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당 류몽인(於于堂 柳夢仁)
1559(명종 14)∼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설화 문학가.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간재(艮齋)·묵호자(默好子). 의(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간 충관(忠寬)이고, 아버지는 주부(主簿)이며, 어머니는 참봉 민의(閔禕)의 딸이다.
성혼(成渾)과 신호(申濩)에게서 수학했으나 경박하다는 책망을 받고 쫓겨나 성혼과는 사이가 좋지 못하였다. 1582년(선조 15) 진사가 되고, 1589년 증광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1592년 수찬으로 명나라에 질정관(質正官)으로 다녀오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를 평양까지 호종하였다.
왜란 중 문안사(問安使) 등 대명 외교를 맡았으며 세자의 분조(分朝 : 임란 당시 세자를 중심으로 한 임시 조정)에도 따라가 활약하였다. 그 뒤 병조참의·황해감사·도승지 등을 지내고 1609년(광해군 1) 성절사 겸 사은사로 세 번 째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벼슬에 뜻을 버리고 고향에 은거하다가 왕이 불러 남원부사로 나갔다.
그 뒤 한성부좌윤·대사간 등을 지냈으나 폐모론이 일어났을 때 여기에 가담하지 않고 도봉산 등에 은거하며 성안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 이리하여 1623년 인조반정 때 화를 면했으나 관직에서 물러나 방랑 생활을 하였다.
그 해 7월 현령 유응경(柳應泂)이 “유몽인이 광해군의 복위 음모를 꾸민다.”고 무고해 국문을 받았다. 마침내 역률(逆律)로 다스려져 아들 약(瀹)과 함께 사형되었다. 서인들이 중북파(中北派)라 부르며 끝내 반대 세력으로 몰아 죽인 것이었다. 이 때 관작의 추탈은 물론 임진왜란의 공으로 봉해진 영양군(瀛陽君)의 봉호도 삭탈되었다. 정조 때 신원되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그는 조선 중기의 문장가 또는 외교가로 이름을 떨쳤으며 전서(篆書)·예서·해서·초서에 모두 뛰어났다. 그의 청명(淸名)을 기려 전라도 유생들이 문청(文淸)이라는 사시(私諡 : 개인의 시호를 국가에서가 아닌 사적인 방법으로 내림.)를 올리고 운곡사(雲谷祠)에 봉향하였다.
신원된 뒤에 나라에서도 다시 의정(義貞)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운곡사를 공인하였다.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도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야담을 집대성한 ≪어우야담≫과 시문집 ≪어우집≫이 있다.
[어우야담(於于野譚)]
야사(野史)·항담(巷談)·가설(街說) 등이 수록되었는데, 흔히 민간에 유포된 음담패설이 아닌 풍자적인 설화와 기지 있는 야담들로서 조선 중기 설화문학의 좋은 자료이다. 왕실 귀인에서 상인·천민·기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간의 삶과 시문에 얽힌 사연 꿈,귀신, 풍속, 성에 관한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기록한 설화문학이다. 원본은 한문본(漢文本)이나, 후인의 손으로 번역되어 널리 퍼졌다.
어우는 유몽인의 호 어우당(於于堂)에서 온 것으로, 《장자(莊子)》 〈천지(天地)〉편의 "쓸데없는 소리로 뭇사람을 현혹시킨다(於于以蓋衆)"고 한 데서 인용하였다.
한문본은 5권 1책으로 되었는데, 내용은 권1은 인륜편으로 효열(孝烈)·충의·덕의(德義)·은둔·혼인·처첩·기상(氣相)·붕우·노비·배우(俳優)·창기(娼妓), 권2는 종교편으로 선도(仙道)·승려·서교(西敎)·무격(巫覡)·몽(夢)·영혼·귀신·속기(俗忌)·풍수·천명, 권3은 학예편으로 문예·식감(識鑑)·의식(衣食)·교양.음악·사어(射御)·서화·의약·기예·점후(占候)·복서(卜筮)·박혁(博奕), 권4는 사회편으로 과거(科擧)·구관(求官)·부귀·치부·내구(耐久)·음덕·붕당(朋黨)·무망(誣罔)·고풍(古風)·외임(外任)·용력(勇力)·처사(處事)·구변(口辯)·오기(傲忌)·교학(驕虐)·욕심·재앙·생활고·도적·해학(諧謔), 권5는 만물편으로 천지 ·초목·인류·금수(禽獸)·인개(鱗介)·고물(古物)로 각각 분류·수록하였다. 책머리에 저자의 초상과 필적 및 서문과 연보를 실었다. 1964년에 종후손 제한(濟漢)이 발문(跋文)을 붙여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류몽인 묘익 입구- 보이는 묘의 오른쪽을 돌아가면 올라가는 길이 있다
류몽인묘(후)-류약묘(중) 류경묘(전)
어우당 류몽인 묘 전경
류몽인 묘(후)와 아들 류약 묘(전)
류약(柳瀹)
1580(선조 13)∼1623(인조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자는 약이(瀹而). 충관(忠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탱(樘)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 몽인(夢寅)이며, 어머니는 신식(申栻)의 딸이다. 1605년(선조 3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가 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15년 사가독서하고 이어 설서(說書)·검열·병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헌납(獻納)으로 다시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교리(敎理)·형조정랑 등 요직을 지냈다.
정인홍(鄭仁弘) 등의 사주를 받아 폐모론을 주장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왕위에서 물러나고 이이첨(李爾瞻) 등이 모두 처형당하게 되자, 아버지와 함께 죽음을 당하였다. 1794년(정조 18) 아버지와 함께 신원되었다.
류약(柳瀹)묘 전경
조선후기 독립운동가 의암 류인석(毅菴 柳麟錫) 선생의 고조부 호조참판 류경(柳璟) 묘
류몽인의 묘소를 내려와서 바라본 이방실장군 묘역 입구
'여행이야기(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기도 가평] 용인이씨(龍仁李氏) 발복지라는 이세응-이보혁-이경호 묘 (0) | 2013.11.30 |
---|---|
[스크랩] [경기도 가평] ?이방실(李芳實)장군 묘-함안이씨 (0) | 2013.11.30 |
[스크랩] [경기도 가평]? 영의정 문간공 진암 이천보(文簡公 晉庵 李天輔)? 묘-연안이씨 (0) | 2013.11.30 |
[스크랩] [경기도 가평] 3대 대제학묘역-문충공 ?월사 이정구(文忠公 月沙 李廷龜)선생 묘-연안이씨 (0) | 2013.11.30 |
[스크랩] [경기도용인] ?영의정 문헌공 만절당 박원형(?文憲公 晩節堂 朴元亨)묘-죽산박씨 (0) | 2013.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