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스크랩] 형충회합론 강의 12 /이수

장안봉(微山) 2013. 4. 19. 23:34


Deathblow



※ `Deathblow`편에서는 ‘刑沖會合論’의 보다 확장된 이론체계를 선보이는

동시에, 이를 다시 압축시켜 추명(推命) 실전에서 팔자술의 묘용(妙用)을 살릴 수

있도록 한 핵심 사항을 정리해두고 있습니다.



※‘데쓰블로’를 수렴하게 되면 자신감 넘치게 검(劍)을 쓰십시오.

이 ‘이수’를 통하여 사주학(四柱學)을 학습한 이상, 독자들은 이미 기존

일류(一流) 술사(術士)들의 수준을 뛰어넘었습니다.


‘데쓰블로’를 아끼고 사랑해주십시오. 때론 고단하고 힘겨운 생의 여정에서

‘데쓰블로’는 한결같은 위안과 용기를 주는 벗으로 남을 것입니다.



※ 得失論


※ 先後論


※ 成敗論

 

 

 

 

 

四十二강. 득실론

● 得失論



‘득실론(得失論)’은 기존의 ‘이다, 아니다’를 분명하게 가르는

‘성패론(成敗論)’에서 보다 진전된 학습 단계라 할 수 있다.


실감나는 가장 중요한 기간이라면 ‘한해의 시기’로 구분된다.

따라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해의 성패(成敗) 상황만 분명하게 짚어내는

술수(術數)의 능력을 갖추게 되면 일류 술사로서의 자질을 능히 인정받게 된다.


‘적천수(滴天髓)써머리’가 다룬 영역의 주(主)가 바로 ‘성패론’이었다면,

이제 이 단계에서는 두 가지의 수확을 내야 한다.


첫째는 보다 정확한 성패를 조율하는 판단 능력이고,

둘째는 무엇을 얻고, 잃게 되는지를 예측, 판독하는 추명기(推命技)를 배양해야 한다.


전자의 성패론에서는 형충(刑沖)이 야기하는 암합(暗合)의 작용력에 의해

성패의 희기(喜忌)가 반전되는 상황,


그리고 `Warming-up` 단계에서 다룬 ‘뜻하지 않은 함정’,

마지막으로 명식 원국의 전체 글자가 기반(羈絆)되거나, 흉(凶)한 와중에

길(吉)함을 찾아내는 묘리(妙理)의 스킬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야 한다.


후자의 ‘득실론’이 방법 면에서 보다 세밀하고 집중된 시야로 궁구(窮究)해야

할 듯하지만, 실제로는 득실(得失)을 따지는 행운법(行運法)의 스킬이 보다 굵직하고,

힘이 넘친다.


먼저 대운(大運)으로 10년 간 명식(命式)이 처할 환경을 읽게 되면,

한해 상황의 풍요와 빈곤을 신속하게 판단해내는 식이다.

그리고 한해를 결산하는 갈무리 단계에 이르기 이전, 매 시기마다 어떤 상황이

도래할지를 月, 日, 時의 구간에 이르기까지 연산해서 예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Deathblow` 편에서는 앞서의 ‘야부리 형충회합 특강’에서 다루지 않은

지장간(支藏干) 상호간의 암합(暗合)도 구체적으로 다루게 되므로 한층 정확한

득실의 판별을 할 수 있게 된다.


주지하다시피 이 합(合)의 작용에는 ‘우선순위’라는 선후(先後)의 개념이 존재하여

결국 `Deathblow`가 다루는 세 가지의 줄기인 ‘得失’, ‘先後’, ‘成敗’는 모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각 필드에서 이루어지는 설명은 과정상에서 반복되는

학습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자금부터 습득하는 ‘팔자술(八字述)의 실전 기법’

은 정확한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각 테마 별로 갈무리되는 지식체계를 제대로 써머리하여야 한다. 이렇게 되면

언제 어느 상황에서도 전율이 이는 팔자술의 묘용(妙用)을 한껏 과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먼저 득실론(得失論)은 크게 得과 失로 구분된다.


得에는 ‘지닌 것’과 ‘구한 것’ 두 가지의 개념으로 이해하라.

글자 본래의 의미상으로는 후자의 ‘구하는 것’에 국한되지만, 시제(時制)에

구속되지 않고 ‘팔자술’이 중시하는 ‘타이밍’의 변화성에 주목한다면,

위와 같은 두 가지 개념으로 고정시켜 걸릴 것이 없다.


좀 더 편리하게 득(得)은 일간(日干)을 제외한 나머지 일곱 글자인 ‘내 것’으로

생각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엄격한 잣대로 구분한다면 ‘보이지 않는 글자’의

영향력까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한편 失은 ‘지닌 것을 잃는 것’과 ‘구한 것을 잃는 것’

이렇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구분해보면, 아래와 같다.




1. 得


※ 지닌 것


‘명식의 일곱 글자’, ‘허자’


※ 구한 것


`hooking` ‘運의 干支’, ‘合이 풀린 地支’, ‘fade in 된 장간의 글자’


2. 失


※ 지닌 것을 잃는 것


‘合된 글자’


※ 구한 것을 잃는 것


‘놓친 고기’, ‘fade out 된 장간의 글자’



더하여 ‘득실교차(得失交差)’의 국면이 있습니다.


3. 得失交差


※ 잃고 얻는 것


‘會合으로 인해 局이 형성되면, 合으로 묶이는 글자는 失,

  局五行과 局이 生하는 五行은 得’



이 중 가장 실감나는 바는 fade in의 일종인 ‘hooking’ 이다.


‘데쓰블로’는 먼저 hooking의 상황부터 짚어 내면서 시작한다.


일간의 hooking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먼저 ‘合의 우선순위’를 알아야 한다.

(‘先後論’ 참조)


결론적으로 ‘일간의 合(hooking)은 가장 최후에 이뤄진다’ 는 점이 중요하다.


※ 원래 ‘日干의 合’이란 ‘他干의 合’처럼 완전한 合을 이루지 않는다.

그러나 合의 유인력이 상쇄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강하게 끌어들이는

힘은 작용하게 된다. 가령 壬水 일간이라면 丁火運이 丙火運보다 財의 유인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日干인 자신이 획득하는 것 중 hooking은 ‘運의 干支’,

‘合이 풀린 地支’, ‘fade in 된 장간의 글자’ 들에 의해 취하는 상황보다

실감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壬일간이 丁火運을 만날 때, 어김없이 財의 유입이 발생할 것인가.

아니다. 財의 유입은 그다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바로 ‘合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취(取)’와 ‘견(見)’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식해 둘

필요가 있다. 取는 곧 得의 의미고, 見은 ‘물상(物象)의 나들이’ 현상 전체를

수렴하는 용어로 그것이 곧 取를 의미하지 않는다.


즉 見이란 ‘글자의 출현’으로 이것은 運의 干支에서, 合이 풀리면서,

刑沖으로 개고(開庫)되면서 체감하는 현상 모두를 말한다. 한마디로 見이란

‘일단 맛은 본다’는 뜻이다.


따라서 壬이 丁을 보면 일단 財를 見한다. 得失은 그 이후에 판가름 날 문제다.

그리고 그것은 ‘合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갈라지게 된다.


가령, - 명식의 일주(日柱)이외의 다른 글자가 작용하는 상황 일체를 무시하고

- 壬申일주가 丁巳運을 만났다면, 얼핏 丁火를 내가 취하는 것 같다가(見),

결국은 巳申刑으로 개고된 申中 壬水가 그것을 가져가 ‘구한 것을 잃는 것(失)’이다.


또한 壬戌 일주가 丙辰運을 만났다면, 丙火는 ‘運의 干’으로 ‘구한 것’의 得이

될 법하지만, 개고된 戌中 辛金으로 인해 丙火를 잃으니

이 역시 ‘구한 것을 잃는 것’의 失이 된다.


위와 같이 일간의 후킹(hooking) 현상은 ‘운간(運干)의 명식 他干과의 合’인

明合과 형충(刑沖)으로 개고된 지장간과 他干이 먼저 합하는 (明)暗合의 단계보다

후순위로 처지므로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일간의 合은 가장 늦게 이루어지므로,

‘지장간끼리의 暗合보다 순위에서 처진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가령, - 명식의 일주(日柱)이외의 다른 글자가 작용하는 상황 일체를 무시하고

 - 壬子 일주가 戊午運을 만나면 子午沖으로 개고된 午中 丁火를 수월하게 hooking

할 것 같지만 이 丁火는 子中 壬水와 먼저 合한다.


따라서 남명(男命)에서 이 해에 만난 이성과는 이별을 피할 도리가 없다.

또한 午中 丙火는 fade out 되므로 이성으로 인한 기쁨보다는 색난(色難)의

암시가 더 강하다.


다음으로 명식의 合된 글자를 풀어주는 運을 살펴 그것을 언급한다.

‘구한 것’의 得 범주에 속하는 이러한 현상은 별반 힘을 쓰지 않고 수중에

넣는다는 암시가 강하다.


※ 그러므로 명식의 재성 지지가 合되어 있으면 이것을 푸는 沖이나,

   合運에 財의 유입이 있다.


사주가 動하지 않는 시점에서는, 대체로 運의 干支 모두를 별 탈 없이

유입하게 되므로 ‘구한 것’의 得으로 간주되기 쉽다.


한편 ‘잃는 것’ 또한 실감나지 않을 수 없다.


干合運이나 支合運으로 명식의 글자가 묶이게 되는 시점에는 분명한

‘물상의 나들이’가 있으므로 그것을 짚어내야만 한다.


특히 財의 글자를 합거(合去)하는 경우에는 체감력이 높다. 만약 그것이 지지나

천간에 하나로만 존재한다면 부정적인 결과는 면키 어렵다.


그리고 ‘놓친 고기’의 현상이 나타나면 일반적인 fade out 보다 데미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물상의 나들이’를 잘 설명할 수 있게 되면

크게 실력을 인정받게 된다.


※ 이때는 개고된 장간보다 천간의 글자에 포인트를 두고 통변하는 게

더 설득력이 있다.



得失을 가려내는 여러 가지 요소 중에 다음의 4가지 사항을 중점으로 통변(通辯)하게

되면 순식간에 피부로 체감될 현상들을 판단하고 예지할 수 있을 것이다.




1. 일간의 hooking - 得

2. 合運 - 失

3. 지지의 合을 해소하는 運 - 得

4. 놓친 고기 - 失



이상의 順으로 상황을 나열해가면, 상대방의 동감을 구해내기가 전혀 어렵지

않을 것이다.


刑沖으로 인한 개고의 국면에서는 fade in 과 fade out 의 다소(多少)비교를 가려

풍요와 빈곤의 환경을 설정하면 무난하다.


다만 이때 묘고(墓庫)와 백호(白虎)지의 刑沖이라면, 일간이 해당 지지에

통근할 때 치명타를 입기 쉬우므로 이 점은 간과해선 안 될 대목이다.



練習-1


[坤]


庚 丁 庚 辛

子 丑 寅 亥


차명(此命)의 地支가 六合으로 공히 묶여 있는 점에 주목해서, 사주가 動하는

시점과 動하지 않는 시점을 구분하면서, 매 년의 得失 상황을 간략하게 귀납적으로

살펴보자. 


※ 丁丑年, ‘동주입묘’지에 해당하여 원인 모르게 몸이 아팠다.

※ 戊寅年, 六合으로 寅亥合을 풀어 결혼한다.

※ 己卯年, 動하지 않는 시점으로 무난한 결혼 생활을 유지한다.

※ 庚辰年, 動하지 않는 시점으로 순조로운 財의 유입 양상이다.

※ 辛巳年, 巳亥沖과 寅巳刑은 신상의 급격한 변동사를 암시한다.

※ 驛馬의 沖으로 이사하였다.

※ 巳중 丙은 명식의 他干, 辛을 合去하여 財物의 산실이 있었다.

※ fade in 된 甲은 학습의지를 고취하여 새로운 것을 배우는 계기가 있었다.


※ 壬午年, 子午沖과 丑午 鬼門이 겹치면서 일상 탈피의 성향이 강해진다.

※ 沖으로 인해 동주입묘지인 丑이 온전해지면서 몸이 아팠다.

※ 午중 丙은 명식의 他干, 辛을 合去하여 財物의 산실이 있었다.

※ 子중의 壬은 午중 丁과 暗合하여 官을 見하되, 取하지는 못했다.

※ fade in 된 癸는 ‘새로운 일’을 하나 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 일간 丁의 合은 최후에 이루어지므로, 運干 壬은 개고된 午중의 丁火와 合하게

   되므로 이 해는 官을 見하되 取할 수는 없는 hooking 불가의 시점으로 규정된다.


※ 癸未年, 丑未沖과 寅未 鬼門이 겹치면서 일상 탈피의 성향은 여전하다.

※동주입묘지(白虎)를 沖하여 수술 등 몸이 자주 아팠다.

※ 未중 乙은 명식의 他干, 庚을 合去하여 財物의 산실이 있었다.

※子丑合을 풀어 子水 官을 취해 직업을 가지게 되었다.

※ fade out 된 癸水와 己土는 각 육친궁과 別하는 계기가 되었다.


※ 甲申年, 寅申沖으로 寅亥合을 해소하면 亥의 官貴를 得하게 된다.

※ 申중의 壬을 hooking 하여 官을 확고하게 得한다.

※ 寅중 丙은 명식의 他干, 辛을 合去하여 財物의 산실이 있다.

 

 

四十三강. 선후론

● 先後論



先後의 개념에서 先이 지니는 ‘우선권’은 3가지의 속성, 법칙으로 구분된다.


1. 강약(强弱)의 법칙 - 강한 세력이 우선한다.

2. 체용(體用)의 법칙 - 체(靜物)가 용(動物)에 우선한다.

3. 시제(時制)의 법칙 - 앞서 발생한 사항이 우선한다.


후술(後述)하겠지만, 위 세 가지 법칙은 각기 따로 적용되지 않으므로 

‘법칙의 우선순위’가 또한 존재하며 이 중 ‘강약의 법칙’이 가장 우선한다.


강약의 법칙은 지합(支合)의 우선순위에서 方合, 三合, 六合, 半合의 順으로

작용하며, 간합(干合)은 明合, 明暗合, 暗合의 順으로 작용한다.


※‘천간의 유인력’에 의해 半合이 六合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될 경우가 있으나,

그것이 곧 三合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이 점은 運에서 ‘半合이 半合을 푸는

작용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데서 차이가 난다.


체용의 법칙은 사주학 전체를 아우르는 ‘키-워드’라 할 수 있는 데,

여기에서는 ‘(明)暗合에서의 간합(干合) 우선순위’와 관련하여 運의 희기(喜忌)를

판별하는 행운법(行運法)의 주요 판단 근거가 된다. 동물(動物)에 비해

정물(靜物)을 신속히 합하는 특성이 고려된 이 대목은 아래와 같은 순서에 의해

合의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1. 명식의 他干 - 明暗合

2. 대운의 運干 - 明暗合

3. 세운의 運干 - 明暗合

4. 支藏干의 合 - 暗合

5. 日干의 合


※ 개고된 지장간과 他干의 明暗合은 크게 暗合으로 분류되어 통칭된다.


※‘日干의 合’은 실제로 완전한 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合의 우선순위에서 가장 뒤늦게 성립된다.

그러므로 ‘일간의 合’에는 ‘강약의 법칙’이나 ‘시제의 법칙’ 수순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또한 ‘체용의 법칙’이 원론적으로 ‘지지의 작용’에는 별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황과도 유관하다.


시제의 법칙은 ‘발생 시간의 선후’라는 ‘시간성’의 논리 체계로 구성되어

있지만, ‘강약의 법칙’을 초월할 수 없다.

하부 단계에서는 ‘地支의 우선 작용력’을 다루고, 상부에서는 ‘天干의 우선

작용력’을 다루게 되는 데 체용(體用)을 구분하여 운용하는 방식이 다르다.


엄격히 따져 하부 단계에서는 ‘合이 合을 푼다’는 원칙이 적용되므로

‘시제의 법칙’이 무색해지며, 상부 단계에서는 合이 合을 풀지 못하므로

‘시제의 법칙’에 충실하다.


1. 시제의 법칙 (하부)


명식에 이미 六合이 성립된 경우라 해도, 運에서 다시 이를 六合하게 되면

合의 결속력이 무너지므로, 발생 시간을 중시하는 시제의 법칙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명식에서 三合이 구성된 경우에는 運에서 六合運이 이를 풀지 못하므로

地支의 운용법에서 ‘강약의 법칙’은 최우선으로 고려 대상이 된다.


※ 운지(運支)의 작용력은 대운(大運)의 支, 年支, 月支, 日支, 時支의 順의

순서를 밟아 진행된다.


2. 시제의 법칙 (상부)


일단 명식에서 干合이 성립되어 있으면, 運에서 다시 이를 合할 수 없으므로

地支와 같이 투합(鬪合)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대운의 천간과

명식의 타간이 먼저 合을 이루었다면 세운의 천간이 이 合을 풀 수 없는 것이다.


※ 따라서 적천수의 ‘화신환유기반설(化神環有機般設)’은 채용의 여지가 없다.



練習-2


[乾]


丙 庚 丙 甲

子 戌 寅 辰


寅月, 庚日生이라. 丙甲의 투(透)함은 이미 부귀(富貴)를 보증 받은 셈,

상격(上格)명이다.


차명(此命)의 ‘辛未運 중 甲申年’의 상황을 추론하는 刑沖會合의 기법

일면을 살펴보자.


※ 命式의 他干 ‘丙’과 大運의 干 ‘辛’이 合한다.

※ 戌未刑으로, 戌중 辛이 他干의 남은 ‘丙`하나를 合하고,

※ 未중 ‘己’가 他干 甲을 合한다.


이로써 辛未 대운 기간 중의 환경은 명식 천간과 運干(丙)이 모두 합거(合去)

당하는 부정적 기간으로 설정되었다.

이 대목에서는 辛金의 희기(喜忌)를 논할 상황이 아니다.


※ 戌未刑으로, 乙은 hooking되고,

※ fade in 된 요소는 戌중의 戊土, 丁火 그리고 未중의 丁火로 귀결된다.


‘hooking’ 되는 乙木, 財와 fade in되는 丁火, 官은 이 기간 중 품격을

유지할 수 있는 건강과 재물, 지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표면적인 부귀(富貴)를 상징하는 甲과 丙이 모두 상쇄되었으므로

삶의 형태는 정중동(靜中動)의 상황으로 전개된다.


기간 중 甲申年은,


※ 甲의 運干은 명식이 그대로 取하는 요소로 財의 유입이 있다.


※ 이때 대운의 戌未刑에 의해, 개고된 未중 己土는 이미 명식의 他干

   甲과 暗合되어, 세운의 甲에는 하등 영향을 주지 못한다(시제의 법칙).

   만일 대운에서 개고된 장간 중 남은 己土가 있었다면 당 해의 甲 또한

   合去되어, 財를 見할 뿐, 取하지는 못하게 된다.


※ 寅申沖이 쏟아내는 장간들은 명식 천간에 陰干이 없는 한,

   대개 fade out되므로 財官의 상실을 경험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 이때 개고된 寅중 丙火가 대운의 辛과 合할 수는 없다.

    이미 명식이 他干 辛과 合했기 때문이다(체용의 법칙).


※‘Warming-up`의 단계에서 익힌 挾, 卯의 財貴로 재정(財政) 환경의 두터움을

   인식하고, 官의 묘고(墓庫) 戌을 刑하는 癸未年 상황을 염두에 둔다면,

   보다 실제 상황에 부합되는 추론을 병행할 수 있다.

 

 

 

 

 

출처 카페 > 부동산과 금융의 열린 정보 / 금수강산
원본 http://cafe.naver.com/1472topman/16390

출처 : 역학살롱
글쓴이 : 우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