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이야기(경기도)

[스크랩] [경기도 가평] 3대 대제학묘역-문충공 ?월사 이정구(文忠公 月沙 李廷龜)선생 묘-연안이씨

장안봉(微山) 2013. 11. 30. 12:33

문충공 월사 이정구(文忠公 月沙 李廷龜)

 

1564(명종 19)∼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 시호은 문충(文忠)이다. 세조 때의 명신인 석형(石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현령계(啓)이고, 어머니는 김표(金彪)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이정구는 문장으로 이름 높던 가문에서 출생해 가문 내에서의 가르침을 통해 성장한다. 유년시절부터 남다른 문학적 자질을 보이기 시작해 8세에 벌써 한유(韓愈)의 「남산시(南山詩)」를 차운(次韻)했다고 전한다.

1577(선조 10) 14세 때에 승보시(陞補試)에 장원을 하며 명성을 떨치기 시작해 1585년(선조 18) 22세에 진사, 5년 뒤인 1590년(선조 23)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592년에는 임진왜란을 만나 왕의 행재소(行在所)에 나아가 설서(設書 : 세자에게 경전과 역사를 가르치는 정7품관)가 됐다. 1593년(선조 26) 명나라의 사신 송응창(宋應昌)을 만나 『대학』을 강론해 그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것은 후에 『대학강어(大學講語)』로 간행됐다.

중국어에 능하여 어전통관(御前通官)으로 명나라 사신이나 지원군을 접대할 때에 조선 조정을 대표하며 중요한 외교적 활약을 했다.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의 병부주사정응태(丁應泰)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는 무고사건을 일으켰다. 이정구는 「무술변무주(戊戌辨誣奏)」를 작성하여 진주부사(陳奏副使)로 명나라에 들어가 정응태의 주장이 아무런 근거가 없음을 밝혀 그를 파직시켰다.

1601년(선조 34) 34세 때에는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 귀국한 뒤에 대제학에 올랐다. 1604년(선조 37) 세자책봉주청사로 명나라에 다녀오는 등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중국을 내왕했다.

중국문인들의 요청에 의하여 100여 장(章)의 『조천기행록(朝天紀行錄)』을 간행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그의 능력이 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병조판서·예조판서와 우의정·좌의정 등 조정의 중요한 직책을 두루 역임했다.

 

이정구의 생애는 어디까지나 조정의 관리로서 소임을 다하는 것이었으므로, 그는 치군택민(致君澤民 : 임금을 도와서 백성을 윤택하게 한다)의 이상과 이문화국(以文華國 : 글로써 나라를 빛낸다)의 관인문학을 성실히 몸으로 실천해갔다. 이 점에서 그는 사대부 문학의 전범(典範 : 모범)을 보였다.

그의 문장은 장유(張維), 이식(李植), 신흠(申欽)과 더불어 이른바 한문사대가로 일컬어지게 됐다. 이정구의 문장에 대해서 명나라의 양지원(梁之垣)은 호탕(浩蕩 : 세차게 내달리는 느낌)하고 표일(飄逸 : 세속의 때가 없는 느낌)하면서도 지나치게 화려하지 않아 문장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장유도 그의 문학적 재능을 높이 칭찬함과 아울러 고문대책(高文大冊 : 내용이 알차고 문장이 세련된 글)의 신속한 창작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정조도 그의 문장을 높게 평가했다.

이러한 평가들은 그가 사대부가 마땅히 해야 할 순수한 문학을 창작으로 실천하면서도 「무술변무주」등의 외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실용문을 써 이름을 알린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정구의 문학은 한편으로 이웃 나라와의 돈독한 관계를 위한 외교에 있어서 문학이 가지는 쓸모를 십분 발휘한 것으로 일단의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문학 자체의 독자적 영역을 넓히고 진실된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면에서는 다소간 미흡한 점이 있다는 평가도 아울러 받고 있다.

 

시문집으로는 그의 문인인 최유해(崔有海)가 편간한『 월사집(月沙集)68권 22책이 전한다.

 

 

 재실 경덕사(景德祠)와 영녕사(永寧祠) 전경

 재실 경덕사(景德祠)

 재실 영녕사(永寧祠)

 

 

 재실에서 바라본 묘역 전경-정려문(전), 집판간각(좌후), 신도비각(우후), 그 뒷쪽에 3대 대제학 묘역이 있다

 

 연안이씨 정려문

 문충공의 손자 이일상의 처 정경부인 전주이씨 정려

 

 

공은 완산 이씨(完山李氏) 영의정(領議政) 이성구(李聖求)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부인은 지조가 곧고 굳었다. 오랑캐가 강도(江都)를 함락하자 부인이 패도(佩刀)를 뽑아 자결하였는데, 그 일을 조정에 아뢰자 정문을 세워주었다. 1녀를 낳아 승지(承旨) 김만균(金萬均)에게 시집갔다.                                (이일상신도비명 중에서)

 

 문충공의 손자 빙헌 이가상(氷軒 李嘉相)의 효자정려

 

[빙헌 이가상(氷軒 李嘉相)]

 

1615(광해군 7)∼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회경(會卿), 호는 빙헌(氷軒). 이조판서 명한(明漢)의 아들이다. 척화신 공조참의 나만갑(羅萬甲)의 딸과 혼인하였다. 1630년(인조 8) 진사시에 합격하고, 163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평소 효도가 극진하였는데, 이해 관직에 나가기 전에 병자호란이 일어나 어머니를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하였다가 이듬해 강화도가 적에게 함락되자 자신은 적에게 잡히고 아내가 어머니를 모시고 옆의 섬으로 피난하였다.

그 뒤 풀려나왔으나 아버지와 형제에게 글을 남겨 이별하고 여러 차례 적진에 들어가 어머니를 찾아 헤매다가 마침내 적에게 피살되었다. 아내 나씨도 이 소식을 듣고 상심한 끝에 죽었다. 인조의 명으로 효자정문이 세워졌으며, 1671년(현종 12) 승지 이단하(李端夏)의 건의로 수찬을 추증받았다.

 

 형조참판 현주 이소한(玄洲 李昭漢) 처 정경부인 여주이씨 정려

 

공의 부인은 여주 이씨(驪州李氏)로 찬성(贊成) 이상의(李尙毅)의 딸인데, 유순하고 현숙하여 부덕(婦德)이 모두 적합하였다. 시집을 오기 전에 친정(親庭)에 있을 때에도 부모가 기특하게 여겨 사랑하였고 이미 공에게 시집온 뒤에는 시부모가 자주 칭찬하였다. 부인은 서사(書史)를 섭렵하여 의리에 통달하였는데, 강도(江都)의 변란 때에 스스로 몸을 칼로 찔러 자결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다시 허리띠로 자기의 목을 졸라매어 목숨을 끊었으니, 이때가 실로 정축년(丁丑年, 1637년 인조 15년) 정월 23일이었다. 그 일이 조정에 알려지자 정려(旌閭)를 내려 표창하였으며 공과 더불어 가평군(加平郡) 조종현(朝宗縣) 북쪽에 있는 묘향(卯向)의 언덕에 합장(合葬)하였다.

                                                                                                                 (이소한신도비명 중에서)

 

 

[현주 이소한( 玄洲 李昭漢)]

 

1598(선조 31)∼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도장(道章), 호는 현주(玄洲). 서울 출신. 부호군 순장(順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령 계(啓)이며, 아버지는 좌의정 정구(廷龜)이며, 어머니는 권극지(權克智)의 딸이다.

 

타고난 자질이 준수하고 총명해 신동으로 불렸다 한다. 1612년(광해군 13) 진사시에 합격하고, 1621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나가 벼슬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과 함께 승문원주서를 거쳐 홍문관정자에 승진되면서부터 풍부한 학식이 정부 관료들간에 널리 인정되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공주로 인조를 호종했으며, 환도한 뒤에는 전란으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을 덜기 위한 절용애민(節用愛民)의 정치를 펼 것을 진언하였다. 그 뒤 다시 수찬·정언·교리 등의 문관 요직에 있으면서 상소나 혹은 왕을 모신 자리에서 정사와 왕실의 잘못을 지적해 때로는 왕의 비위를 거슬리기도 하였다.

1626년 수찬으로서 중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왕을 모신 자리에서 내수사를 파해 국가 공용에 보탬이 되도록 주청하였다. 1632년 신진 유신들과 함께 인조의 사친(私親)인 정원군(定遠君)의 왕호추숭(王號追崇)을 반대했다가 파직당하기도 하였다.

그 뒤 다시 등용되어 충원현감·진주목사·예조참의 등의 내외 관직을 역임하였다. 1643년 왕세자가 청나라 심양(瀋陽)에 볼모로 갈 때 세자우부빈객 동지중추부사로 호종해 보좌했으며, 이듬해 귀국해 형조참판으로 비변사당상을 겸임하였다. 아버지 정구, 형 명한(明漢)과 함께 3소(三蘇)라 일컬어졌다. 뒤에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시문에 능하고 글씨에 조예가 깊었으며, 20여 년간 관계에서 활동하면서『동사록(東槎錄)』·『진양록(晉陽錄)』·『심관록(瀋館錄)』·『방축록(放逐錄)』등의 시를 남겼다.

 

*삼소(三蘇) : 송(宋)의 소순(蘇洵)과 두 아들 소식(蘇軾), 소철(蘇轍)의 세 사람.

                  이들이 모두 글을 잘하여 붙인 말로 즉 월사 이정구, 백주 이명한, 현주 이소한을 일컬음.

 3대 대제학 신도비각 전경

 

 3대 대제학 신도비각- 문정공 백주 이명한(좌), 문충공 월사 이정구(중), 문숙공 충호 이일상(우) 신도비

月沙의 子 - 문정공 백주 이명한(文靖公 白洲 李明漢) 신도비

 문정공의 신도비는 김상헌(金尙憲)이 찬하고 이경석(李景奭)이 썼으며 이정영(李正英)이 전서하였다

 문충공 월사 이정구(文忠公 月沙 李廷龜) 신도비

김상헌(金尙憲)이 찬하고 이경석(李景奭)이 썼으며 김상용(金尙容)이 전서하였다

 

月沙의 孫 - 문숙공 청호 이일상(文肅公 靑湖 李一相) 신도비

박세채(朴世采)가 찬하고 조상우(趙相愚)가 썼으며 김창협(金昌協)이 전서하였다

  

월사집장판각 

 

 

 

 

 3대 대제학 묘역 전경

 

 

 3대 대제학 묘역 전경

제일 뒷쪽부터 아들 백주 이명한묘- 손자 청호 이일상묘- 문충공 월사 이정구선생묘 순으로 조성되어 있다.

 제일 앞쪽에 있는 통덕랑 이광수(李光秀)묘

 문충공 월사 이정구(文忠公 月沙 李廷龜)선생 묘 전경

 이정구선생묘(전)-손자 이일상 묘(중)-아들 이명한묘(후)

 

 

 

 

 

 

 

 

 

 

 

 

 

 

월사 이정구선생 묘 후경

출처 : 癡叔堂
글쓴이 : cheesookdan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