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도덕경

[스크랩] 도덕경 62

장안봉(微山) 2013. 5. 19. 20:24

本文 六十二章 .

道者, 萬物之奧, 善人之寶, 不善人之所保,
도자, 만물지오, 선인지보, 불선인지소보,
美言可以市尊, 行可以加人, 人之不善, 何棄之有,
미언가이시존, 행가이가인, 인지불선, 하기지유,
故立天下, 置三公, 雖有拱壁以先駟馬, 不如坐進此道,
고립천하, 치삼공, 수유공벽이선사마, 불여좌진차도,
古之所以貴此道者何, 不曰以求得, 有罪以免邪, 故爲天下貴.
고지소이귀차도자하, 불왈이구득, 유죄이면사, 고위천하귀.
*奧(오)= 속오 아랫목오 따스할욱 모퉁이욱 깊을오 맨끝오 버릴오 삶을오 쌓을오 돼지우리오 오경오 물굽이낭떠러지욱


 

길이라하는 것은 만물이 쌓인 속에 존재케 되는 것이라서 善人(선인)이 보배롭게 여기고 不善人(불선인)들 조차 보존하려드는 바이라   아름답게 말을 꾸며서도 막되 먹게 말을 하는 시장 바닥에서도 높이려 드나니  행하려든다면 곧바로 사람들에게 덧 보태는 면이 있음일 것이며 사람한테 不善(불선)한 것인 것이라 할지라도 무엇을 버릴 것이 있겠는가 이다 

 

이런 까닭으로  천하에 君主(군주)로 서선 三公(삼공)을 두어선 비록 拱璧 =拱壁(공벽))[임금의 명령을 전달한다는 증표이거나 조정에 나가선 임금님께 신하들이 아뢸적에 손에 쥐어 잡는 증표 신물 이런 것 따위임 = 또는 임금을 호위하는 울타리세력 신하들을 말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을 잡게 하고선  네 필의 駿馬(준마)가 끄는 수레를 타고선 政事(정사)를 보더라도 가만히 앉아선 길로 나아가선 道(도)로 논하는 것 만 같지 못한 것인지라  예전의 高貴(고귀)하다하는 것은 이러한 道(도)라 하는 것일 진데  그렇다면 이러한 길이라 하는 것은 도대체가 무엇이란 말인가  구하여 얻고선 말하지 않는다면 죄를 지은 것이라 그 허물을 冒免(모면)한다할 것인가 이다 그런 然故(연고)로서  天下(천하)에 高貴(고귀)함이 되는 것이다

所以(소이) 道(도)를 얻었으면 천하에 유익하게 펼치는 것이 참다운 고귀함이 되게 하는 모양새라는 것이리라

 


* 예전에 고귀한 것은 모다 이러한 길로써 성과를 본다 할 것인데 도대체 길이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말로 하지 않고선 求得(구득)하는 것인지라   허물 가진 자로 하여금 모면하게 한다 할 것인가  말하지 않더라도 다 그 허물 죄상이 드러나게 하는 방법은 도를 보여줌으로써 그렇게 각자들의 행위에서 허물 지은 것이 낱낱이 드러나게 한다는 것인지라 말하자면 그 碎腦(쇄뇌)工作(공작)하여선 길을 가르침을 듣고선 여지 것 자신들이 이행하여 왔던 방식을 부끄럽게 여기게 한다는 것으로서 그 남의 방식으로 그자들이 過誤(과오)로 느끼게 한다는 것인데

 

未開(미개)한 것을 발개 시켜준다는 빌미 아라새 思想(사상)侵略(침략)이나 理念(이념) 침략하여선 생각을 바꾸어놓는 것 所以(소이) 갈등을 心狀(심상)에 조성시켜서는 그 자신들의 지난 행위업적들이 잘못된 것으로 認識(인식)받게 한다는 그런 趣旨(취지)가 아닌가하는데 이런 것은 남의 전통을 갉아먹고 자신들의 理想(이상)의 터전 所以(소이) 氏種子(씨종자) 내림을 하겠다는 醜惡(추악)한 발상에서 비롯되는 戰術(전술)이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인지라

 

이러한 방식이 道(도)라 한다면 세상에 도 아닌 것이 없다할 것임에 갖은 간특한 두뇌를 굴려선 남을 窮地(궁지)로 모는 행위가 모두 그렇다 할 것인바 아주 邪惡(사악)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천하에 稀貴(희귀)함이 된다하니 좋은 것이라서 稀貴(희귀)함이 아니라 邪惡(사악)한 것이라서 희귀한 것이라 하는 것이 바르다할 것이다 지금 老聃(노담)이 가르치는 논점을 제대로 理解(이해) 못해선 曲解(곡해)하는 해석 誤謬(오류)를 지금 飜譯(번역)하는 내가 저질르고 있는 것일 수도 있으나 지금 내 가슴에와 닿는 생각은 이렇게 비판적으로 흐르고 있는 것이다


* 道(도)라 하는 것은 만물 속에 베어 들어선 쌓인 것인데 착한 사람들은 보배로움으로 여기고 착하지 못한 사람들도 보존하려 드는 바인지라  [착한 사람들은 아주 값나가는 보배로 여기고 악한 사람들도 그 善(선)한 것을 돋보이게끔 하기 위하여선 보존하려드는 것이 길이라 하는 개념이라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善惡(선악)人(인)이 그 道(도)를 보배로 여기고 보존 하려 든다는 것만 아니라, 그 道(도)라하는 것이 그렇게 사람들을 善惡(선악)으로 區分(구분)하여선 兩者(양자)들을 보배로 여기고 그 보존하려 든다는 그런 내용이다] 美言(미언)이라 하는 것은 美辭(미사)構語(구어)를 말하는 것으로 말이 듣기에 감미롭게 한다는 것인지라 그러니까  좋은 말로서 거칠다하는 시장바닥에 돗데기 시장 같은데서도 하게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설사 인생 길을 가는 자들한테 덧보태기가 될지언정 해롭진 않을 것이라는 그런 말씀이고 


또 그렇다고 善(선)함의 대칭 사람의 不善(불선)한 행위를 어떻게 버린다 할 것인가 이다   所以(소이)  다 소용된다는 것으로서 그 말하자면 견주고 對比(대비)시켜보는데 필요한 것이 差等(차등)적인 모습의 樣相(양상) 不善(불선)함이라는 것인데  그런 것을 버리어선 안된다  또는 그렇게 불선한 사람들조차 선한 것을 보고선 따라오게 한다  그 방향을 바꾸게끔 한다 이런 내용도 된다 할 것이고  등등 여러가지 분석과 파악이 나온다할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좋은 것을 갖고선 천하에 군림하여선 정치 행태를 보여 준다하여도 역시나 앉아선 道(도)로 논하는 것 만 못하다는 것이리라

 

옛의 이른바 이러한 道(도)를 귀하개 생각하였던 것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求(구)하여 얻고선 말하지 않는다면 죄를 갖게되는 것을 모면한다 할 것인가  所以(소이) 도를 얻었으면 말씀함으로서  所以(소이) 세상에 펼침으로서 그 허물을 모면하게 된다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세상에 高貴(고귀)한 가치를 인정받게된다고 지금 老聃(노담)이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또는 不曰以求得(불왈이구득)을 이렇게도 해석 가능한데 소이 구하고 얻는 것을 비루하게 입에 올리지 않는다  소이 남의 이해득실을 내가 왜 짓거리느냐 그렇게 흉허물 잡느냐 이런 趣旨(취지)이기도하다  타인이 이득취하는 것을 논한다는 것은 비루한 자들이나 할 행위라는 것으로서 차원높은 고답한 정신세계에 노니는 자는 그런 것을 입에 오르내리지 않는다는그런 의미도 된다할 것인바 말을 함에 있어선 삼갈 것이라는 그런 내용이다

 

허물 가진 자가 그 간계를 동원한 邪 (사벽)스런 행위로서 그 冒免(모면)하려드는 것 이런 것 조차 입에 오르내릴 필요가 없다는 것인데  누구던 그 쓴 허물이나 陋名(누명)에서 벗어날려고 발버둥치는 것인데 그 도와선 주지 못할 망정 헐뜯는 말을 해돼싸야 되겠느냐 이다 그러므로 좋은 말 하기를 즐기라 입에 침 바르고 칭찬하기를 게을리 말라는 老聃(노담)의 가르침이다
그런 원인으로 인하여선 道(도)라하는 것이 천하에 신분이 귀하여지게 된다는 것이다


文章(문장)은 하나래도 해석은 여러 가지라고 漢字(한자) 象形(상형)이 올챙이 과두문자 푸는 것 같아선 여러 가지 煩惱(번뇌)적 생각에 의한 해석을 일으킨다  할 것인데 그래도 老聃(노담)이 주장하는 진정한 취지에는 이르지 못하였는 것이 아닌가 하는데 아무렴은 어떠한가 무슨 의미로 번역을 하던 독자의 가슴에 와 닿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소이 노담이 주장은 지금 저가 주장하는 道(도)라하는 논리를 쫓으라는 것이다  그래야만 인민의 삶이 유익하게된다  그 질박한 삶속에 백성은 純化(순화)되어선 세상은 지배자가 다스리기 쉽고 그렇게 다스리기 좋은 세상은 살기 좋은 사회집단이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노담이 자기 주장 아니라도 다른사 람 주장이라도 인류는 이렇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인지라  오직 힘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인지라 힘을 가진 자만이 장뗑이 세상이라 그러므로 앞서 내가 논한바와 같이 힘을 기를 것을 권유하는 바이라 입만 살아선 道(도)라하고 나블 거리는 것 보다 실제로 인생살이에 有用(유용) 使用(사용)할수 있는 奸計(간계)한 術策(술책)을 가리키고 그러한 방법을 注入(주입)시키는 게  백성한테는 더 유익하다는 것인데 공장 노동자한테  道(도)라 하는 것은 뭐 말라 비틀어진 것인가 이다  그 일을 수월하게 하고 기능 한가지라도 바로 습득을 시켜선 그 먹고사는데 애로점을 덜어주는 것이 진정한 바른 가르침이라 할 것인바 셈하는 오른 방식 打算(타산)을 가르치는 것이 훨씬 더 유익하다 할 것인바 백성을 능력 있는 자로 만드는 것이 그 道(도)라 하는 것보다 現實感覺(현실감각)에 맞는 것이라할 것이다


당장 먹고살기 필요 한 것이 중요한 것이지 그 무슨 교통법규 신호등 잘 지키라는 보도규범 같은 것이 아닌 바에야  말짱 말장난 말 우롱 놀음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으라는 것이고 세상을 시끄럽게만 하는 그런 주장들이라는 것이라 그래서 그 李斯(이사)가 시끄럽다고 醫藥(의약)서적 이외에  다 불태우고 말도 안되는 헛 짓거리는 무리들을 끌어 묻으라 하는 것인지라 세상을 고만 그 분탕질하고 요란하게 하는 것들이 모다 그 理念(이념)이고 思想(사상)에 의해서 생기는 것인데 그래봤자 인민의 삶만 더 피폐를 가져오지 않았던가 이다
종교 가르침이라는 것이 세상 사방곳곳에 이념갈등 전쟁을 일으켜선 머리가 터지도록 쌈박질 하게 하는 것인지라  그 하나도 人民(인민)한테는 이로운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일체 머리 굴리어선 사람 유혹 꼬득이는 주장을 펼치는 넘들을 모두 쇠도리깨로 메뚜기떼나 참새 때려잡듯이 대갈 바리를 으깨어선 아작을 내어야 한다 할 것이리라 


 

 

*本文 第 六十二章 =  길이란 것은 만물이 감춘 것(* 奧= 안속이란뜻 깊으다 비밀스럽다 아랫목이다 따스하다  집 서남 모퉁이다  돼지 우리다 맨끝이다 삶는다 쌓는다 등의 뜻으로 쓰임 음역은 욱음으로도  함,=역시 암것 坤의 성향을 띄는 것을 말한다할 것이다 = 서남모퉁이는 坤方[곤방]이다 암것 어미를 뜻한다 돼지는 乾方[건방]을 뜻한다 그것의 들어가 쉴수 있는 우리임으로 역시坤方이다 소위 乾은 남성의 성기 坤은 여성의 성기를 대표한다고도 할수 있다  乾이 맨앞이면 坤은 맨끝이라고도 할수 있다 坤의 성향이 따스한 아랫목과 같아 서방님을 맞아들여 쉬게한다  곤의 陰門 所謂 玉門은 비밀스러운 성향을 띄고도 있다 즉 함부로 내 둘르지 않고 짝 적임자와 합궁하는 도리도 있기 때문이다  坤은 平地와도 같으니 만물이 와서 높이 쌓일 래기다  등등임) 이니  착한 사람은 보배로 여기고   착하지 못한 사람은 보전하려든다   아름다운 말을함이 바르게 써세상에 저자 (번화한 도시거리)거리 같이  번성하고 전파되고  높은 행실은 바르게 써 사람을 유익하게 한다   사람들이 착하지 못한 게 있다하여 무엇을 버림이 있을 것인가?   천자(*임금님)를 세우고 삼공(정승판서 내각 등)을 세움은 비록 공벽(拱璧=信物또는 신표의 상징이나 귀중한 보배)을 갖고 사마(駟馬=한대의 수레에 메이는 네 마리의 말=그러니까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로써 부귀를 뜻한다 할 것임)를 앞세워 행한다해도  앉아서 이러한 길로 나아감만 못하다할 것이다    예전에 소위 이러한 길 귀하게 여김은 무엇 때문인가?   찾음을 말하지 않아였서도 얻음으로써 허물 있음을 면한다 함일러라  그러므로 천하에 귀함이 된다 하리로다.

* 길이라 하는 것은 만물가운데 쌓여 있는 것이라 [* 또는 , 길이라 하는 것은 만물이 번성함을 가져오게 한  없어서는 안되었을 아주 긴요한 것이라] 착한 사람들은 보배로 여기고, 착하지 못한 사람들도 보존할 바인 지라 [ 또는  착한 사람들을 보배로 여기고, 선하지 못한 사람들도 그 개과천선케 하여선 보존 할 가치를 갖게 한 것임인지라]  아름다운 말은 바로 저자거리에서 치켜세워 주게되고 실행은 바로 사람을 덧보태기 함에서 있는 것이라[* 또는, 아름다운 행실은 사람을 돋보이게 하는지라]  사람들이 착하지 못하다 하여선  어찌 버림을 가진다할 것인가 ,  그러므로 천하를 세우고  三公(삼공=정승판서 소위 정부 국가기관 등)을 두어서 비록  拱璧(공벽)=[직위를 상징하는 폐옥 또는 언약을 상징하는 증표 符節(부절) 같은 것]을 마주잡고 駟(사)馬(마)[= 고관대작의 수레에 메이는 말]를 앞세워서 행한다하여도 앉아선 이러한 길로 나아가는 것만 못하다 할 것이니 예전의 소이 길을 귀하게 여기던 것은 무엇인가 찾고 얻음을 말하지 않는다 할 것이니  허물이 있다면 사면함을 받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천하의 귀함 된다할 것이다

 

蘇註
소주
凡物之見於外者 皆其門堂也 道之在物 譬如其奧 物皆有之 而人莫之見耳
범물지견어외자 개기문당야 도지재물 비여기오 물개유지 이인막지견이
夫唯賢者得而有之 故曰善人之寶 愚者雖不能有 然而非道則不能安也 故
부유현자득이유지 고왈선인지보 우자수불능유 연이비도즉불능안야 고
曰不善人之所保 蓋道不遠人 而人則遠之 今誠有人美言之則 可以爲市於
왈불선인지소보 개도불원인 이인즉원지 금성유인미언지즉 가이위시어
世 尊行之則 可以加於人矣 朝爲不義 而夕聞大道 妄盡而性復 雖欲指其
세 존행지즉 가이가어인의 조위불의 이석문대도 망진이성복 수욕지기
不善 不可得也 而又安可棄之哉 立天子 置三公將以道救人耳 雖有拱璧之
불선 불가득야 이우안가기지재 입천자 치삼공장이도구인이 수유공벽지
貴 駟馬之良而進之 不如進此道之多也 道本在我 人患不求 求則得之矣
귀 사마지양이진지 불여진차도지다야 도본재아 인환불구 구즉득지의
道無功罪 人患不知 知則凡罪不能 也.
도무공죄 인환불지 지즉범죄불능오야.

 

* 소씨 주석하대.
무릇 사물을 밖에 보이게 하는 것은 모두 그문과 마루인데  길은 사물에에 있어  그 사물 속에 감춰진 것이라 (*즉 사물성향에 같이 겸해 감싸인 것이란 뜻) 사물이 다들 가지고 있는데도 사람들은 제대로 보고 듣질 못한다   무릇 어진 자라야만 얻어서 가지게 되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착한 사람의 보배라 하는 것이고  어리석은 자 비록 잘갖진 못하였으나 그러하여도 길이 아니면 잘 편안치 못한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착하지 못한 사람조차도 보전 할려 한다 함인 것이다  대저 길은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데  사람들이 곧 멀리하는지라  이제 진실로 사람이 있어 아름다운 말을 가지게 된다면 바르게 써 세상에 번화로운  저자거리 같이 될 것이니  높은 행실은 곧 바르게 사람들을 유익하게 함일러리라  아침엔 이롭지 못하였다해도  저녁엔 큰길의 이치를 듣게되어  망녕됨이 다하고  본성을 회복해서 비록 그 착하지 못함을 가리키고자해도 바르게 얻지 못할 것인데  또 무엇을 바르게 버린다 할것인가? 천자를 세우고 삼공을 둠은 장차 길의 이치로써 사람을 구원할 뿐이리니  비록 공벽의 귀함과 사마의 어짊을 가지고서 나아간다 해도  이러한 길 나아감 많음만 못하다 할 것이다   길이란 본래 내게 있는 것인데 사람들은 찾지 못함을 근심한다   찾으면 얻음 있으리라   길은 공적과 허물이 없다    사람들은 모름을 근심한다   알면 무릇 허물이란 것을 갖고서 덟게끔 땀흘림을 잘하지 않으리라 (*역자부언= 소위 합리성을 갖추고 나면 죄의식이 소멸되어 누구던지   편안해지고  고요한 열반 경계에 있게 된다는 것이다)

 

呂註
여주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則未有一物而不足於道者也 室之有奧 深邃
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화 즉미유일물이부족어도자야 실지유오 심수
燕間 而尊者之所處也 萬物莫不有深邃燕間尊高之處則道是也 故曰道者萬
연간 이존자지소처야 만물막불유심수연간존고지처즉도시야 고왈도자만
物之奧 唯其如此 故善人之寶而不善人之所保也 何則善人知其善之 所自
물지오 유기여차 고선인지보이불선인지소보야 하즉선인지기선지 소자
出則得之 而有無窮不貨之富 非其寶耶 不善人知其不善至於此而혀同 則
출즉득지 이유무궁불화지부 비기보야 불선인지기불선지어차이혀동 즉
雖有萬惡渙然而釋矣 非其所保耶 夫言之美者可以市 行之尊者可以加人
수유만악환연이석의 비기소보야 부언지미자가이시 행지존자가이가인
則人無善不善 固知美所美而尊所尊也 有道者之於人 猶天地也 天無不覆
즉인무선불선 고지미소미이존소존야 유도자지어인 유천지야 천무불복
地無不載 非特美言尊行之非也 則人之不善 何棄之有 故立天子置三公 雖
지무불재 비특미언존행지비야 즉인지불선 하기지유 고입천자치삼공 수
有拱璧以先駟馬 所以享於上者 禮之恭幣之重者也 然不如坐進此道 以道
유공벽이선사마 소이향어상자 예지공폐지중자야 연불여좌진차도 이도
之爲天下貴 雖坐而進之 過於恭禮重幣也 天子三公 所以坐而論者 不過此
지위천하귀 수좌이진지 과어공예중폐야 천자삼공 소이좌이논자 불과차
而已矣 古之所以貴此道者何也 不曰求以得有罪以免也 求以得 則所謂善
이이의 고지소이귀차도자하야 불왈구이득유죄이면야 구이득 즉소위선
人之寶 有罪以免 則所謂不善人之所保也 唯其如此 此所以爲天下貴 而古
인지보 유죄이면 즉소위불선인지소보야 유기여차 차소이위천하귀 이고
之所以不得不貴也.
지소이부득불귀야.

 

*여씨 주석하대,
만물은 음을 등지고 양을 끌어안아 기운을 맞질르게 하여서 화락함을 삼는다   곧 하나의 물질이라도 길에 부족함을 가지지 않았다  집은 속을 가지고 있다 깊숙이 생겨서 연회할 수 있는 칸칸으로 되어있다 높은 분께서 머무를수 있는 곳이다  만물이 깊숙한 연회할수잇는 틈 높은곳을 가지지 아니함이 없으니  곧 길이 이러함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길이란 것은 만물의 감춘 것  만물 속에 쌓인 것(*파묻힌 것이라 할수도 있다)이라 한다  결론컨데 이같은 지라  그런 까닭에 착한 사람은 보배로 여기고  착하지 못한 사람은 보전하는바가 있다 함인 것이다   무엇을 갖다 착한 사람이  그 착한 게 저절로 에서(*즉 道에서) 나옴을 아는가?  곧 (*길의 이치를) 얻어서 궁함 없는 재화 아닌 부요로움을 가지게되는지라  그 보배로 여긴다 아니 하랴?    착하지 못한 사람도 그 착하지 못함을  이에 이르러서 알아서(*깨달아서)   그윽히 동화된다면 비록 만가지 악을 가졌다해도 바뀌어서 그러히 자연적 풀리리니  그 보전할 바가 아니랴 하랴?  무릇 말씀의 아름다운 것은 바르게 써 번화로운 거리를 만들고  행실의 높은 자는 바르게 써 사람들을 유익하게 하니  곧 사람이 착하여 착하지 아니함이 없음  진실로 아름다움을 아름다이 여길줄 알고 높은걸 높으게 여길줄 아는 것이라 할 것이다.    길의 이치르 깨달아 가진자 사람들에서  오직 하늘과 땅과 같으니 하늘이 감싸지 아니함이없으며 땅이 실지(모든만물은 땅에 실려있음)아니함이 없다  특별히 아름다운 말씀과 높은 행실의 비김을 가리키지 아니해도 사람들의 착하지 못함을 어찌 버려 둠이 있을 것인가?  *또는 사람들이 착하지 아니하다해서 어찌 내버림이 있다 할것인가?   그러므로 천자를 세우고 삼공을 두어서 비록 아름다운 구슬을 가지게 하고 네 마리말이 끄는 수레를 타게 해서 상류층의 예의인 여러 가지 공경할만한 폐백 예물을 소중함을 누리게 한다해도  그러히 앉아서 이러한 길의 이치로 나아감만 못하다 할 것이니  길로써 천하의 귀함을 삼아서 비록 앉아서도 진취적이라 함은 공순한 예의와 소중한 폐백으로 하는 것보다  넘친다 할 것이라  천자와 삼정승이 앉아서 담론하는 것도 이러함에 지나지 않을 따름이리니  예전에 소이  이러한 길을 귀하게 여긴다 하는 것은  무엇인가?  찾음을 말하지 아니해도 얻게됨 허물이 있는 자 그 허물을 면하게되고  찾아서 얻게 된다면 이른바 착한 사람의 보배가 되니   죄있는 자가 사면함을 받는다 하니 곧 이른바 착하지  않은 사람이 보전하려하는 바이라   결론컨데 이같음  이는 천하 귀함을 삼아서 예전의 귀하지 아니함을 얻지 않는다 하리라 

朴註
박주
奧主也 堂室以奧爲主道者 善人之所寶 以用不善人之所保 以生美言可以
오주야 당실이오위주도자 선인지소보 이용불선인지소보 이생미언가이
市於人而悅其意尊行 可以加於人而服其心 雖不善之人 能悅其意服其心
시어인이열기의존행 가이가어인이복기심 수불선지인 능열기의복기심
則彼皆樂得於我 我於彼何棄之 有此善人之所以寶 道而不善人之所保於道
즉피개락득어아 아어피하기지 유차선인지소이보 도이불선인지소보어도
者也 是以雖以君相之尊 獲拱璧駟馬 聘幣之重 亦不如坐進此道之爲 夫古
자야 시이수이군상지존 획공벽사마 빙폐지중 역불여좌진차도지위 부고
之所以貴此道者其意如何 豈不以善人求之以得不善人賴以免罪耶 此道之
지소이귀차도자기의여하 기불이선인구지이득불선인뢰이면죄야 차도지
所以爲天下之所貴而萬物之所宗也
소이위천하지소귀이만물지소종야

*박씨 주석하대,

奧(오)는 主(주)된 것을 말함이다 마루와 집이 속 안이 있는 걸로 주됨 임금됨을 삼는다  [*그러니까 그 효용하여 쓸수 있는 기능을 주안점을 삼는다는 뜻이다  마루나 집이 방이나 실내 또는 앉을 곳이나 편히 쉴 곳이 아니라면 그 효용이나 기능을 상실한 것 아닌가?]   길이란 것은 착한 사람은 보배로써 사용하고   착하지 않은 사람은 보전하려 드는 바라  삶을 아름답게 하길 바르게 써 삶들이 번화한 저자 거리에서 말들을 하게하여  그 뜻을 깃겁게 하고 높은 행실은 바르게 사람들을 유익하게 하여서 그 마음들을 감복시키고  비록 착하지 못한 사람일지라도  잘 그 뜻을 깃거워 하여 그 마음을 복종케 하면  저들이 다 즐거움을 내게서 얻음이라  내와 저 사이에서 무슨 버림의 존재 가 있을 것인가?  선인은 소이 길을 보배로 여기고 불 선인은 길이란 것을 보전하려듦이라 이래서  비록 임금의 재상이 되어 높음이 좋은 구슬을 지니고 사마를 앞세워 끄는 수레를 타고 폐백을 무겁게 하여 초빙 받는다 해도  앉아서 이러한 길의 귀함에만 나아감만 못하다함인 것이다   무릇 옛의 소이 이러한 길이란 것을 귀하게 여긴다는 그 뜻은 어떠하였는가?  어찌 착한 사람의 찾는걸 쓰지 않음으로써  착하지 못한 사람을 도와 허물을 면케 함을 얻게 한다 할 것인가? (*어찌 착한 사람이 찾는 것 으로써 착하지 못한 사람을 도와 허물 면함 씀을 얻는다 아니 할 것인가?)  이러한 길은 소이 천하를 위함으로써 귀함이 되어  만물의 언덕할 마루가 됨이라 할 것이다  (*宗=(종)이란? 그 성향의 높은 자취로 祖宗 즉 할아버지로 추앙하고 치켜세워 기리고 그 가리키고 있는 뜻에 여타들이 덕으로 여겨 의지 할 것으로 여김을 말함이다)

출처 : 역학살롱(實戰命理의 場)
글쓴이 : 삼베 중우 적삼 도롱이 원글보기
메모 :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60  (0) 2013.05.19
[스크랩] 도덕경 61  (0) 2013.05.19
[스크랩] 도덕경 63  (0) 2013.05.19
[스크랩] 도덕경 64  (0) 2013.05.19
[스크랩] 도덕경 65  (0) 201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