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스크랩] 자평진전 정단해부

장안봉(微山) 2013. 4. 19. 22:32

印綬喜其生身, 正偏同爲美格, 故財與印不分偏正, 同爲一格而論之, 印綬之格局亦不一, 有印而透官者, 正官不獨取其生印, 而卽可以爲用與用殺者不同, 故身旺印强, 不愁太過, 只要官星淸純, 如丙寅戊戌辛酉戊子, 張參政之命是也.

인수는 기쁘게도 일주를 생하니, 정인격이든 편인격이든 좋은 격이다. 고로 재성과 인성은 정편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격으로 논한다. 인수격이 한결같지 않아 인수격에 정관이 투출한 경우는 정관은 인수를 생할 뿐만아니라 용신이 될수 있으니 살을 용하는 것과는 다르다. 고로 신왕관왕하면 관성이 태과하여도 괜찮으나 다만 관성이 청하여야 한다.

가령, 아래의 장(張) 참정(參政)의 명조를 보자.

 

 

戊 辛 戊 丙

子 酉 戌 寅 장참정

 

乙甲癸壬辛庚己

巳辰卯寅丑子亥

 

[정단 註]

일주를 생하게 하는 인성은 정편 공히 좋은 것은 수긍이 가지만 일주를 상하게 하는 재성을 정편으로 구분하지 않은 것은 수긍할 수 없다.

상기명조를 보면 인수격이고 정관이 청하니 용신이 된다는 말이 적중한다. 재성은 희신으로

용신을 도운다.

정단지수로 조명하는 것은 당연하다. 지수로 설명하면 끼맞춘다고 한다. 지수를 모르는 사람의 말이니 일고의 가치도 없다.

토4.0 금5.3 수2.0 목1.1 화1.9이다. 금이 적정이상이니 금을 억제하여 균형을 잡아주는 것으로 화를 찾는다. 병화가 유근유기하여 용신이 되고 목화토금수로 주류무체하니 원국에서 청하고 희신이 불상재하여 귀하니 일생유복하게 살았다.

여타의 설명이 있으나 믿을 바가 못되니 함부로 취하지 말아야 한다.

.

정단 삼가 쓰다.

출처 : 正彖명리
글쓴이 : 正彖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