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경기도 용인] 문충공 약천 남구만(文忠公 藥泉 南九萬)선생 묘역-의령남씨 문충공 약천 남구만(文忠公 藥泉 南九萬) 1629(인조 7)∼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 또는 미재(美齋). 개국공신 재(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식(烒)이고, 아버지는 현령 일성(一星), 어머니는 권박(權瞨)의 딸이다. 송준길(..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담와 홍계희(淡窩 洪啓禧)? 묘소-남양홍씨 담와 홍계희(淡窩 洪啓禧) 1703(숙종 29)∼1771(영조 4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순보(純甫), 호는 담와(淡窩). 처심(處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진(受晋)이고, 아버지는 참판 우전(禹傳)이며, 어머니는 대사헌 이상(李翔)의 딸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37년(영조 1..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선생 묘역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1337년(충숙왕 복위 6)∼1392년(공양왕 4).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출생지는 영천(永川). 초명은 몽란(夢蘭) 또는 몽룡(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습명(襲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운관(云瓘)이다. 어..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선생 묘역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1337년(충숙왕 복위 6)∼1392년(공양왕 4).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출생지는 영천(永川). 초명은 몽란(夢蘭) 또는 몽룡(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습명(襲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운관(云瓘)이다. 어..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문강공 저헌 이석형(文康公 樗軒 李石亨)선생 묘소-포은선생 묘역내-연안이씨 문강공 저헌 이석형(文康公 樗軒 李石亨) 1415(태종 15)∼1477(성종 8).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백옥(白玉), 호는 저헌(樗軒). 사복시정 장(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임천부사 종무(宗茂)이고, 아버지는 대호군 회림(懷林)이며, 어머니는 박언(朴彦)의 딸이다. 김반(金泮)..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포은 선생의 손자 설곡 정 보(雪谷 鄭 保) 묘소-포은선생 묘역내 설곡 정 보(雪谷 鄭保)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호는 운곡(雲谷). 할아버지는 몽주(夢周)이며, 아버지는 이조참의 종성(宗城)이다. 학문이 뛰어나 세종의 총애를 받았고, 한때 예안현감으로 나갔다가 감찰이 되었다. 일찍이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충렬공 추담 오달제(忠烈公 秋潭 吳達濟)선생 묘소 충령공 추담 오달제(忠烈公 秋潭 吳達濟) 1609(광해군 1)∼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경민(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문(希文)이고, 아버지는 윤해(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충간공 추탄 오윤겸(忠簡公 秋灘 吳允謙)선생 묘역 충간공 추탄 오윤겸(忠簡公 秋灘 吳允謙) 1559(명종 14)∼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익(汝益), 호는 추탄(楸灘) 또는 토당(土塘). 사섬시주부(司贍寺主簿) 옥정(玉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경민(景閔)이고, 아버지는 선공감역 희문(希文)이며, 어머니는..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
[스크랩] [경기도 용인] ?해주오씨(海州吳氏) 시조 오인유(吳仁裕) 단소 해주오씨(海州吳氏) 해주(海州)는 황해도 남해안에 위치한 도청소재지이다. 고조선시대에 대방군(帶方郡)에 속하여 고죽(孤竹)으로 불렸다. 고구려 때에는 내미홀(內米忽) 또는 지성(池城)·장지(長池) 등으로 불리다가, 748년(신라 경덕왕 7)에 폭지군(瀑池郡)으로 바뀌었다. 936년(고려 태.. 여행이야기(경기도) 2012.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