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韜三略 守土 [07]
第1篇 文韜 第7章 守土
[1]- 권력은 빌려주면 잃는다
文王問太公曰:“守土奈何?”
太公曰:“無疏其親,無怠其眾,撫其左右,御其四旁。無借人國柄。借人國柄,則失其權。無掘壑而附丘,無舍本而治末。日中必彗,操刀必割,執斧必伐。日中不彗,是謂失時;操刀不割,失利之期;執斧不伐,賊人將來。涓涓不塞,將為江河;熒熒不救,炎炎奈何;兩葉不去,將用斧柯。是故人君必從事於富。不富無以為仁,不施無以合親。疏其親,則害;失其眾,則敗;無借人利器,借人利器,則為人所害,而不終其正也。”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강토를 지키려면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태공이 말하였다.“그 친척을 멀리하지 말며, 그 민중을 게으르게 하지 말며, 그 좌우를 쓰다듬으며, 그 사방을 다스리며, 다른 사람에게 나라 권력을 빌려주지 말아야 합니다. 나라 권력을 빌려주면 그 권력을 잃게 됩니다. 골짜기를 파서 언덕에 붙이지 말아야 합니다. 근본을 버리고 지엽을 다스려서는 안됩니다. 한낮에 빨래를 말려야 합니다. 칼을 잡거든 반드시 갈라야 합니다. 도끼를 잡거든 반드시 베어야 합니다. 한낮에 말리지 않는 것을 때를 잃는다고 합니다. 칼을 잡고도 가르지 않으면 이로운 시기를 잃습니다. 도끼를 잡고 베지 않으면 적이 장차 도발하여 올 것입니다.
졸졸 흐를 때 막지 않으면 장차 강하를 이룹니다. 반짝반짝 할 때 구하지 않으면 활활 타올라 어찌할 수 없게 됩니다. 떡잎 때 따내지 않으면 장차는 도끼를 써야됩니다. 따라서 인군은 반드시 일마다 부(富)를 따라야 합니다. 부하지 못하면 그로 인하여 인을 이루지 못합니다. 베풀지 못하면 그로 인하여 친족을 모아 거두지 못합니다. 그 친족을 멀리하면 해로우며, 그 무리를 잃으면 패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에게 이기를 빌려주지 말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면 그 사람으로 인하여 해를 입게 되어 그 대를 제대로 마치지 못합니다.”
[2]- 존경은 화합의 지름길이다
文王曰:“何謂仁義?”
太公曰:“敬其眾,合其親。敬其眾則和,合其親則喜,是謂仁義之紀。無使人奪汝威。因其明,順其常。順者、任之以德,逆者、絕之以力。敬之無疑,天下和服。”
문왕이 물었다.“무엇을 인의라 하는 것입니까.”
태공이 대답하였다. “그 무리를 공경하고, 그 친족을 모아 거두어야 합니다. 그 무리를 공경하면 화합하고, 그 친족을 모아 거두면 기뻐하는 것입니다. 이를 인의의 기강이라 이릅니다.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당신의 위엄을 빼앗도록 하지 마십시오. 그 밝음으로 말미암아 그 상도에 따라야 합니다. 따르는 자는 이를 맡김에 덕으로써 하고, 거스르는 자는 이를 끊음에 힘으로써 합니다. 이를 공경하고 의심치 않으면, 천하가 화합하고 복종할 것입니다.”
'六韜三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六韜三略 明傳 [05] (0) | 2014.08.06 |
---|---|
[스크랩] 六韜三略 六守 (6) (0) | 2014.08.06 |
[스크랩] 六稻 三略 第8章 守國 (0) | 2014.08.06 |
[스크랩] 六韜三略 上賢(第9章) (0) | 2014.08.06 |
[스크랩] 六韜三略 擧賢(10) (0) | 201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