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재배(감)

[스크랩] 떫은감 수령별 표준수량표 활용

장안봉(微山) 2013. 2. 7. 19:06

떫은감 수령별 표준수량표 활용

조두현, 053)320-0233, gam1003@gb.go.kr

 가. 시책 건의부서

  ○ 농협중앙회 농업정책보험부


나. 건의내용

  ○ 떫은감 주요 품종의 표준수량표를 농작물재해보험 피해보상 산정기준으로 활용할것을 건의


 다. 건의배경

  <농가 및 농촌>

  ○ 떫은감이 농작물 재해보험 대상작물로 실시되고 있으나 수량예측 및 손실율 관련 자료가 없어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피해산정이 어려움.

  <농업제도․정책>

  ○ 떫은감 농작물 재해보험 실시에 따른 농작물재해 피해산정 자료로「일본 야마가타현 조합의 떫은감(2류) 표준수량표」의 수령별 수확량 증가비율을 적용해 품종별 표준수확량 상품안을 산출하고 있음.

  ○ 따라서 농작물재해보험의 계약 및 인수, 피해산정을 위한 떫은감 주요품종의 수령별 수량을 대표할 수 있는 떫은감 농작물재해보험 상품안 개발이 필요함.


 라. 주요연구결과

  ○ 수령별 10a당 재식밀도는 유목기에는 31~46주정도, 성목기에는 20~30주정도, 노목기에는 12~18정도였다.

  ○ 품종별 평균과중은 상주둥시는 대과 180g, 중과 153g, 소과 130g, 청도반시는 대과 180g, 중과 145g, 소과 120g, 갑주백목은 대과 335g, 중과 285g, 소과 245g정도였다.

  ○ 수령별 주당 수확과수, 수령별 재식밀도, 품종별 평균과중으로 산출한 수령별 표준수확량은 상주둥시는 5년 162kg, 10년 1,049kg, 15년 1,805kg, 20년 2,367kg, 25년 2,647kg 35년 2,876kg으로 26년~35년에 최고 수량을 보인 후 수령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감소하였으며, 청도반시는  25년경에 2,472kg으로 최고 수량을 이룬 후 35년경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이다가 36년이후부터는 급격히 수량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갑주백목은 18년~20년생에서 2,052kg정도로 최고 수량을 보인 후 수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표 1> 품종별 수령별 재식밀도

(주/10a)

상주둥시

 

청도반시

 

갑주백목

수령(년)

재식주수

 

수령(년)

재식주수

 

수령(년)

재식주수

5

 40

 

5

46

 

5

33

6~12

33

 

6

33

 

6~17

31

13~17

32

 

7~11

31

 

18

30

18~20

30

 

12

25

 

19~20

25

21~25

24

 

13~14

23

 

21~35

18

26~35

18

 

15

22

 

 

 

36이상

12

 

16~20

20

 

 

 

 

 

 

21이상

18

 

 

 


<표 2> 품종별 평균과중

(g/개)

구  분

대  과

중  과

소  과

상주둥시

2006년

181

154

131

2007년

179

152

129

평 균

180

153

130

청도반시

2006년

180

144

125

2007년

180

145

120

평 균

 

 

 

갑주백목

2006년

350

300

250

2007년

320

270

240

평 균

 

 

 

 

<표 3> 품종별 수령별 수확량

                (단위: kg/10a당, kg/1주당)

구분

(수령)

상주둥시

 

청도반시

 

갑주백목

 

전 체

10a 당

1주당

 

10a 당

1주당

 

10a 당

1주당

 

10a 당

1주당

5

162

 4.1

 

207

4.5

 

198

6.0

 

189

4.9

6

363

11.0

 

422

12.8

 

505

18.7

 

430

14.2

7

637

19.3

 

605

19.5

 

817

26.4

 

686

21.7

8

884

26.8

 

673

21.7

 

937

30.2

 

831

26.2

9

974

29.5

 

803

25.9

 

1,101

35.5

 

959

30.3

10

1,049

31.8

 

963

31.1

 

1,199

38.7

 

1,070

33.9

11

1,119

33.9

 

1,118

41.0

 

1,231

39.8

 

1,.156

38.2

12

1,290

39.1

 

1,272

50.9

 

1,263

40.8

 

1,.275

43.6

13

1,658

51.8

 

1,637

71.2

 

1,395

45.0

 

1,563

56.0

14

1,709

53.4

 

1,716

74.6

 

1,588

51.2

 

1,671

59.7

15

1,805

56.4

 

1,827

83

 

1,626

52.5

 

1,753

64.0

16-17

2,010

62.8

 

1,895

94.8

 

1,851

59.8

 

1,919

72.5

18-20

2,367

78.9

 

1,950

97.5

 

2,052

77.5

 

2,123

84.6

21-25

2,647

110.3

 

2,472

137.3

 

1,737

96.5

 

2,285

114.7

26-35

2,876

159.8

 

2,342

130.1

 

-

-

 

2,609

145.0

36~40

2,418

201.5

 

1,873

104.1

 

-

-

 

2,146

152.8

41이상

1,928

160.7

 

1,795

99.7

 

-

-

 

1,862

130.2


라. 기대효과

  ○ 농업물재해보험 운영의 내실화

  ○ 농작물의 자연재해보상기준의 현실화

출처 : 한국감연구회
글쓴이 : Seong-Tae Choi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