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六十四章 .
其安易持, 其未兆易謀, 其脆易泮, 其微易散.
기안이지, 기미조이모, 기취이반, 기미이산.
爲之於未有, 治之於未亂. 合抱之木, 生於毫末,
위지어미유, 치지어미란. 합포지목, 생어호말,
九層之臺, 起於累土, 天理之行, 始於足下.
구층지대, 기어누토, 천리지행, 시어족하.
爲者敗之, 執者失之. 是以聖人, 無爲故無敗.
위자패지, 집자실지. 시이성인, 무위고무패.
無執故無失. 民之從事, 常於幾成而敗之. 愼終如始則無敗事.
무집고무실. 민지종사, 상어기성이패지. 신종여시칙무패사.
是以聖人, 欲不欲, 不貴難得之貨, 學不學,
시이성인, 욕불욕, 불귀난득지화, 학불학,
復衆人之所過, 以輔萬物之自然而不敢爲.
복중인지소과, 이보만물지자연이불감위.
그 편안하면 지니기 쉬워진다 그 조짐을 짓지 않을 적에 圖謀(도모)하기 쉽다 그 물렁한 것은 녹기가 쉽다 그 微細(미세)한 것은 흩어지기가 쉽다, 일을 두지 않을 적에 해버린다 어지럽지 않을 적에 다스려버린다, 아람드리 나무가 되는 것도 터럭 끝처럼 작은데서 부터 생기는 것이다 九層(구층)의 樓臺(누대)도 몽진 흙이 積載(적재)함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천리길도 발 아래로부터 시작된다 위하려는 자는 敗北(패배)하게 될 것이고 잡으려 하는 자는 失策(실책) 잃어버리게될 것이다 이래서 聖人(성인)은 함이 없는 고로 敗北(패배)하지 않는다 잡으려 함이 없는지라 실책함도 없다 民衆(민중)의 從事(종사)하는 일을 볼 것 같으면 늘 상 거의 이뤘다간 패배해버린다,
마치기를 처음과 같이 조심 한다 면야 패배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이래서 聖人(성인)은 不欲[(불욕= 欲望(욕망)치 아니한 것)]함을 하고자 하고 얻기 어려운 財貨(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不學[(불학= 知識(지식)되지 못한 것 지식이라 할 것 조차 없는 것)]이란 것을 배워선 民衆(민중)의 허물 지나친 過誤(과오)를 根本(근본)으로 되돌리어선 萬物(만물)을 됨됨이를 補完(보완)함으로써 자연으로 돌아가게 하여선 抑止(억지)로 쿠태여 하려들지 않게 한다
* 마치기를 처음 시작 할 제 처럼 조심한다면 패배하는 일일 없게 될 것이라는 것이고 이래서 聖人(성인)은 바라는[희망 하는] 것이거나 바라지 않는[희망하지 않는] 것이거나 상관없이 얻기 어려운 財貨(재화)를 고귀하게 치지 않는다는 것이고 배울 것이나 배우지 않을 것이 거나 民衆(민중)의 지나친 바를 정상 행위로 되돌리고자 한다는 것이고 그 萬物(만물)을 補完(보완)하여선 자연스레 굴러가게 한다는 것이요 억지로 구태여 되어 돌아가게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 순리대로 일을 다스리지 맞바람 불 듯이 하는데선 그것을 거스려 헤쳐나가는 難關(난관)을 일부러 조성하려 들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크게 말썽 나기 전에 初前(초전)에 아예 순 부텀 질러 버린다는 그런 趣旨(취지)이다 그렇게 되면 无 (무탈) 할 것이라는 것이리라 모깃불도 그냥 내버려두면 점점 번성하여져선 山河(산하)를 다 태워 버리는 큰불이 될 것인지라 아 화근 불씨를 없애버린다는 그런 말인 것이다 그 일을 두기도 전에 하여 버린다는 것은 그냥 내버려 放置(방치)하면 일이 생길 것을 미리 豫測(예측)하고 有備無患(유비무환)의 精神(정신)으로 그 原因(원인) 발단 될 것 부터 먼저 조져버린다는 것이리라 그렇게 된다면 그 禍根(화근)이 아예 자리잡을 餘地(여지)도 없다는 것이리라 設似(설사) 發生(발생)하였다 할지라도 그 初前(초전)에 剝殺(박살)을 내버린다면 그 어지럽지 않은 것을 다스려 버리는 것인지라 그 그냥 방치하여선 손가락으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게된다고 그러한 어려움이 없게끔 만든다는 그런 내용이다 逆說的(역설적)으로 말한다면 大事(대사)成功(성공)도 처음에는 별것 아닌 것으로 보이던 것이 차츰 우여곡절로 勢(세)를 얻어선 커지기만 한다면 그 두둘겨 잡기가 容易(용이) 하지 않다는 것으로서 그렇게 힘을 培養(배양)해야만 한다는 것을 여기서는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이다
무엇이든지 일이 커지기 전에 初前(초전)에 封鎖(봉쇄) 해버린다면 敗北(패배)하고 실책할 일도 없다는 것으로서 顯明(현명)한 자는 그렇게 처신을 한다는 것이다
모든 바에 長短點(장단점)은 다 있는 것이 老聃(노담)의 주장이 能事(능사)만 아닌 것이 아- 일을 키워야할 때가 있고 일을 작게 해야 할 때가 있고 등 그 勢(세)를 봐서 형편을 봐서 應對(응대)하는 것이지 무조건하고 初前(초전)에 두둘겨 잡는다는 것 만 능사만 아니라는 것이리라 그 구체적인 방법론을 필자가 자잘구레 하게 말을 하여선 큰 관점의 論旨(논지)를 흐려 놀려고 한다고 할는지 모르지만,
老聃(노담)은 그 治者(치자)의 입장에 서서 세상을 태평하게끔 정치를 행한다는 그런 발상에서 말하는 것이지만 다스림을 입는 자의 입장에 서서도 한번 생각을 해봐야한 다는것이라 세상은 지배자만 있는 것이 아니고 그 구성원인 피지배자도 있기 때문이 지배자가 案件(안건)을 세우면 피지배가 그것을 봉죽하여선 성사 시켜주는 것인데 지배자만 擁護(옹호)하는 말을 한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피지배가 어느 만큼 자기 입지가 곤경에 처하였는 가를 그 위정자는 실제 경험하면서 똑바로 알으라는 것이리라 그래야만 세상은 오른 가치관에 의해선 번영을 謳歌(구가)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時勢(시세)에 適應(적응)하여선 그 일을 많이 생겨나게 하여선 해라 督勵(독려)할 때도 있고 그 일이 없게끔 하여야 할적도 있는 것이지 그냥 무사안일만 추구한다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運營(운영)에 妙(묘)를 살리는 치적을 함으로서 그 세상을 발전하게되어 있는 것인데 무조건하고 그 세상의 돌아가는 가치관을 전복 시키려드는 듯한 聖人(성인) 빙자한 逆說的(역설적)인 관점은 바른 관점이 못되고 回避(회피) 도망 주의 그 인민을 卑怯(비겁)함으로 몰고 결국 那落(나락) 淘汰(도태)되는 방향으로 誘導(유도)하게 된다는 것이리라
하고 잡으려하는 것은 반드시 그 치우친 관점 敗北(패배) 하는 것으로만 몰아 붙칠 순 없다는 것이리라 세상은 그 無限(무한)한 挑戰(도전)精神(정신)으로 덤벼들 듯이 해서 그 번성함을 가져오는 것인데 지금 노담이 人民(인민)들에게 게을러 빠지고 解弛(해이)한 방향으로 갈 것을 권장하는 모습이라 할 것인데 하필 世上事(세상사)가 聖人(성인)의 專有物(전유물)이 아닌 바에야 왜 聖人(성인)만을 美化(미화)하는 發言(발언)만 해 됐 싸야만 한다는 것인가 이다 왜 성인만 세상에 사는가 성인을 위하는 듯한 발언만 일삼게 성인이라 하는 作者(작자)들도 民衆(민중)이 없이는 존재할 수가 없는 것인데 그렇게 대다수 민중이 하는 일을 못마땅하게 생각 한다면야 聖人(성인)이 하려는 일인들 바른 가치가 존재 하겠느냐 이다
그러므로 말이 聖人(성인)이지 자기주장을 먹혀들게 하려고 강요하는 인상밖에 심어주지 못하는 것이 지금 노담이 주절거리고 있는 논리라 할 것이다
民衆(민중)에겐 그저 무언가 열심히 뛸 것을 督勵(독려)하는 그런 사기진작을 말을 해야지 그 물러가는 전법을 써서는 안된다는 것이고 老聃(노담)의 주장이라 하는 것은 백성을 癡愚(치우)함으로 만들어선 그 支配者(지배자) 한테 순종하게 하여선 노예를 만들겠다는 그런 한쪽으로 치우친 편벽 된 思想(사상)이다
支配者(지배자)라 하는 것은 도대체 뭐 말라 비틀어진 것이며 도대체 어느 넘이란 말인가 所以(소이) 聖人(성인)이라 하는 넘은 도대체 무얼 하는 作者(작자)인가 자기 생각을 팔아선 자기 명분을 드날리겠다는 그런 무리들이 아니던가 이다
그뿐만 아니라 그 理想的(이상적) 思想的(사상적) 支配(지배)慾(욕)이 강한 엉큼한 심보를 가진 도둑에 불과하다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세상을 자기가 지배하겠다는 것인데 그렇데 욕심이 過大(과대)할 수가 없다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도둑의 심보를 가진 넘 들이 바로 聖人(성인)이라 하는 惡鬼(악귀) 들이라 할 것이다 감언이설을 팔아선 민중을 의도대로 쇄뇌 시켜선 제넘의 하수인을 만들겠다는 것인데 그 뭣이 하나도 바르게 보일 리가 있겠느냐 이다 다 쳐죽일 무리들 인 것이라
그래서 李斯(이사)가 焚書坑儒(분서갱유) 한 것이다 주둥이만 살아선 변설하는 넘들은 모조리 다 쇠도리깨로서 대갈통을 개박살을 내야만 직성이 풀린다 할 것인지라 우에 저들만 사람이고 여너 민중은 인간도 아니란 말인가 그런 넘들 만 위하는 말들만 所以(소이) 聖人(성인)이라 하는 작자들이 주워섬기고 있는 것이고 所以(소이) 治者(치자) 爲政者(위정자) 들에게 속하는 말들 만 하여 재키는 것이다 民衆(민중)의 功勞(공로)를 가로채려드는 넘들이 바로 支配者(지배자)나 治者(치자) 爲政者(위정자) 所以(소이) 잘났다하는 階層(계층)의 聖人(성인) 班列(반열)에 서는 넘들인데 이런 무리들은 탄압 받는 민중의 원수로서 打倒(타도)對相(대상)인 것이라 하나 같이 다 척살 죽여 버려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民衆(민중)이 핍박과 彈壓(탄압)에서 해방이 된다는 것인지라 일체 권력 주위에서 맴돌면서 아부나 하는 모사꾼 변설가 넘들 說客(세객)들을 모조리 쳐없애 치워야만 한다 할 것이다
혁명이라 하는 것은 민중으로부터 일어나야만 한다 그래선 상전벽해로 둘러엎고 거러엎을 때만이 진정한 혁명은 완수된다할 것인지라 被支配者(피지배자)들은 憤然(분연)히 跋扈(발호) 해야만 한다 할 것인지라 일체 感想(감상)에 젓는 논리나 말에 유혹을 당하여선 그 부림 받는 노예가 되지 말 것을 권유하는 바라 무조건하고 上典(상전)이라 하는 넘들을 우에 죽여 버릴가를 생각하라는 것이리라 그래야만 한시라도 빨리 탄압의 굴레에서 벗어난다는 것인지라
탄압은 다른 것이 아니다 所以(소이) 부림을 받으면서도 그 부림 받는 것 그 자체를 모르게 하는 것 그런데 빨려 들어간 모습을 가리키는 의미로도 관찰할 수가 있다 할 것인데 자아의식을 망각하게 해버리고 바보처럼 만들어선 治者(치자)가 意圖(의도)하는 방향대로 기계적인 행동으로 따라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그 治者(치자)의 手足(수족)이 된다 면야 그 천상간에 奴僕(노복)이 되었다할 수밖에 더 있겠는가 이다 그러므로 그렇게 될 것이 아니라 그 굴레를 파괴하고 뛰쳐나오라는 것이리라 노담의 주장은 인민을 바보로 만들어선 어느 信奉(신봉)자 聖人(성인)이나 所以(소이) 託稱(탁칭) 道(도)라 하는 神格化(신격화)된 鬼神(귀신)을 추종하여선 그것이 誘導(유도)하는 대로 끌려가자는 개수작 같은 논리인 것인지라 하나도 그 동조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무슨 감언으로 碎腦(쇄뇌) 시키는 말을 시브렁 거리느냐 이런 내 논조다
성인이라 하는 무리들 이 짓거리는 말을 볼 것 같으면 들어선 하나도 귀에 솔깃하지 않은 말이 없는데 말 파는 무리들의 그 말의 행태 를 볼 것 같다면 마치 단샘이 솟고 단꿀이 흐르는 것 같은 것으로 錯覺(착각)하게 만든다는 것인지라 그렇게 되어선 그 박절치 못하고 일단 들어준 자를 그렇게 汚染(오염)을 시켜서는 저에 同牌(동패)를 만들어선 그 수족처럼 사용하려 든다는 것인지라 아주 악랄하고 악질적인 것이 이만 더한 것이 없다할 것이다 그 무슨 덕을 주고 윤기가 흘러선 득을 보여주는 것처럼 하여선 그 굴레에 영원히 포로화 하여선 그 주장이 眞理(진리)인 것 처럼 만들어선 보존하는 터전을 만들려 든다는 것이라 그러므로 아주 民衆(민중)에게는 그 주장들이 철천지 怨讐(원수)라 할 것이다
민중을 부려 쳐먹기 위해선 그 미끼로 낚시 밥을 던지는데 그것을 먹는 민중으로 하여금 아주 달콤하게 느껴지게 끔 한다는 것이리라 이렇게 좋은 걸로 碎腦(쇄뇌) 받으니 민중이 거기 지남석처럼 달라 붙어선 떨어질 줄 모르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 이런 것을 갖다가선 祝福(축복)이라 좋은 말로 둔갑을 시켜선 사람의 心狀(심상)을 操縱(조종) 하려 드는 것인데 그 祝福(축복)이 아니라 그 부려먹기 위한 하나의 수단 속에 해당하는 것이라 할 것이라 祝福(축복)이 그렇다면 그 남에 財貨(재화) 甘言(감언)으로 착취하고 개기름 낀 넘 들이 모두 축복 받아선 그렇다할 것이다
무언가 일을 크게 별려서 하려 는 속에 그 먹을 것도 존재하게 마련인 것인지라 그래서 그 訟事(송사) 건수가 커질 것을 바라는 바인지라 아- 하늘이 이유 없이 大地(대지)에다간 비를 뿌려선 만물을 윤택하게 하겠는가 이다 그 만물을 번성시키려면 이권다툼 드잡이질을 벌이게끔 하기 위하여서 그렇게 비를 내리는 것인데 이런 原理(원리)를 부정하고 무조건하고 일 없게끔만 만든다 한다면 하고 만은 생명체 백성들이 굶어 죽으라 하는 논리인데 어찌 그런데 동조할 수가 있겠느냐 이다 다
그러므로 일은 많아야하고 일을 하여야하고 그런 속에 흥망성쇠가 존재하여선 점점 발전을거듭하게 되는 것이다 몇명의 포시락 한 것을 위해서 그 聖人(성인)이라 하는 것을 입에 오르내려선 그 주장을 따를 필요가 없는 것이라 할 것이다 세상이 그 넘들 지배하에 노인다면 벌써 인간세상을 도태되고 말았을 것인지라 그러므로 우에든 일이 생기고 많게 그 부추겨야만 한다할 것인지라 그래야만 민중에게는 그 먹고살 터전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저 제반사가 興旺(흥왕)하게끔 만들 필요가 있다할 것임에 전쟁도 흥왕 치열해야되고 生産(생산)도 그렇게 興旺(흥왕)해야하고 할 일도 여러 각종 복잡다단한 일이 생겨선 많아져선 흥왕해 져야지만 그 백성들이 일자리가 많아져선 모두가 潤氣(윤기) 있는 삶을 산다 할 것인바 모든 것은 그렇게 많아야만 한다할 것이고 할 것 많고 어지러운 것 많고 돋는 싹 많고 이래야만 한다 할 것인지라 무조건 老聃(노담)이나 일체 잘났다하는 성인 넘들의 주장이이나 발언을 짓가라 뭉게는 戰法(전법)으로 나올 적만이 인민의 삶은 질적인 향상을 가져와선 풍요로움을 누린다할 것임에 일체 말파는 무리들을 원수로 삼아선 장조림 하거나 가라먹을 것을 권유하는 바이다
원수는 잡아선 원래 장조림 해먹는 것이다 아주 몇년 장물에다 푹 저리다 시피해서 두고두고 이를 갈면서 씹어 먹어야만 한다 할 것이다 원수 넘들을 ....
필자의 말씀에 대해 惡鬼(악귀)들린 것처럼 여겨져선 厭症(염증)嫌惡感(혐오감)을 갖는다하는 자들은 이미 聖人(성인) 말이라 하는 것에 屈服(굴복)당하고 碎腦(쇄뇌)된 자들이라 할 것임에 하루속히 그 病(병)을 치유할 것을 바라는 바이다
一切(일체) 信奉(신봉)主義(주의) 思想(사상) 理念(이념)을 가르치는 넘 들을 모조리 사심이 칼로 울대를 따 노을 적에 끽- 소리 하는 자가 없을 것이다
악마의 후예가 되다시피 해서만이 아니라 그 악마라 하는 것을 저 발치 자자손손으로 여기는 그런 巨頭(거두)가 되는 것으로 비춰질 때만이 진정한 가르침을 펼치는 자로 비춰질 것이다
* 本文 第 六十 四章 = 그 편안한데서 잡아지님이 쉽고 그 조짐이 일어나지 않은데서 꾀하기가 쉽고 그 (*諸般事가)연약해지면 판결이 달라지고 그 (*諸般事가)미세해지면 흩어지기 쉽다 함을 존재치 않을 적에서 하고 다스림 둠을 어지럽지 않을 적에서 하고 합하고 포용할만한 근본은 터럭 끝만 한데서부터 생겨난다 [(*아람드리 나무도 터럭끝만큼 (*눈곱만큼) 자라는데서 생겨나고)] 아홉층을 이루는 누대는 얽어맨 흙에서 세워 일으키고 천리의 행함도 발 아래 부텀 시작된다 할려는 자는 패하게되고 잡아 지니려는 자는 잃어버리게 된다 이래서 성인은 함이 없는지라 패함도 없고 잡을려 함도 없는지라 잃어버림도 없다 백성은 일을 쫓으면서도 늘 상 거의 이루었다간 패한다 삼가 마치길 처음과 같이하면 패하는 일이 없다 이래서 성인은 하고자함과 하고자 아니함에서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 않고 배움과 배우지 아니함 것 중에서 모든 사람의 허물인 바를 깨우쳐서 본성으로 되돌아오게 함으로써 만물은 자연에 의지함을 믿게 하여서 구태여 하게 하지 않는다
* 그 편안하면 잡아 쥐기 쉽고, 그 아직 조짐이 커지기 전에 도모하기 쉽고, 그 살어름이 끼었을 적에 풀어 재키기 [깨기]쉽고, 그 미세할 적에 흩트러 트리기 쉽다,
아직 두었지 않았을 적에 하여가고, 아직 어지럽지 않았을 적에 다스려가고, 근본을 끌어안아 합하게 되면 끝은 저절로 생기게된다, 구층의 누대도 처음에 흙을 다짐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이요, 천리의 행함도 발 아래로 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하려드는 자는 패퇴하게될 것이고, 잡아 지니려는 자는 잃어버리게될 것이다 성인은 이래서 함이 없는 연고로 패함도 없고, 잡아 지니려함이 없는 연고로 잃어버림도 없다 백성의 일 쫓는 것을 본다면 늘 상 몇가지 일을 거의 잘 이루었다가도 패하게 되는데 삼가 마치길 처음과 같이 한다면 패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성인은 또한 이래서 욕망 아닌 것을 하게되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고, 배우지 아니할 것을 배운다 [소이 자신이 무능해서 열등의식에 사로잡혀서 있으면서도 이래 길이라 하는 것으로 그럴사하게 포장하여서는 자신의 열세에 있는 것을 커버, 소이 방패막이로 막아 재킬려 하는 것이 소이 추악한 길이라 하는 말이라 할 것이다 이래 본다면 그 간악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고 사악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 소위 길을 주장하는 자들의 말이라 할 것이니 모두가 패퇴의식에 사로잡혀서는 그 도전의식을 모르고 맥빠진 노쇠한 망녕된 늙은이의 말처럼 들린다 할 것이다 . 아 - 제가 능력 있어서 재물 긁어모아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데야 어찌 그것을 귀하다 아니할 것인가 능력 없으니까 그래 얻기 어려운 것으로 치부해서는 남 조차도 패퇴의식을 갖게 하는 것으로 몰아가려 하는 것이지 괜히 그러겠는 가?, 쓸잘대 없는 주장을 내놓는 부류들의 말이 그 道(도)를 주장하는 자들의 말이라 할 것이다 , 천하백성이 모다 악착같이 나댄다면 그 만큼 천하는 발전이 오게 마련이라 그 용기를 북돋고 개강심을 갖게 해서만이 백성은 잘살게 된다할 것이다 ]
모든 사람의 허물 된 바를 돌아보건대 그 만물을 [밤 놔라 대추 놔라]참견하려는 데서 생긴 바이라 이래 만물을 진정 도우려한다면 그냥 자연 쳐 내버려두고 구태여 하려들지 않는데 있다할 것이다
* 불학을 배운다는 것은, 남이 배우지 않는 것, 소이 도를 터득한다는 것이니 소이 세속의 이해득실이나 그 예의격식 이딴 것을 타산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배우지 않고 초월하여 이런 것을 비판하는 비판세력화한 길이라 하는 기롱 거리는 것을 배운다는 것이리라
* 欲不欲(욕불욕)은 자기가 힘이 부쳐 이루지 못하는 것을 비판하는 말 일 것이라
아- 자신의 욕망이 성취가 된다면 그 딴말을 주절 거리 겠는 가이다
필자[여금오]를 생각이 얇은 소인이라 할런지 모르지만 인간의 심리를 파악 다 까발려서 놓는 데야 어떻게 소인이라고만 할 것 인가이다 그 거짓포장을 하고 고급용어를 동원하고 입에 기름칠한 귀에 듣기 좋은 말을 해돼야만 하는가 이런 내 논조 다
蘇註
소주
方其未有 持而謀之足矣 及其將然 非泮而散之不去也 然猶愈於旣成也 故
방기미유 지이모지족의 급기장연 비반이산지불거야 연유유어기성야 고
爲之於未有者上也 治之於未亂者次也 木也臺也 行也積小成大 治亂禍福
위지어미유자상야 치지어미란자차야 목야대야 행야적소성대 치란화복
之來 皆如彼三者 聖人待之以無爲 守之以無執 故能使福自生 使禍自亡
지래 개여피삼자 성인대지이무위 수지이무집 고능사복자생 사화자망
譬如種苗 深耕而厚耘之 及秋自穰 譬如彼盜 危坐而熟視之 盜將自 世
비여종묘 심경이후운지 급추자양 비여피도 위좌이숙시지 도장자각 세
人不知物之自然 以爲非爲不成 非執不留 故常與禍爭勝 與福生贅 是以禍
인불지물지자연 이위비위불성 비집불유 고상여화쟁승 여복생췌 시이화
至於不救 福至於不成 蓋其理然也 聖人知有爲之害 不以人助天 始終皆因
지어불구 복지어불성 개기리연야 성인지유위지해 불이인조천 시종개인
其自然 故無不成者 世人心存於得喪 方事之微 猶有不知而聽其自然者 及
기자연 고무불성자 세인심존어득상 방사지미 유유불지이청기자연자 급
見其幾成而重失之 則未有不以爲敗之者矣 故曰愼終如始 則無敗事 人皆
견기기성이중실지 즉미유불이위패지자의 고왈신종여시 즉무패사 인개
徇其所欲以傷物 信其所學以害理 聖人非無欲也 欲而不欲 故雖欲而不傷
순기소욕이상물 신기소학이해리 성인비무욕야 욕이불욕 고수욕이불상
於物 非無學也 學而不學 故雖學而不害於理 然後內外空明 廓然無爲 可
어물 비무학야 학이불학 고수학이불해어리 연후내외공명 곽연무위 가
以輔萬物之自然 而待其自成矣.
이보만물지자연 이대기자성의.
*소씨 주석하대,
그 두지 않았을 적에 방책을 생각하고 또 손에 쥐고 있듯이 할 때에 꾀하는 게 넉넉하리라. 그 장차 지남에 미치어서 제대로 풀리지 않고 산만해지면 버리지 못하게 된다 (*제대로 일 처리가 잘 않된다는 뜻일 것임)
그렇게됨 오히려 일을 이룸에서 쾌차한 면을 더함 있으리라 그러므로 함을 뭔가 존재치 않을 적에 하는 자가 상책이 되고(*유비무한 미연에 방지한다는 뜻임) 어지럽지 않을 적에 다스리는 자가 그 다음 이 된다.
나무의 자람과 집을 지음과 걸음 햄함은 작음을 쌓아 큼을 이룸이다
다스림 어지러움 재앙 복등의 옴은 모두 저 세가지와 같으니 성인은 함 없음으로 대접하고 잡음 없음으로써 지키는지라 그러므로 잘 복으로 하여금 절로 생 하여 지게하고 재앙으로 하여금 절로 도망가게 한다 비유컨데 종자 씨가 깊이 잘 뭍쳐 김을 북돋아 줌 가을게 미쳐선 절로 이삭을 잘 여무는 거와 같고 비유컨데 도둑 맞을 까해서 높은데 앉아서 망을 보다가 (*눈독을 들임). 도적이 장차 스스로 물러남 세인은 그러함을 알지 못하고 만물(물사)이 자연 그렇게 됐다 한다. [*역자부언= 세인은=여기서 세인은 이란 말이 들어가야 한다] (* 그릇됨을 위함과 이루지 못할걸 위함을 써 지니고 머물르게 아니함이 없는지라) 늘 상 재앙과 더불어 이길걸 다투고 복엔 더불어 없어도 될 군더덕이 를 낳게 한다 이래서 재앙을 구원하지 못함에 이르게까지 하고 복은 달성치 못함에 이르게 하니 대저 그 이치 그러함이다 그렇치만 성인은 함둠의(*위함둠의) 해로움을 알으셔셔 사람으로서 하늘을 도웁지 않는다 시작과 마침이 모두 그 자연으로 인하게 하는지라 그러므로 이루지 아니하는 것이 없다 세인은 마음에 얻음과 손상함이 존재하는지라 (*이해타산을 따진다) 바야흐로 일이 미미할제 오히려 대책을 강구할 줄 몰라서 그 자연이라 하는 것에 들으려 하나 그 거의 기미 이룸을 봄에 밋쳐선 이미 잃어버림이 무겁게된다 곧 일이 있지 않았을 적에 대책을 쓰지 않아서 패하게 된 것이라 그런 까닭에 말하건대 삼가 마치길 처음과 같이하면 패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사람들이 그 모두 하고자 하는 바를 쫓아 물심을 손상케 되고 그 배운 바를 신빙함으로써 이치에 해로움을 짓게 된다 성인도 하고자함이 없지 않으나 하고자 아니함을 하고자 하는지라(*하고자 하는 게 하고자 아니할라 하는걸 하는지라 ) 비록 물심을 손상치 아니 하고자함을 배움이 없지 않으나 배우지 아니함을 배우는지라 (*배워도 배우지 아니한 걸로 되는지라) 비록 배웠어도 자연이치에 해로움을 짓는 게 되지 않는다 그러한 뒤에라야 안과 밖이 비어져 밝아지고 넓리 그러히 함이 없는 걸로 된다 할 것이니 바르게 만물의 자연 그러함을 도와서 그 저절로 이룸을 대접한 것이라 할 것이리라
呂註
여주
其安易持 危而持之則難矣 其未兆易謀已動而謀之則難矣 其脆易破 則不
기안이지 위이지지즉난의 기미조이모이동이모지즉난의 기취이파 즉불
可使至於堅 其微易散 則不可使至於著 物皆然 心爲甚 通諸其心 則於天
가사지어견 기미이산 즉불가사지어저 물개연 심위심 통제기심 즉어천
下國家無難矣 安也未兆也 則是爲之於未有也 脆也微也 則是治之於未亂
하국가무난의 안야미조야 즉시위지어미유야 취야미야 즉시치지어미란
也 合抱之本生於毫末 大生於小也 九層之臺起於累土 高起於下也 千里之
야 합포지본생어호말 대생어소야 구층지대기어루토 고기어하야 천리지
行 始於足下 遠始於近也 則爲之於未有 治之於未亂 其本末常如此也 爲
행 시어족하 원시어근야 즉위지어미유 치지어미란 기본말상여차야 위
之於未有 則是以不爲爲之也 治之於未亂 則是以不治治之也 已有而爲之
지어미유 즉시이불위위지야 치지어미란 즉시이불치치지야 이유이위지
則爲之欲成而反敗之 已亂而治之 則執之欲固而反失之也 是以聖人爲之於
즉위지욕성이반패지 이란이치지 즉집지욕고이반실지야 시이성인위지어
未有 則我固無爲也 故無敗 治之於未亂 則我固無執也 故無失民之從事
미유 즉아고무위야 고무패 치지어미란 즉아고무집야 고무실민지종사
常在旣有之後 故至於幾成而敗之 以不知其本故也 使知大生於小 高起於
상재기유지후 고지어기성이패지 이불지기본고야 사지대생어소 고기어
下 遠始於近 愼終如始 則無敗事也 是以聖人欲不欲 不貴難得之貨 則滑
하 원시어근 신종여시 즉무패사야 시이성인욕불욕 불귀난득지화 즉골
欲於俗思以求致其明 非知此者也 學不學 以復衆人之所過以輔 萬物之自
욕어속사이구치기명 비지차자야 학불학 이복중인지소과이보 만물지자
然而不敢爲 則繕性於俗學以求復其初者 非知此者也.
연이불감위 즉선성어속학이구복기초자 비지차자야.
*여씨 주석하대,
그 잡음을 편안한데서 잡으면 쉽고 위태한 다음 잡는다면 어려워지리라 그 조짐이 아닐 적에 도모하기가 쉽고 이미 움직이는 기미가 있은 다음 꾀한다면 어려워지리라 그 연약해 진 다음에는 깨어지지가 쉬우니 곧 바르게 하여금 굳음에 이르지 못한다 그 쉬움이 작아지면 산만해지니 곧 바르게 하여금 현달 함에 이르지 못한다 모든 물질이 다 그러함이라 마음에서 심하게 할려 해서 모든 걸 그 마음에서 통달하면 천하와 국가(*의 일)에서 어려움이 없으리라 조짐이 없을 적 이란 곧 이는 일이 있지 않을 적에 뭘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요 연약함과 그 기미 미미하다함은 곧 어지럽지 않을 적에 다스림을 말함이다 합하고 포용할만한 근본은 터럭 끝만 한데서 부터 차츰 커져 생긴다 (*아람드리 나무도 터럭 끝만한 아주 작은 게 커서 생김이니 큼은 작음에서 생김이다)
아홉층의 누대도 얽은 흙에서부터 일어난다 함은 높음은 낮은데서 부터 일어남이다 천리의 행함도 발아래서 부터 시작된다함은 멀음도 가까운데서부터 시작되는 것을 뜻한다 곧 미연에 있지 않을 적에 함과 어지럽지 않을 적에 다스림은 그 근본과 끝이 늘 상 이 같음이다 미연에 일이 터지기 전에 대처해서 한다하니 곧 이래서 하지 않아도 한 것이 됨인 것이다 어지럽지 않을 적에 다스린다함이니 곧 이래서 다스릴걸 다스리지 않게 됨인 것이다 이미 일이 있고 난다음 할려한다면 곧 해서 이루고자 해도 도리혀 패하게 된다 이미 어지러운 다음 다스린다면 잡아지님을 굳게 하고자 해도 도리혀 잃어버린다 이래서 성인은 일이 있기전에 미연에 대책을 강구하므로 내 진실로 할게 없다 그런 까닭에 패함이 없다 어지럽기 전에 다스린다면 내- 실로 굳이 잡아 지닐려할 게 없다 그러므로 잃어 버릴 것도 없다 백성의 일을 쫓음 늘 상 이미 일이 있고 난다음 대책을 강구하려드는지라 그러므로 거의 일을 이룸에 이르렀다가도 패하게 된다 이는 그 근본을 모르기 때문에 그렇다
하여금 큼이 작음에서 생기고 높음이 낮음에서 일어나고 멀음이 가까운데서 시작되고 마치길 삼가 처음같이 할 줄 안다면 패하는 일 없으리라 이래서 성인은 하고자함과 하고자 아니함에 있어서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곧 세속의 생각으로 어지러운 하고자 함으로써 그 밝음을 찾아 이루려는 자는 이러한 것을 알지 못한다 배움과 배우지 아니함에 있어서 모든 사람의 허물을 되돌아봄으로써 만물의 절로 그러함을 도와서 구태여 할 려 들지 않음이니 본성을 기움(*꿰멤)을 세속에서 배우는걸 갖고 그 처음(*본성)으로 되돌아오길 찾는 자는 이러함을 알지 못하리라
朴註
박주
方其安易爲持方患之 未兆易爲謀形 脆則易破 執微則易散 爲未有及其未
방기안이위지방환지 미조이위모형 취즉이파 집미즉이산 위미유급기미
兆而謀之也 治未亂垂其脆 微物破散之也 皆所以防之於豫 如此然後 可以
조이모지야 치미란수기취 미물파산지야 개소이방지어예 여차연후 가이
能保其安 安則幾未動也 未兆則幾已動而形未著也 脆微則形已著而常未至
능보기안 안즉기미동야 미조즉기이동이형미저야 취미즉형이저이상미지
於堅凝而難破散也 合抱之本 生於毫末 則脆之不破而至於堅 九層之臺起
어견응이난파산야 합포지본 생어호말 즉취지불파이지어견 구층지대기
於累土 則微之不散 而至於凝千里之行 始於足下 則不能持於安謀之於未
어루토 즉미지불산 이지어응천리지행 시어족하 즉불능지어안모지어미
兆而患成 忽身以危矣 欲持凝而散之 堅而破之 兆而謀之 危而持之 則
조이환성 추홀신이위의 욕지응이산지 견이파지 조이모지 위이지지 즉
爲之已晩而執無及矣 此所以貴防豫也 然徒知防豫之不可已而 不得其處之
위지이만이집무급의 차소이귀방예야 연도지방예지불가이이 부득기처지
之道 則未免爲之太煩執之太滯 亦終歸於失敗而已 爲而敗之 苗是也 執
지도 즉미면위지태번집지태체 역종귀어실패이이 위이패지알묘시야 집
而失之刻舟是也 聖人則不然無爲無執煩於自然 故不煩不滯而終無敗失矣
이실지각주시야 성인즉불연무위무집번어자연 고불번불체이종무패실의
然人或有從事於此 而能得防豫之道者 及其幾成 則以爲不足憂而忽之 以
연인혹유종사어차 이능득방예지도자 급기기성 즉이위부족우이홀지 이
至於敗事者多矣 此充所宜爲戒苟能愼終如始 則無敗事矣 欲不欲所欲者
지어패사자다의 차충소의위계구능신종여시 즉무패사의 욕불욕소욕자
在於人之所不欲 學不學所學者 在於人之所不學 欲不欲不貴難得之貨 所
재어인지소불욕 학불학소학자 재어인지소불학 욕불욕불귀난득지화 소
以持其安謀 其未兆破其脆 散其微蓋人之 不能安其身而 禍患生於所忽者
이지기안모 기미조파기취 산기미개인지 불능안기신이 화환생어소홀자
皆出於多欲而 貪貨也 聖人則 以恬淡爲主 乃衆人之所不欲者 其防豫如此
개출어다욕이 탐화야 성인즉 이념담위주 내중인지소불욕자 기방예여차
學不學 復衆人之所過 所以無爲無執 蓋人之有爲有執以至失敗者 皆由於
학불학 복중인지소과 소이무위무집 개인지유위유집이지실패자 개유어
寡 學而不知過也 聖人則 輔萬物之自然 而不敢爲乃衆人之所不學者 其爲
과 학이불지과야 성인즉 보만물지자연 이불감위내중인지소불학자 기위
豫防之道又如此 不能謀於未兆者 不知豫防者也 爲之執之者 知豫防而不
예방지도우여차 불능모어미조자 불지예방자야 위지집지자 지예방이불
得其道者也 幾成而敗之者 得其道而 不能愼終者也 聖人則無三者之失矣
득기도자야 기성이패지자 득기도이 불능신종자야 성인즉무삼자지실의
此章於豫防之道 致其丁寧反覆如此 蓋亦復申前章之意 而其語尤詳且密
차장어예방지도 치기정녕반복여차 개역복신전장지의 이기어우상차밀
老子所云無爲無事者 殆亦不出於此矣
노자소운무위무사자 태역불출어차의
* 박씨 주석하대.
그 편안한데서 방책을 쓰면 잡아 지님 됨이 쉽고 방책을 근심의 조짐이 아닐 적에 하면 꾀하여 형용하기가 쉽고 연약해진다면 세를 쪼개기가 쉽고 [*세가] 미미해지면 흩트러 트리기가 쉽다 일이 있지 않을 적과 및 그 조짐치 않을 적에 꾀하여감과 어지럽지 않을 적에 다스림을 드리우고 그 연약하고 미미할 때 흩고 깨트려 감은 모두 소이 미리 막아 재킨다는 의미이라 이 같은 연후에야 바르게 써 잘 그편안함을 보전한다 할 것이니 편안하다함은 거의 움직이지 않을 적을 의미함이요 조짐이 일어나지 않았을 적이란 거의 이미 움직였어도 아직 형체가 나타나지 않았을 적이요 연약하고 미세하다함은 형체 이미 나타났어도 오히려 아직 굳게 엉김에 이르지 않아서 쪼개고 흩트러 트리기가 어렵지 않다는 뜻이요 아람드리 나무 터럭 끝 같은데서 부터 생긴다함은 연약할 적에 쪼개지 않으면 굳음에 이른다는 의미요 구층의 누대도 얽는 흙에서부터 일어난다 함은 미미할 적에 흩트러트리지 않으면 엉김에 이른다는 의미요 천리의 행함도 발 아래서부터 시작된다함은 편안한데서 잡지 (*쥐지)않고 조짐이 일어나지 않았을 적에 잘 꾀하지 않음이라서 이루는 게 근심이요 몸을 소홀히 함으로써 위태하여 진다는 뜻이리라 욕망이 엉김을 기다린 후에 흩고 굳은 다음에 쪼개고 조짐이 있은 다음에 꾀하고 위태할 적에 쥐어 잡는다면 함이 벌써 늦어서 세력이 밋치지 못하리라 이는 소이 예방하는 것이 귀함이 된다함인 것이다 그러나 도시 예방을 아는 것만 바르지 아니할 따름이요 그 머물러 가는 게 길을 얻지 못한다면 크게 번민함과 크게 지체됨을 잡음을 면치 못하여 역시 마침내 실패함으로 돌아갈 따름이라 하였다가 패하는 것이 흡사 어린 싹으로 방책의 나무를 삼음이 바로 이러함이요 잡아 쥐었다가 잃어버리는 것이 배에다 새기는 것이 바로 이러하다(*刻舟求劍(각주구검) 이란 뜻임) 성인은 그렇지 않아 함도 없고 잡음도 없어 자연에 순종하는지라 번민하지도 않고 지체되지도 않아서 마침내 패하고 잃어버림이 없음이시니라 그러나 사람은 혹두 이에 종사하여서 잘 예방의 길이란 것을 얻고도 그 거의 이룸에 밋쳐선 근심을 부족하게 하여 소홀히 함으로써 일을 패하게 이르게 함이 많음이라 이래서 더욱 마땅히 경계할 바이라 진실로 잘 삼가 마치길 처음과 같이 한다면 패하는 일이 없어지리라 하고자함과 하고자 아니함에 있어서 하고자함이란 남의(*사람의) 하고자 아니하는바에 있는 것이요 배움과 배우지 않는다 함에 있어서 배우려는 바인 것은 남의 배우지 아니하는바에 있음이라 하고자 아니함을 하고자 하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음은 소이 그 편안 곳을 잡아지는 것이요 그 조짐이 아닐 적에 도모하는 것이요 그 연약할 적에 쪼개는 것이요 그 미미할 적에 흩트러 트리는 것이다 대개들 사람들은 잘 그 몸을 편안하게 못하여서 화환이 소홀한데서 생기게 하는 것은 모두 많은 욕망에서 탐해 빌리는데서 나옴이나니 성인은 염담(담백 즉 맑음) 함을 주안점(*주된 걸로)을 삼으셔 인하여 여너 모든 사람이 하고자 아니할 바일 것을 그 예방함이 이 같으샤 배우지 아니할걸 배우게 하셔 거듭 모든 사람의 지나친 바를 소이 함이 없게 하고 지님이 없게 한다
대개 사람들은 함이 있고 잡음이 있어 실패함에 이르는 것은 모두 배움이 적음에서 오는 연유라 하고 지나쳐서 그런 줄을 모른다
성인은 만물 절로 그러함을 도와서 구태여 하려들지 아니함으로 인하여 모든 사람들의 배우지 아니할 것을 그 위해 예방하는 길 또한 이 같고, 조짐이 않을 적에 잘 꾀하질 못하는 자는 예방할 줄 모르는 자이고 위하려들고 잡아 지니려 드는 자는 예방할 줄 알면서도 그 길을 얻지 못한 자이고 거의 이루었다가 패하는 자는 그 길을 얻었어도 삼가 마치길 잘 못하는 자이다 성인인즉 이상 세가지의 잃어버림이 없음이시리라 이번 장은 그 예방하는 길에 있어서 그 정녕코 반복하는 게 이 같음이라 할 것이다 대저 역시 거듭 앞장의 뜻을 펴서 그 말씀을 더욱 상세하고 또 세밀하게 함인 것이다
노자께서 이른바 함 없음과 일없다 하는 것이 자못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함이리라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62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63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65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66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67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