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50 장 ] 건록격과 월겁격의 운을 논함
건록격과 월겁격의 운을 보는 법은 건록과 월겁이 이루어낸 국(局)을 보고 운을 잘 배합해야 한다.
1. 녹겁용관(祿劫用官:록겁격에 정관이 있는 사주)의 경우에는,
인수의 보호가 있다면
=> 재운이 좋고
=> 정관을 합하는 운을 꺼리며
=> 칠살이 혼잡하게 되는 운을 꺼리며
=> 식상운은 해롭지 않고
=> 비겁운 역시 흉하지 않다.
재의 생조를 받고 있다면
=> 인수가 있어야 좋으며 정관이 뿌리를 내려야 하고
=> 식상이 정관을 능멸함을 두려워하고
=> 재를 만나면 더욱 그 공을 드러내지만
=> 칠살과 섞이면 어찌 무난하겠는가?
2. 건록격과 월겁격에서 재를 쓰는데 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재성과 식상이 중하다면
=> 인수가 있어야 좋고
=> 비겁은 꺼리지 않으며,
재와 식상이 경미하다면
=> 마땅히 재를 도와야 하고
=> 인수와 비겁은 좋지 않다.
=> 칠살을 만나도 상해가 없고
=> 정관을 만나면 복이 되지 않는다.
3. 건록격과 월겁격에 칠살을 쓰는데 식상이 있을 경우에는,
식상이 중하고 칠살이 미약하다면
=> 칠살을 돕는 운으로 가야 하고,
식상이 미약하고 칠살이 무거우면
=> 식상을 돕는 운으로 가야 한다.
4. 만약 칠살을 쓰는데 재성이 있다면
원국에서 칠살을 합거하고 식상이 남는다면
=> 식상운으로 가야 좋고
=> 재운도 꺼리지 않으며,
=> 정관이 투출해도 염려할 바가 없고
=> 신왕한 운 역시 형통하게 된다.
만약 원국에서 재를 합거하고 칠살을 남겼을 경우에는
=> 식상으로 제살해야 하고,
그중, 칠살이 미약하다면
=> 칠살을 도와야 하며,
그중, 식상이 미약하다면
=> 식상을 돕는 운이 와야 한다.
5. 건록격과 월겁격에서 식상을 쓰는 경우에는
=> 재운이 가장 길하고
=> 칠살운 역시 꺼리지 않으며
=> 인수운은 불길하고
=> 정관이 대운 천간에서 오는 것도 불미스럽다.
만약 사주 원국에서 식상이 태과하다면
=> 재운이 당연히 유리하고
=> 인수운 역시 꺼리지 않는다.
6. 건록격과 월겁격에 관살이 모두 투출하면
합살류관(合殺留官)이든 존관제살(存官制殺)이든 막론하고,
=> 식상운이 좋고
=> 비겁운 역시 좋지만
=> 인수운과 재관은은 좋지 않다.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命 과 運 ] 사주로 그릇을 보고, 대운은 희기를 논한다 (0) | 2013.05.20 |
---|---|
[스크랩] << 중요한 구분 ~ 정관용인 과 정관봉인 >> (0) | 2013.05.20 |
[스크랩] [ 명조해석 ] 정관격의 운을 논함 (0) | 2013.05.20 |
[스크랩] [ 실전공부 ] 같은명조도 동일한 삶을 살고 있지는 않다 (0) | 2013.05.20 |
[스크랩] [ 판단기준 ] 잡기에서 판단 ~ 용신들을 찾아라 !! (0)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