而不在
이능이무위지유약 이승형세지강강 즉후왕지소이빈화만물자 재차이부재
彼也 然則雖曰 道生之德 畜之物形之 勢成之 至本而言之 則生之畜之 長
피야 연즉수왈 도생지덕 축지물형지 세성지 지본이언지 즉생지축지 장
之育之 成之熟之 養之覆之 莫非道也 而道終無名焉 故曰生而不有 爲而
지육지 성지숙지 양지복지 막비도야 이도종무명언 고왈생이불유 위이
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불시 장이불재 시위현덕.
* 여씨 주석 하대. 만물의 생김은 늘상 이름 없는 사물에 근본하고 그 길름은 늘 상 그 한결같음(*덕)에서 하고 형체 짓지못해도 사물을 득 함으로써 삶의 가운데 휩쓸리게 된다 이름 없는 걸 갖다 길이라 하고 한결같아선 형체 짓지 못해도 사물을 얻음으로써 살게 되는걸 갖다 덕이라 함인 것이다 그 사물을 위함에 밋쳐선 특 별한 형체를 지어 볼 따름이라 그 소이 생기고 또 길름이란 이미 형체 지은 건 아니리니 곧 벗은 자 벗음을 얻고 비늘 자개 터럭 나래 가진 미물과 짐승들이 비늘 자개 터럭 나래 얻고 어린 자와 젊은 자와 늙은자와 죽는 자가 그 그러함을 얻게 됨은 다- 그 세 가 필연이래서 그러함인지라 그러므로 길은 생했다 하고 덕은 길럿다 함인 것이다 사물은 형체를 짓고 세력을 이룬다 그렇다면 세력은 형체에서 나고 형체는 덕에서 나고 덕은 길에 의해서 난다 할 것이니 도덕이 근본이 되고 형세는 끝이 된다할 것이다 근본은 높고 끝은 낫고 근본은 귀하고 끝은 천하다 한다 이래서 만물이 길을 높이고 덕을 귀하게 여기지 아니 함이 없다 길이 높고 덕이 귀함은 무슨 벼슬을 해서 가 아니라 늘 상 자연 이래서 그렇다 할 것이다 이는 그 소이 하염없는 부드러움을 잘써서 형세의 강강함을 이기기 때문에 그렇다 할 것이다 곧 후왕이 소이 만물을 보배로 여기는 것은 이런 것에서 있지 또 달리 하는데 있는 건 아니다 (차에 있지 피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설령 말하길 길은 생했다 하고 덕은 기른다하고 사물은 형체 짓는다 하고 세력은 이루어진다 하는 것이 근본에 다다름을 말하는 것이리니 곧 낳고 길르고 자라게 하고 발육시키고 성취시키고 성숙시키고 양육시키고 감쌈에 있어 길이 아니 없다 할 것이다 길은 마침내 이름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낳았으면서도 가질려 않고 위하면서도 의지하려들지 않고 주장이 확고한 대도 주관하지 않는다 함이리니 이를 일러 그윽한 덕이라 하리라
朴註
박주
萬物俱愛陰陽之氣 以生陰陽一道也 故曰道生之 道生德畜 猶言父生母育
만물구애음양지기 이생음양일도야 고왈도생지 도생덕축 유언부생모육
短長大小 動植牝牡 隨物而形之生之之謂也 盛衰强弱消長盈虧 因勢而成
단장대소 동식빈무 수물이형지생지지위야 성쇠강약소장영휴 인세이성
之 畜之之謂也 萬物莫不尊道而貴德 猶人之嚴父而慈母也 莫之命而常自
지 축지지위야 만물막불존도이귀덕 유인지엄부이자모야 막지명이상자
然 出於天性非强而爲之也 上旣言道生德畜 下又言道生之畜之者 分而言
연 출어천성비강이위지야 상기언도생덕축 하우언도생지축지자 분이언
之 則有道德之別 合而言之則道德一也 長育成熟養覆六者 專言畜之之事
지 즉유도덕지별 합이언지즉도덕일야 장육성숙양복육자 전언축지지사
蓋王者 奉天之道以養民爲重故也 旣已生畜之矣 而又能謙而不居其功 則
개왕자 봉천지도이양민위중고야 기이생축지의 이우능겸이불거기공 즉
可謂道全德成矣 故曰 是謂玄德 此言德而不言道 亦猶前之言道而不言德
가위도전덕성의 고왈 시위현덕 차언덕이불언도 역유전지언도이불언덕
也
야
* 박씨 주석하대= 만물이 모두 음양의 기운을 받아서 생겻는지라 음양이 하나의 길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길이 생했다 함인 것이다 길은 생하고 덕을 길름이니 아버지가 생하고 어머니가 길름을 말하는것와 같음이다 짧고 길고 크고 작고 동식물 암수등이 각각 사물을 따라서 형체되고 생김을 가리킴이다 성하고 쇠하고 강하고 약하고 사라지고 자라나고 가득하고 이지러지는 것등 그러한 세로 인하여 이루고 길러짐을 가림킴 이다 만물이 길을 높이고 덕을 귀하게 여기지 아니 함이 없으니 사람의 엄한 아버지와 자애스런 어머니와 같음이라 명령함이 없어도 늘상 자연 천성에서 우러나와 힘쓰지 아니하여도 위하여 간다 상에서 이미 길이 생하고 덕이 길름을 말했는데 아래 또와서 길이 생했다 하고 덕이 길른다함을 말하는 것은 나누어서 말함인즉 도와 덕의 분별이 있고 합하여 말할적엔 도와덕을 한가지 같은걸로 함인 것이다 자라고 양육시키고 성취시키고 성숙시키고 봉양하고 감싸고들 여섯 가지는 오로지 길러 재키는 일이라 대저 왕천하자 하늘의 길을 받들어서 백성을 길름이소중함이 되는지라 이미 생육하곤 도 잘 겸손을 차릴 줄 알아 그공에 머물려아니하면 그렇게 길이 온전하고 덕이 왕성하다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이를 일러 그윽한 덕이라하고 이 덕을 말하고 길은 말하지 않음이라 또한 역시 앞서의 길은 말하고 덕은 말하지 않음과 같다 할 것이다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49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50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52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53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54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