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흥호 선생(전 이화여대 교수)의 주역 간해(周易簡解)에서 -
1건(乾)은 자강불식(自彊不息)하는 군자의 정진하는 모습이다.
2곤(坤)은 군자의 수도하는 과정이다.
3둔(屯)은 극난(克難)하고 생기가 출현하고 새 시대가 열리는 때로써 강한 지도자가 요청된다.
4몽(蒙)은 교육의 필요성과 그 방법이 논의된다.
5수(需)는 간난(艱難)에 대처하는 성인들의 태도를 보여준다.
6송(訟)은 재판의 원리로 무송(無訟)을 원칙으로 한다.
7사(師)는 전쟁에 대처하는 빙법과 장수의 양육을 말한다.
8비(比)는 평천하(平天下)의 화평(和平)을 기한다.
9소축(小畜)은 혜정(慧定)이나, 수부족(修不足)을 경고한다.
10리(履)는 도덕처세의 원리를 말한다.
11태(泰)는 수승화강(水昇火降)의 태평성대를 찬양한다.
12비(否)는 염상누수(炎上漏水)의 불인(不仁)을 탄핵한다.
13동인(同人)은 사람은 이성적 동물로써 정혜현전(定慧現前)하면 불로공력(不勞功力)을 말한다.
14대유(大有)는 사람의 입지(立志) 정진(精進)하면 성인무공(聖人無功)의 경지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이다.
15겸(謙)은 노자도덕경의 출원이며 노겸군자(勞謙君子)는 기독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16예(豫)는 기쁨의 출처와 기쁨이 진리에 있음을 밝힌다.
17수(隨)는 돈독한 믿음으로 순종(順從)의 도(道)로 자리이타(自利利他)하는 길을 보여준다.
18고(蠱)는 효도의 원리와 견도(見道)하고 입도(入道)하는 요령이다.
19림(臨)은 성영강림(聖靈降臨)하여 상적광토(常寂光土)를 현성(現成)케 한다.
20관(觀)은 관(觀)으로 세상을 알게하여 보살도(菩薩道)를 보여준다.
21서합(噬嗑)은 죄(罪)와 벌(罰)의 불가피성을 말한다.
22비(賁)는 인문의 장달(張達)을 보여준다.
23박(剝)은 악(惡)의 극성을 묘사한다.
24복(復)은 회복을 기대한다. 세상에 종말은 없다. 종시(終始)가 있을 뿐이다. 세상에 생사는 없고 사생(死生)이 있을 뿐이다. 시간은 지구의 자전으로 생하고 태양은 불변지리(不變之理)다. 이(理)는 영원하여 단절이 없다.
25무망(无妄)은 참(眞)이 무엇인가를 말한다. 천체의 운동은 거짓이 없다.
26대축(大畜)은 도덕의 대축으로 이 세상을 하늘로 만들 수도 있다.
27이(頤)는 자양양현(自養養現)으로 국가의 기둥이 인재에 있음을 강조한다.
28대과(大過)는 자기상실의 비참함을 알려준다.
29감(坎)은 해탈의 원리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설한다.
30이(離)는 중도(中道)와 자각(自閣)을 말한다.
31함(咸)은 남녀의 사람이다.
32항(恒)부부의 영원한 가정의 사랑이다.
33돈(遯)은 시대의 도피요 은둔(隱遁)이다.
34대장(大壯)은 장엄(莊嚴)세계이다.
35진(晉)은 진취하고 발전하는 인간문화이다.
36명이(明夷)는 푹군시대에 현인들이 은거하는 모습니다.
37가인(家人)은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운 이상적인 가정을 보여준다.
38규(睽)는 이중동(異中同)이다. 만물은 다 다르지만 그 속에는 같이 살 수 있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 대동사회의 평천하의 원리를 본다.
39건(蹇)은 간난(艱難)에 처하여 장애를 극복하는 원리를 보여준다.
40해(解)는 어떻게 자유를 얻고 악(惡)을 극복하였는가를 말한다.
41손(損)은 백성을 착취하여 착복하면 손(損)이라는 것이다.
42익(益)은 백성을 도와주는 것이 익(益)이라는 정치의 대도(大道)를 말한다.
43쾌(夬)는 악(惡)을 타파하고 결단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44구(姤)는 하늘의 말씀을 들어낸다.
45취(萃)는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종교의 역할이 얼마나 크다는 것을 알려준다.
46승(升)은 개인이 성장하고 발전하는데 스승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한다.
47곤(困)은 곤경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를 가르친다.
48정(井)은 진리는 생수처럼 흐르고 영원함을 가르친다. 동리는 변해도 우물은 불변한다. 오아시스에 사람이 모여들 듯 사람은 진리를 찾아가게 마련이다.
49혁(革)은 혁명이다. 때가 되면 동물들이 털갈이를 하듯이 시대가 달라질 때 모든 제도는 개혁하지 않으면 여름에 털옷을 입는 얼빠진 사람이 된다.
50정(鼎)은 제사지내는 일이다. 천제(天祭)를 바로 드리면 정치를 손바닥처럼 바로 잡을 수가 있다.
51진(震)은 신(神)앞에 공구(恐懼) 근신(謹愼)하는 모습이다.
52간(艮)은 부동심(不動心)과 무아의 세계이다.
53점(漸)은 사회의 점진적 발전을 기한다.
54귀매(歸妹)는 출가 결혼하는 상태이다.
55풍(豊)은 왕자(王者)의 대도(大道)를 보여준다.
56여(旅)는 여행의 고락(苦樂)을 말한다.
57손(巽)은 하늘의 신명(申命)과 중도정혜(中道定慧)를 말한다.
58태(兌)는 학문의 기쁨을 말한다.
59환(渙)은 여민동락(與民同樂)하는 왕도정치를 보여준다.
60절(節)은 정제와 악무(樂舞)를 말한다.
61중부(中孚)는 진실과 신앙을 말한다.
62소과(小過)는 공(恭)과 애(哀)와 검(儉)은 조금 지나친 편이 좋다는 것을 가르친다.
63기제(旣濟)는 완전무결한 도덕의 세계이다.
64미제(未濟)는 미완성의 종교의 세계이며, 미래의 희망을 안겨준다.
'육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각종 예언술- 점술, 점성술, 토정비결 (0) | 2013.05.14 |
---|---|
[스크랩] 복희 팔괘(伏羲八卦)와 문왕 팔괘(文王八卦) (0) | 2013.05.14 |
[스크랩] 이섭대천(利涉大川)과 이천(利川) (0) | 2013.05.14 |
[스크랩] 작괘(作卦)와 득괘(得卦) (0) | 2013.05.14 |
[스크랩] 동효(動爻) 선택법의 고찰 (0)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