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재배(감)

[스크랩] 단감 주요 연구성과(단감연구소 최성태)

장안봉(微山) 2013. 2. 7. 17:38

단감 주요 연구성과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농업연구사

최 성 태


 

< 목    차 >

 

 

 

 

1. 경제성 높은 수분수 감 “파트너”육성

2. 단감 육성품종 ‘미감조생’, ‘자미시’의 농가 재배에서 특성

3. 단감 ‘단려’의 특성 및 재배상 유의점

4. 단감나무 고접갱신용 접수 저장법

5. 효과적인  감 화분 채취 방법

6. 단감 밀식과원의 유인노력 절감을 위한 굴렁쇠 유인 효과

7. ‘부유’ 단감의 시기별 과실횡경 조사에 의한 수확과실 크기 예측

8. 고품질 ‘부유’ 단감 과원의 수세진단과 과실비대 기준

9. 칼륨 시비시기와 공급원이 단감 품질에 미치는 영향

10. 단감 탄저병균의 분생포자 채집 및 포자량 계수방법

11. 단감 둥근무늬낙엽병균의 자낭포자 채집 및 비산량 계수방법

12. 단감 둥근무늬낙엽병의 최소 방제회수 설정

13. 단감과원 초생관리에 의한 응애 발생경감

14. 단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에 우수한 방제약제

15. 단감에서 노린재류 피해과율 및 요방제수준

16. 감나무 해충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피해양상과 발생소장

17. 고품질 안전단감 생산 방제력 개선

18. 기타 영농활용 연구결과

 

1. 경제성 높은 수분수 감 “파트너”육성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조광식, 061-330-1590)


 가. 육성내력

   ○ 교배조합 : 서촌조생×조홍시

   ○ 교배년도 : 2000년

   ○ 2007년 : 00-16-121계통을 1차 선발하여 수분수 특성 정밀검토

   ○ 2009년 : 년차간 변이가 적고 특성이 우수하여 수분수 품종으로 최종 선발

   ○ 육성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육 성 자 : 조광식, 한점화, 강삼석, 김윤경, 황해성, 정상복, 손동수

 나. 주요특성 (’07~’09 영암 평균)

   ○ 수꽃 개화기가 부유 품종보다 1-2일 빠름

   ○ 수꽃 착생량이 많고, 100화당 화분량이  380mg 정도로 많은 편임

   ○ 과중은 224g, 과형은 장원형으로  연시와 곶감용으로 이용 가능함

   ○ 용도 : 단감 수분수

<“파트너” 수꽃 착생 및 과실 모습>


 다. 고유특성(2007~2009, 영암)

구  분

수세

수자

만개기

(월 일)

수꽃

착생량

화분량

(100화/mg)

파트너

반개장

5.29

매우 많음

380

선사환

중강

반개장

5.30

많음

680

   ○ 수세는 중간 정도이고 수자는 반개장성임

   ○ 만개기는 선사환보다 1일 정도 빠름

   ○ 화분량은 100화당 380mg으로 많은 편이고 화분발아율이 높음

 라. 과실 특성 (2007~2009, 영암)

구 분

숙기

(월 일)

과형

과피색

과중

(g)

당도

(°Bx)

과정부

열과

품질

파트너

10중하

장원형

등황

224

18.8

선사환

10상중

원  형

등홍

121

16.3

   ○ 숙기는 10월 20일경, 중생종, 장원형의 오렌지색 과피 계통

   ○ 과중 224g의 중과종, 당도 18.8°Bx, 불완전떫은감


2. 단감 육성품종 ‘미감조생’, ‘자미시’의 농가 재배에서 특성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김성철, 055-211-5690)


 가. 미감조생

   ○ 수확기는 9월 23일로 기존의 조생종 품종 ‘서촌조생’과 유사하다.

   ○ 과색이 칼라차트치 4.9로 높은 기온에서도 과실의 착색이 양호하다.

   ○ 과중은 171g으로(서촌조생 155g) 조생으로서는 보통의 크기이다.

   ○ 당도는 15.5°Brix로 양호한 편이고 경도는 28.8N로 유통중 쉽게 연화되는 문제는 없다.

   ○ 꼭지들림과, 줄무늬과 발생도 현저하게 적다.

 나. 자미시

   ○ 수확기는 9월 29일로 기존의 조생종 품종 ‘서촌조생’보다 약간 늦다.

   ○ 과색이 칼라차트치 4.5로 과색이 붉게 되지 않는다.

   ○ 과중은 146g으로(서촌조생 155g) 조생종으로서는 보통의 크기이나 재배환경, 재배방법에 따라 과실의 크기는 차이가 크다.

   ○ 당도는 15.9°Brix로 양호한 편이고 경도는 31.7N로 유통중 쉽게 연화되는 문제는 없다.

   ○ 꼭지들림과, 줄무늬과가 약간 발생한다.

 다. 유의사항

   ○ 기존 단감 과원을 이용하여 ‘미감조생’, ‘자미시’를 고접갱신하면 조기성원화가 가능하다.

   ○ ‘미감조생’, ‘자미시’는 불완전단감이 때문에 과실내에 종자가 충분히 들어가지 않으면 떫은감이 되므로 충분한 수분수의 식재 및 꿀벌의 방사가 필수적이다.


3. 단감 ‘단려’의 특성 및 재배상 유의점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박여옥, 055-211-5690)


 가. 주요 특성

   ○ 단려’는 수고가 낮고 단풍이 우아한 완전단감 품종으로 수확기는 평균 10월 23일로 단감 주품종 ‘부유’보다 9~10일 정도 빠르고 과색과 당도는 각각 5.6(칼라차트), 15.5 °Brix 정도로 ‘부유’(칼라차트 5.0, 당도 15.7 °Brix)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 경도는 ‘부유’에 비해 낮아 과육이 연하기 때문에 물러지기 쉽고, 오손과 발생이 비교적 많으므로 가급적 유통기간을 짧게 하고, 수관 내부에 통풍, 채광이 잘되도록 하여 오손과 발생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나. 재배상 유의점

   ○ 꼭지들림과 발생이 많으므로 균형시비, 적뢰・적과, 주기적인 관수로 발생을 줄이는 것이 좋다.

   ○ 단풍 엽 채취를 목적으로 할 경우는 질소질 비료를 적게 시용하여 단풍이 아름답고 빨리 들도록 한다.

   ○ 추운 지방은 단풍이 들기 전에 서리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엽을 음식의 재료 또는 음식의 장식용으로 이용할 경우는 가급적 농약살포를 적게 한다.


<발육상 및 과실특성>

품    종

개화기

(월. 일)

수확기

(월. 일)

단풍시기

과색

과중

(g)

당도

(°Brix)

경도

(N)

오손과율

(%)

단    려

5. 28

10. 23

10월 하순

5.6

245.5

15.5

17.2

15

부    유

5. 25

11.  2

11월 중순

5.0

227.6

15.7

27.2

0

  * 일본 과수시험장 칼라차트, 과형지수 : 횡경/종경 × 100

   * 조사지역 : 2006 ~ 2009, 경남 김해


4. 단감나무 고접갱신용 접수 저장법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김성철, 055-211-5690)


 가. 접수 채취시기는 접목 당해연도의 2월 중순이지만 새로운 저장법에 의한 접수채취시기는 낙엽후부터 이듬해 발아전까지 가능하다.

 나. 접수는 길이가 30~40cm 되는 발육지를 이용하고 가급적 충실한 가지를 채취하는 것이 좋다.

 다. 채취한 접수를 눈이 1~2개 붙은 4~5cm 길이로 자른 다음, 왁스가 포함된 파라핀을 녹여 접수전체를 매끄럽게 코팅한다.

 라. 코팅된 접수를 5개들이 단감저장용 비닐 포트(다른 비닐용기도 가능) 등에 넣고 얼지 않는 한 낮은 온도의 냉장고에 보관한다.

 마. 대부분 고접에는 장기간 소요되므로 쓸 만큼만 꺼내서 사용하고 남으면 즉시 냉장고 넣어 저장한다.


<접수 저장방법별 고접 활착률>

접수저장방법

연도

접목수

활착수

활착률(%)

저장고저장

’07

36

35

97

’09

18

16

89

평균

27

26

93

코팅후저장고저장

’07

36

36

100

’09

18

16

89

평균

27

26

95

토중저장

’07

36

1

3

’09

18

18

100

평균

27

10

52

고접일/조사일 : 2007년 4월 6일/6월 28일, 2009년 4월 14일/7월 31일


5. 효과적인 감 화분 채취 방법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조광식, 061-330-1590)


 가. 개발배경 : 최근 개화기의 이상기상, 농업환경 오염에 의한 방화곤충 감소 및 부유단일품종 편중 재식에 의한 수분수 부족으로 결실불량 문제 심각함

 나. 감 꽃가루 채취 방법

   ○ 화판 파열 (약채취기로 약을 5초간 처리후 24시간 개약시킴)

   ○ 개약 후 화판 파쇄(믹서기로 5초간 작동)

   ○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아세톤을 휘발시킨 후 꽃가루 수거

   ○ 감 꽃가루 채취 순서

     꽃채취 → 화판 파열 (약채취기 5초)→ 개약 (개약기 24시간) →

     화판 파쇄(믹서기5초) → 아세톤 추출 → 아세톤 휘발 → 화분 수거

 다. 주의사항 : 약채취기에서 5초 이상 경과할 경우 꽃가루 손실량이

     많으므로 5초 이상 경과하지 않도록 주의

구분

화판파열 방법

무처리

화판파열

관행

화뢰처리

개약시간

24

24

24

화분량

360

495

600

소요시간

(10a당)

10

10

375

 <효과적인 감 인공수분 꽃가루 채취 방법>


6. 단감 밀식과원의 유인노력 절감을 위한 굴렁쇠 유인 효과

(전남농업기술원 과수연구소 김병삼, 061-533-9816)


 가. 연구배경 : 단감과원 밀식재배시 주지가 직립하여 저수고 수형구성이 어려우며 도장지 발생이 많아 관리노력이 과다 소요됨

 나. 굴렁쇠 주지유인 방법

 다. 주지유인 효과

처리내용

전정량

(kg/)

유인시간

(시간/10a)

수관하

조도(Lux)

과중

(g/)

당도

(°Bx)

착색

(a)

착과량

(/)

수량

(kg/10a)

굴렁쇠

유인

12.8

12

6,270

218

18.5

17.5

248

2,703

끈 유인

13.7

21

6,030

209 

17.8

15.9

230

2,404

무 처 리

16.8

-

4,580

208

17.3

12.4

194

2,018

 

 

7. ‘부유’ 단감의 시기별 과실횡경 조사에 의한 수확과실 크기 예측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최성태, 055-343-4233)


 가. 수출 및 내수 시장의 다양한 요구 조건에 맞는 크기의 단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기별 과실크기 점검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기준은 아래 표와 같다.

 나. 시기별 횡경이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추가 적과, 양분 및 수분 관리 등으로 비대를 촉진해야 한다.

 다. 또한 과실비대기에 무작위로 과실횡경(장경)을 측정하여 수확과실의 크기별 비율을 예측할 수 있어, 규격에 맞는 수출용 물량과 국내에 판매할 수 있는 양을 가늠할 수 있다.

 라. 수확과실의 크기를 빨리 예측하면 이에 맞게 조기에 출하계획을 수립하여 판매망을 확보하고 포장 재료를 구입하는데 유리하다.


<수확과실 크기와 시기별 과실횡경>

수확과실크   기

시기(월.일)별 과실횡경(mm)

7.1

7.15

7.29

8.12

8.26

9.9

9.23

10.7

10.21

11.3

180g

32.5

44.2

53.5

57.7

61.4

62.2

64.8

68.4

72.2

76.2

190g

32.7

44.9

54.8

59.3

62.2

64.3

66.6

71.1

75.0

78.6

200g

32.8

45.7

55.4

60.9

62.8

65.2

67.2

72.0

76.0

79.5

210g

33.8

46.8

56.1

62.1

63.7

66.7

68.3

72.8

77.7

81.2

220g

34.6

47.3

56.6

62.7

64.4

67.5

68.8

73.7

78.3

82.1

230g

33.9

47.8

57.1

63.4

65.5

68.0

70.4

74.6

80.2

83.8

240g

35.8

48.1

57.9

64.0

66.5

68.6

71.4

75.5

80.8

84.3

250g

36.0

48.3

58.6

65.1

67.3

69.1

72.5

76.3

81.9

85.8

  * 토양 및 시비 관리가 양호한 과원 대상임

  * 과실횡경은 장경을 측정


8. 고품질 ‘부유’ 단감 과원의 수세진단과 과실비대 기준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최성태, 055-343-4233)


 가. 고품질 ‘부유’ 생산 과원을 대상으로 각도가 수직으로부터 45~90°인 결과모지의 선단신초를 6월 이후 조사한 결과 신초 중간 부위 잎의 엽장은 15.4±1.6cm, 엽폭은 9.5±0.9cm, 신초장은 33±4cm이었다.

 나. 따라서 결과모지 선단신초를 대상으로 잎과 신초 생장을 측정하여(주당 20개 정도) 평균값이 기준치보다 작거나 큰 나무는 수세가 양호해지도록 비배관리 및 동계전정의 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다. 신초 신장기에 과원의 신초장과 아래 그래프의 기준치를 비교하면 시기별 적정 신초 생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선단신초 생장을 시기별로 보면 5월 20일경 90% 정도의 신초가 신장을 정지하였고, 5월 30일까지는 대부분 정지하였다. 정지시기가 빠를수록 나무세력이 약해지고, 늦을수록 세력이 강해지기 쉬우므로 결실 및 시비 관리 등을 통하여 수세조절에 유의해야 한다.

<시기별 신초생장>


 라. 아래의 그래프는 고품질과 생산 과원의 시기별 과실 횡경(장경)을 조사한 것으로 8월 상순까지 과실비대 제1기, 8월 중순~9월 상순은 제2기, 9월 중순 이후는 제3기를 나타낸다. 250g 정도의 과실을 생산코자 할 때, 각 시기의 횡경 기준치와 비교하여 과실비대의 적정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데, 기준치보다 작으면 신속히 적과, 양분․수분 관리 등의 재배적인 조치를 해야 한다.

 

<‘부유’의 시기별 과실비대(수확과중 250g)>


9. 칼륨 시비시기와 공급원이 단감 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최성태, 055-343-4233)


 가. 칼륨 시비가 여름에 집중되면 과실이 큰 반면, 가을에 집중되면 크기는 감소하고 색도와 당도가 높아지는 경향이다. 이를 감안하여 칼륨 추비(웃거름)는 여름시비량:가을시비량을 7:3 비율로 나누어 시용하는 것이 무난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 칼륨 공급원으로서 염화칼륨과 황산칼륨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으므로 추비로 염화칼륨을 시용해도 무방하다.


<칼륨 시비시기에 따른 과실품질>

시비시기

과중

(g)

색도

(Hunter a)

경도

(N)

당도

(°Bx)

7월

8월

9월

10월

219

211

198

199

28.1

28.2

27.2

29.3

22.2

22.0

23.1

21.3

16.1

15.9

16.4

17.0


<칼륨 공급원에 따른 과실품질>

처리내용

과중

(g)

색도

(Hunter a)

경도

(N)

당도

(°Bx)

공급원

시비량

KCl

무시용

소량

다량

195

226

226

25.7

26.8

27.8

25.1

22.8

21.8

15.8

15.9

16.1

K2SO4

무시용

소량

다량

195

207

221

25.7

25.9

26.9

25.1

23.6

22.5

15.8

16.0

15.7


<칼륨 공급원에 따른 토양 화학성>

처리내용

pH

(1:5)

Total-N

(%)

유효인산

(mg/kg)

치환성 양이온(cmol+/kg)

공급원

시비량

(K2O, g)

K

Ca

Mg

KCl

0

17

34

7.05

6.95

7.10

0.23

0.17

0.16

244

191

192

0.1

0.7

2.0

13.7

10.5

9.0

2.8

1.9

1.8

K2SO4

0

17

34

7.05

6.90

7.10

0.23

0.19

0.16

244

299

221

0.1

0.8

1.5

13.7

10.4

8.9

2.8

2.1

1.5


10. 단감 탄저병균의 분생포자 채집 및 포자량 계수방법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권진혁, 055-771-6423)


 가. 단감 탄저병균의 분생포자 전염원 량 채집방법

어린 가지 병반에서 강우전 병반

어린가지 전체에 발생한 병반

강우에 의한 트랩속의 전염원

병원균 

 나. 최초 신초에 발생한 단감 탄저병의 분생포자 채집량

조사시기

분생포자 채집량

6월 22일

8~13×104 분생포자/㎖


 다. 페트병을 이용하여 만드는 법

  ○ 조사시기는 6월 중․하순 최초 신초에 발생한 병반에서 형성된 분생포자를 조사한다.

  ○ 500㎖ 둥근 플라스틱 페트병 아랫부분을 둥글게 자른다.

  ○ 페트병 5㎝ 윗부분까지 일직선으로 자르고 조사용 가지 크기에 맞추어 작은 둥근 구멍을 만들고 끼워 넣는다.

  ○ 가지에 부착시킨 다음 페트병 구멍부위를 파라필림으로 잘 막는다.

  ○ 플라스틱 페트병이 바람에 움직이지 않게 두껑쪽 부분을 끈으로 잘 묶는다. 

  ○ 강우시 페트병 안에 모인 전염원을 5㎖ 피펫 이용하여 50㎖ 튜브에 채집후 광학현미경 하에서 헤모사이트메트를 이용하여 분생포자 총량을 조사한다.

  ○ 단감 재배를 많이 하는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현지 농가 포장에 손쉽게 분생포자 전염원 량을 조사할 수 있다.


11. 단감 둥근무늬낙엽병균의 자낭포자 채집 및 비산량 계수방법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권진혁, 055-771-6423)


 가. 자낭포자 조사용 트랩 만드는 법

  ○ 못, 망치, 집게, 슬라이드글라스, 사각나무 길이 60m, 폭 2.5㎝ 크기로 준비한다.

  ○ 3㎝ 크기의 못을 머리부분 자르고 1㎝ 부위에 기억 모양으로 만들어 상하좌우 두개씩 설치하여 슬라이드글라스를 끼워 넣는다.

  ○ 전염원 트랩을 100×100×20㎝ 크기로 만들고 병든 잎을 채집하여 과수원내 월동시킨 후 이듬해 봄에 트랩 3개를 설치하여 자낭포자 비산량을 채집한다.

  ○ 글리세린제리를 바른 슬라이드 글라스를 회수하여 멸균수 한방울 놓고 커버글라스(18×18mm) 덮은후 광학현미경 200배 하에서 전체 수를 조사한다.


 나. 자낭포자 채집용 트랩설치

전염원 주위 트랩설치

글리세린 젤리를 바른 슬라이드 글라스

<단감 둥근무늬낙엽병 자낭포자 채집량(개)>


12. 단감 둥근무늬낙엽병의 최소 방제회수 설정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권진혁, 055-771-6423)


 가. 포장관리가 비교적 잘된 과원에서 단감 둥근무늬낙엽병을 최소 2회 약제 살포로 방제 가능

 나. 단감 둥근무늬낙엽병의 약제 살포후 방제효과(%)

처리구

2008년

 

2009년

진주시 정촌

 

단감연구소

 

단감연구소

발병도

방제가

 

발병도

방제가

 

발병도

방제가

2회 

6.7

90.0

 

1.7

96.0

 

2.6

94.5

3회

1.4

97.9

 

0.7

98.4

 

1.2

97.5

4회

0.7

99.0

 

0.0

100

 

0.0

100

관행구

0.0

100

 

0.0

100

 

0.0

100

무처리

67.2

-

 

65.9

-

 

47.2

-

※ 시험년도 : 2008, 2009년 평균 성적

※ 조사시기 : 2008. 10. 28-29, 2009. 10. 25.

※ 약제살포 : 기상조건에 따라 자낭포자 최대비산시기인 6월에 2회 약제살포

살균제 : 보가드 입상수화제, 에이플 입상수화제, 아미스타탑 액상수화제

   살충제 : 똑소리 수용성입제, 아타라 입상수화제


13. 단감과원 초생관리에 의한 응애 발생경감

(경남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윤영황, 055-343-4233)


 가. 감나무 과수원에서 응애발생 경감을 위한 재배방법으로 초생재배(무예취, 부분예취, 전면예취)와 비초생재배(피복재배)를 비교한 즉 감나무 잎의 응애 및 잎응애 발생수는 피복재배가 초생재배보다 현저히 많았다.

 나. 수관하부의 초생재배가 감나무 잎의 응애, 특히 잎응애류의 밀도를 경감시키므로, 응애발생이 많은 과원은 청경재배 및 제초제 전면 살포를 피해야 한다.


<처리별 평균 응애 발생량(5월 상순~11월 상순)>

(마리/20엽)

구분

처리명

잎응애

기타 응애

감나무

무 예 취

 0.3

 8.2

 8.5

 

부분예취

 0.5

 7.4

 7.9

 

전면예취

 5.2

 9.7

14.9

 

피복재배

21.0

17.5

38.5


14. 단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에 우수한 방제약제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정부근, 055-771-6424)


 가. 식나무깍지벌레는 단감의 줄기, 잎, 과실에 발생하여 직접 가해하는 중요 해충이다.

 나. 단감에 포괄적으로 적용 가능한 깍지벌레류나 주머니깍지벌레 방제용 살충제 중 식나무깍지벌레에 대해 뷰프로페진․디노테퓨란수화제가 90% 이상의 우수한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15. 단감에서 노린재류 피해과율 및 요방제수준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이흥수, 055-771-6426)


 가. 단감에 피해를 일으키는 노린재류로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풀색노린재의 피해가 큼

 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6월부터 발생하기는 하지만 결과모지당 10마리 이상의 높은 밀도를 제외하고는 7월, 8월까지 피해가 보이지 않고 9월,10월중 발생에서 피해가 보임. 피해증상으로 노린재 식흔과는 보이나 낙과증상은 없음

 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피해과율이 9월중 3마리에서 3.5%, 10월중 1마리에서 3.4%로 9월 이후에는 결과모지당 1마리 이상에서 방제가 필요함

 라.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는 접종시기 및 접종밀도에 따라 많은 피해가 보여지며 결과모지당 1마리의 밀도에서도 피해가 많았음. 피해증상으로 7월, 8월중 피해받은 과실의 대부분은 낙과를 하지만, 9월 이후 수확기의 근접시기에는 낙과하는 과일은 적어지고 식흔과가 많아짐

 마. 썩덩나무노린재 피해과율이 1마리에서 20% 이상으로 요방제밀도는 결과모지당 1마리 이상임

 바. 갈색날개노린재 피해과율이 1마리에서 16% 이상으로 요방제밀도는 결과모지당 1마리 이상임

 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포장에서 4월부터 발생하고 8월 이후 발생량이 많아져서 10월하순까지 발생이 꾸준함

 아.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은 8월~9월중 많음

 자. 썩덩나무노린재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주 발생시기인 8월상-중순에 다른 해충과 동시 방제토록 함 


16. 감나무 해충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피해양상과 발생소장

(경상대학교 박정규, 055-751-5440)

 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의 모습과 피해증상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4/17일 어린 잎에 붙어있는 약충, 약충 현미경 사진, 4/16일 신초 피해, 5/28일 꽃받침 피해, 5/28일 성엽 피해, 6/2일점착판에 붙은 성충


 나. 2008년 단감원에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의 발생소장


17. 고품질 안전단감 생산 방제력 개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조광식, 061-330-1590)


 가. 지구의 온난화에 의한 감의 주요 병해충의 발생 시기가 빨라지고 있어 적기 방제시기를 조절함

 나. 단감 주요 병해의 초기방제시기를 4월 중하순경 앞당김

 다. 기존 방제력에 미제시된 해충인 감관총채벌레, 장님노린재의 방제시기를 4월 중하순경으로 제시

 라. 감나무의 주요 해충으로 문제시 되지 않던 노린재, 잎말이나방의 주기적 방제시기 제시


<주요 병해충 기존 방제력과 개선 방제력 >

살포

시기

기존방제력

개선방제력

병 해

충 해

병 해

충 해

2/하

월동충해

월동충해

3/하

월동병해

월동충해

월동병해

월동충해

4/중하

탄저병

감관총채벌레, 장님노린재

4/하

탄저병

 

5/상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감관총채벌레, 깍지벌레

5/중

탄저병

잎말이나방

 

6/상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모무늬낙엽병

감관총채벌레, 깍지벌레, 감꼭지나방

6/상중

탄저병, 모무늬낙엽병

감꼭지나방

 

7/중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쐐기나방, 깍지벌레

탄저병, 흰가루병

깍지벌레

8/상

탄저병, 흰가루병

깍지벌레, 감꼭지나방

8/중

탄저병

감꼭지나방

탄저병, 흰가루

감꼭지나방, 노린재

9/상

탄저병, 흰가루

잎말이나방, 노린재

9/중

탄저병

쐐기나방

 

 

총 방제

회수

8회

9회


<개선 방제력 처리에 의한 병해충 발생 정도>

방제력

흰가루병

모무늬

낙엽병

탄저병

둥근무늬

낙엽병

장님노린재

응애

깍지벌레

07

1.1

0.0

0.9

0.0

2.8

0.0

0.0

08

5.0

0.0

0.0

0.0

-

0.0

2.0

09

0.5

0.5

0.7

0.0

3.0

0.0

0.0

평 균

0.7

0.17

0.53

0.0

2.9

0.0

0.67

무방제

91.5

91.5

40.0

91.5

21.2

36.0

16.9

  ※ 이상기상이 지속될 경우 가감 할 수 있음.


18. 기타 영농활용 연구결과

 가. 단감과원 수세안정 및 품질향상을 위한 도장지 제거 방법(전남농업기술원 과수연구소 김병삼, 061-533-9816)

 나. 감 탄저병균 유거수 비산량 측정(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송장훈, 061-330-1581)

 다. 단감 포장전 천연염색 면천 받침대를 이용한 생리장해방지(목포대학교 박용서, 061-450-2376)

 라. 단감 유통전 온탕침지와 항갈변제 처리를 통한 생리장해 방지로 과실 부가가치 증진(목포대학교 박용서, 061-450-2376)

 마. 단감 비상품과를 이용한 앙금 제조 방법(국립농업과학원 최윤희, 031-299-0571)



출처 : 한국감연구회
글쓴이 : Seong-Tae Choi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