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상량문. 사주. 혼서. 신주 실용서예는 써 줄 일이 많다. 이 메모를 보고 쓴다 * 상량문上樑文 쓰기 龍 西紀二영영八年一月五日午時 立柱上樑 大主 洪吉童 虎 용龍 한자는 거꾸로 쓴다. 서기를 쓰기 싫으면 檀紀. 佛紀 등으로 쓴다. 양자는 대들보량(樑)으로서 나라양(梁)자를 쓰기도 한다. 대들보 길이가 넉넉하면 .. 재실 2014.08.19
[스크랩] 비석 새김 문 예 비석 전면 대자 내 글씨가 아닌듯함 벼슬이름은 맨 앞에 쓴다. 벼슬이름은 계(品階).사(司:관청명),직(職責) 순서로 쓴다. 위 첫째 사진 벼슬이름중 가선대부(嘉善大夫)는 품계명이고, 병조(兵曹)는 관청명이고, 참판(參判)은 직책명이다. 다음에 또 벼슬이 있다. 이것은 겸직하신 벼슬이다. .. 재실 2014.08.19
[스크랩] 저통혼례 전통 혼례 2007/08/24 원각 http://planet.daum.net/kk4709/ilog/6168111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전통 혼례] 1. 전안례(奠雁禮) 신랑이 기럭아비와 함께 신부집에 도착하여 신부 어머니에게 기러기를 드리는 예이다. 한번 인연을 맺으면 생명이 끝날 때까지 연분을 지킨다는 백년해.. 재실 2014.08.19
[스크랩] 조선 시대 품계표 조선 시대 품계표* 품계 문반계(동반계) 무반계(서반계) 외명부 종친계 의빈계 잡문반 잡무반 토문반 토무반 관 정1품 종1품 정2품 종2품 정3품 대광보국숭록대부 大匡輔國崇祿大夫 보국숭록대부 輔國崇祿大夫 숭록대부 崇祿大夫 정헌대부 正憲大夫 자헌대부 資憲大夫 가정대부 嘉靖大夫.. 재실 2014.08.19
[스크랩] 관직해설 ** 계(階). 사(司). 직(職) : (계사직) 품계(品階) 관청(官廳) 직책(職責) :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 이라면 1/대광보국숭록대부는 1/품계이고 2/의정부는 근무하던 2/관청이름이며 3/영의정은 직책이다 通政大夫承政院都承旨 라면 1/통정대부는 1/품계요 2/승정원은 근무하던 2/관청이름.. 재실 2014.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