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충공 약천 남구만(文忠公 藥泉 南九萬)
1629(인조 7)∼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 또는 미재(美齋). 개국공신 재(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식(烒)이고, 아버지는 현령 일성(一星), 어머니는 권박(權瞨)의 딸이다.
송준길(宋浚吉)의 문하에서 수학, 1651년(효종 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가주서·전적·사서·문학을 거쳐 이듬해 정언이 되었다. 1659년 홍문록에 오르고 곧 교리에 임명되었다.
1660년(현종 1) 이조정랑에 제수됐고, 이어 집의·응교·사인·승지·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을 거쳐, 1668년 안변부사·전라도관찰사를 역임했다. 1662년 영남에 어사로 나가 진휼 사업을 벌였다. 1674년 함경도관찰사로서 유학(儒學)을 진흥시키고 변경 수비를 튼튼히 했다.
숙종 초 대사성·형조판서를 거쳐 1679년(숙종 5) 좌윤이 되었으며, 같은해 윤휴(尹鑴)·허견(許堅) 등의 방자함을 탄핵하다가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도승지·부제학·대사간 등을 역임했으며, 1680년과 1683년 두 차례 대제학에 올랐다. 병조판서가 되어 폐한 사군(四郡)의 재 설치를 주장해 무창(茂昌)·자성(慈城) 2군을 설치했으며, 군정(軍政)의 어지러움을 많이 개선했다.
1684년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 1687년 영의정에 올랐다. 이즈음 송시열(宋時烈)의 훈척비호를 공격하는 소장파를 주도해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강릉에 유배되었으나 이듬해 풀려났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다시 영의정에 기용되고, 169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701년 희빈 장씨(禧嬪張氏)의 처벌에 대해 중형을 주장하는 김춘택(金春澤)·한중혁(韓重爀) 등 노론의 주장에 맞서 경형(輕刑)을 주장하다가 숙종이 희빈 장씨의 사사를 결정하자 사직, 낙향했다. 그 뒤 부처(付處)·파직 등 파란을 겪다가 다시 서용되었으나, 1707년 관직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가 기로소에 들어갔다.
당시 정치 운영의 중심 인물로서 정치·경제·형정·군정·인재 등용·의례(儀禮) 등 국정 전반에 걸쳐 경륜을 폈을 뿐만 아니라 문장에 뛰어나 책문(冊文)·반교문(頒敎文)·묘지명 등을 많이 썼다. 또한, 국내외 기행문과 우리 역사에 대한 고증도 많이 남기고 있다. 서화에도 뛰어났으며,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가 ≪청구영언≫에 전한다.
숙종 묘정(廟庭)에 배향, 강릉의 신석서원(申石書院), 종성(鐘城)의 종산서원(鐘山書院), 무산(茂山)의 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약천집≫·≪주역참동계주 周易參同契註≫가 전한다. 글씨는 <좌상남지비 左相南智碑>·<찬성장현광비 贊成張顯光碑>, 개심사(開心寺)·양화루(兩花樓)·영송루(迎送樓)의 액자를 남겼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약천 남구만 묘소와 손자 남극관 묘소 (좌후)
[남극관(南克寬) 묘표]
자(字)는 백거(伯居)이니 영의정으로 치사(致仕)한 휘(諱) 구만(九萬)의 장손(長孫)이다. 이 아비 학명(鶴鳴)이 문충공(文忠公) 이항복(李恒福)의 증손녀를 취(娶)하여 36세에 너를 낳았다. 너는 약관(弱冠)에 상상(上庠, 성균관)에 올라 세상에서는 모두 나라를 빛낼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불행히도 병에 걸려 6년을 고생하다가 일어나지 못하였으니, 그때 나이 26세였다. 그 탄생은 선부군(先府君)의 주갑(周甲) 해인 기사년(己巳年, 1689년 숙종 15년)이고 그 죽음은 이 아비의 주갑 해(1714년)였다. 사람됨은 영발(穎發) 명직(明直)하고 개결(介潔)하여 욕심이 없었으며, 오직 전적(典籍)만을 탐하여 침식(寢食)을 잊을 지경이었고 박극(博極) 정미(精微)하여 패연(沛然)히 자득(自得)한 바가 있었는데, 한 집안의 말을 논찬(論撰)하여 후세에 전하려 하였으나 미처 이루지 못하였다. 스스로 호(號)를 사시자(謝施子)라 하였는데, 죽음에 다달아서 자신의 초고(草稿)를 산정(刪定)하여 두 권으로 만들고 ≪몽예집(夢囈集)≫이라 하였다.
배(配) 서씨(徐氏)의 출생과 사망은 모두 1년 뒤로서 용인(龍仁)의 대화산(大華山) 서록(西麓)의 선영(先塋) 아래 간좌원(艮坐原)에 부장(祔葬)하니, 숭정(崇禎, 명 의종(明毅宗)의 연호) 후의 조선조 두 번째 을미년(乙未年, 1715년 숙종 41년)의 2월이다. 서씨는 지극한 천성이 있어 시부모에게 효성스러웠는데, 너의 상을 당하자 지하에 따라가기로 작정을 하였으나 그래도 자결은 흉측스럽게 여기다가 마침내 애훼(哀毁)를 이기지 못하여 생을 마쳤다. 신후(身後)의 일을 스스로 초하였다가 목숨이 끊이기에 임하여 그의 형에게 맡겼는데, 모두 조리가 있다. 향리(鄕里)에서 절행(節行)을 들어 조정에 계문(啓聞)하니 정려(旌閭)가 내렸다. 그 아버지는 판서 서문유(徐文裕)이다. 이 아비는 중자(仲子) 처관(處寬)으로 하여금 아들을 낳게 하여 너의 뒤를 이어줄 것이며, 세 딸이 출가하기를 기다려서 묘표의 왼쪽에 이어서 새겨 주겠다. 우리 의령 남씨(宜寧南氏)는 국초(國初)의 경렬공(敬烈公) 휘 을번(乙蕃)으로부터 11대를 대대로 높은 벼슬을 이어 받으면서 모두 혈손(血孫)으로 전해왔는데, 너의 몸에 이르러 요절하여 후사가 없으므로 양손(養孫)으로 이어가게 되었으니, 아! 슬픈 일이로다.[국고인물고 해제 인용]
영의정 약천 남구만의 손자인 남극관 묘 전경
남극관처대구서씨열녀비후면
'여행이야기(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주]명성왕후 생가 (0) | 2012.12.11 |
---|---|
[스크랩] [여주]명성왕후 생가 (0) | 2012.12.11 |
[스크랩] ?[경기도 용인] 담와 홍계희(淡窩 洪啓禧)? 묘소-남양홍씨 (0) | 2012.12.11 |
[스크랩] ?[경기도 용인]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선생 묘역 (0) | 2012.12.11 |
[스크랩] ?[경기도 용인]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선생 묘역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