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의전 대제 홀기
1. 취위(就位). 진시(陳視, 점시진설). 개독(開?). 헌조(獻俎)
○집례관과 봉례관이 사당으로 입장하여 마당에서 네 번 절한 후 손을 씻는다.
○알자와 찬인이 장하여 무릅끓고 네 번 절한 후 퇴장한다.
○찬인과 태축관 및 집사들이 사당으로 입장하여 마당에서 네 번 절한 후 손을 씻고
--사준과 봉작은 사당안으로 오른다.(*원래 대축관이나 태조대왕에 대한 제향이기에
--태축관이라 한다고 한다. 제보자 : 왕준한)
○알자,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봉조관이 사당으로 입장한다.
○알자가 초헌관을 이끌어 사당에 오른 뒤 제물을 살펴보고 내려와 다시 자리에 선
--다. 이를 ‘진시’ 혹은 ‘점시진설’이라고 한다.
○봉례관과 태축관이 사당에 올라 신주독을 열고 내려와 다시 자리에 선다.(음악)
○헌관들과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은 무릅을 끓고 네 번 절한 후 일어선다.
--(음악을 그친다)
○알자는 초헌관을 이끌고 사당에 오른다. 초헌관은 오르기 전에 손을 씻는다.(음악)
○제 집사 4인이 사당 안으로 오른다. 사당의 동계(오른쪽 계단)로 올라 각자의 위치
--에 선다.
○초헌관은 태조의 신위 앞에 서고 집사가 향을 세 번 올린다.
○태축관이 모시가 든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준다. 초헌관은 모시를 신위 앞에 올린다.
○초헌관은 현종의 신위 앞에 서고 집사가 향을 세 번 올린다.
○초헌관이 모시를 집어 태축관에게 주어 모시를 신위 앞에 올린다.
○초헌관은 문종의 신위 앞에 서고 집사가 향을 세 번 올린다.
○태축관이 모시가 든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준다. 초헌관은 모시를 신위 앞에 올린다.
○초헌관은 원종의 신위앞에 서고 집사가 향을 세 번 올린다.
○태축관이 모시가 든 광주리를 초헌관에게 준다. 초헌관은 모시를 신위 앞에 올린다.
--(음악을 그친다)
○초헌관은 사당을 내려와 다시 자리에 선 후 네 번 절한다.
○알자가 봉조관을 이끌고 전사청에서 돼지머리를 들고 나온다.
○봉조관이 사당의 가운데 계단을 먼저 오르고 봉작이 계단 위에서 돼지머리를 봉조
--관에게 전해 주면 봉조관은 사당 안에 있는 봉작에게 준다.
○봉조관은 사당 안에 올라 태조의 신위 앞에 돼지머리를 올린다.
○봉조관은 사당을 내려와 다시 자리에 선다.
2. 초헌례(初獻禮)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사당 앞에 서면 초헌관은 손을 씻는다.
○초헌관은 사당의 동계로 올라 어주 앞에 서쪽을 향해 서서 술을 살핀다. 이를 ‘감
--작앙제(監酌?齊)’라고 한다.
○집준관(執?官)은 술 항아리의 종이 뚜껑을 연다.(음악)
○알자는 초헌관을 이끌고 사당 안으로 들어가 태조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御酒盞)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초헌관에게 건
--네 준다.
○초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태조 신위 앞에 올린다.(음악을 그친다)
○모든 참제원들은 엎드린다.
○태축관이 헌관의 왼쪽에 끓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알자는 초헌관을 이끌고 현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초헌관에게 건네 준다.
○초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현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태축관이 헌관의 왼쪽에 끓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알자는 초헌관을 이끌고 문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초헌관에게 건네 준다.
○초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문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태축관이 헌관의 왼쪽에 끓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알자는 초헌관을 이끌고 원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초헌관에게 건네 준다.
○초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원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태축관이 헌관의 왼쪽에 끓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독축(讀祝)이 끝나면 알자와 초헌관은 사당을 내려와 다시 자리에 선다.
○초헌관은 네 번 절한다.
3. 아헌례(亞獻禮)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사당 앞에 서면 아헌관은 손을 씻는다.
○아헌관은 사당의 동계로 올라 어주 앞에 서쪽을 향해 서서 술을 살핀다.(음악)
○알자는 아헌관을 이끌고 사당 안으로 들어가 태조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아헌관에게 건네 준다.
○아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태조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는 아헌관을 이끌고 현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아헌관에게 건네 준다.
○아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현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는 아헌관을 이끌고 문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아헌관에게 건네 준다.
○아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문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는 아헌관을 이끌고 원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아헌관에게 건네 준다.
○아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원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와 아헌관은 사당을 내려와 다시 자리에 선다.
○아헌관은 네 번 절한다.(음악을 그친다)
4. 종헌례(綜獻禮)
○알자가 종헌관을 인도하여 사당 앞에 서면 종헌관은 손을 씻는다.
○종헌관은 사당의 동계로 올라 어주 앞에 서쪽을 향해 서서 술을 살핀다.(음악)
○알자는 종헌관을 이끌고 사당 안으로 들어가 태조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종헌관에게 건네 준다.
○종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태조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는 종헌관을 이끌고 현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종헌관에게 건네 준다.
○종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현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는 종헌관을 이끌고 문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종헌관에게 건네 준다.
○종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문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는 종헌관을 이끌고 원종의 신위 앞에 선다.
○집준관이 술을 떠서 어주잔에 담아 봉작에게 주면 봉작은 종헌관에게 건네 준다.
○종헌관은 무릅을 끓고 어주를 받아 원종의 신위 앞에 올린다.
○알자와 종헌관은 사당을 내려와 다시 자리에 선다.
○종헌관은 네 번 절한다.(음악을 그친다)
5. 분헌례(分獻禮)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이 태조. 현종. 문종. 원종 대왕에게 제를 지낸후 16공신들
--의 신위를 모셔 놓은 배신청에 헌관 4명으로 하여금 제를 지내도록 한다.
○찬인은 모든 분헌관들을 이끌고 배신청에 오른다. 각 분헌관들은 오르기 전 손을
--씻는다.
○신위 네분마다 하나의 제상을 받으며 네명의 분헌관들은 각각 네분의 신위 앞에
--한 잔씩 술을 올리게 된다.
○봉작이 술을 따라 분헌관들에게 주면 분헌관들은 제상 앞에 무릅을 끓고 앉아 네
--잔의 술을 올린다.
○술을 올린 후 분헌관들은 두 번 절을 하고 물러나 자리로 돌아 온다.
○모든 참제원들도 두 번 절을 한다.
6. 수조례(受?禮). 철변두(撤?豆)
○알자가 봉작과 태축관, 초헌관을 이끌고 사당의 동쪽 계단으로 오른다.
○초헌관이 계단위에서 서향하여 네 번 절하여 끓어 앉으면 봉작은 태축관에게
태축관은 초헌관에게 술을 준다. 초헌관은 제사 올린 고기와 술을 받아 마신 후 내려
--와 자리로 돌아온다.
○초헌관의 수조례가 끝나면 모든 집사들은 사당에서 내려오고 태축관과 봉례관은
--다시 올라가 제물을 치우게 된다. 이를 ‘철변두’라고 한다.
○수조례의 진설은 다음과 같다.
수조례조
- - - - - - - - - - - - - - - - - - - - -(북 : 北)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
- - - - - - - - - - - - - - - -태축관 ◎고기 초헌관
- - - - - - - - - - - - - - - - - - - - - -☆어주
- - - - - - - - - - - - - - - - - - - -봉작 알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서계== ==신도== ==동계==
7. 망료례(望燎禮).
○알자가 초헌관과 함께 사당의 북쪽 마당으로 가서 북쪽을 향해 서 있으면 태축관
--은 사당의 서계로 올라 사당 안에서 축문을 가지고 나온다. 초헌관은 축문을 받아
--한쪽 귀퉁이를 가위로 자른 뒤 불태운다. 이를 망료례라고 한다. 망료례가 끝나면
--자리로 돌아온다.(*축문의 네 귀퉁이 중 한 쪽만 자른뒤 태운다. 멀쩡한 모시를 다
--태우게 되어 아까운 마음에 조금씩 잘라낸다고 한다. 제보자 : 왕준한)
○알자는 돌아와 초헌관에게 두 번 절을 하고 헌관들은 사당 밖으로 나간다.
○헌관들이 나가면 봉례관과 태축관도 나간다. 집례 7인이 뒤따라 나간 뒤, 남은 집
--례 2인이 신주를 닫고 사당문을 닫는다.
○헌관을 제외한 나갔던 집례관들은 다시 자리로 돌아와 네 번 절한 후 다시 나간다
○봉송(奉送)은 몇 년전까지만 해도 공식적으로 행해졌었으나 현재는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제례악은 녹음된 것을 사용하며 초헌례에서 고축할 때를 제외하고 행해지고 있다.
'호칭,관혼상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곡자상 고찰과 재현의 의의 (0) | 2014.12.19 |
---|---|
[스크랩] 고사지내는 법 1 (0) | 2014.12.16 |
족보의 일반상식 (0) | 2014.12.03 |
改沙草祝 (0) | 2014.12.03 |
金水壇 歲享 笏記 (0) | 201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