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이야기(선조 ) 294

[스크랩] 연복사(演福寺)에 종을 만들어 이곡(李穀)이 기문(記文)을 지었으며...

부 간본 아정유고 제3권 기(記) 계사년 봄 유람기(遊覽記) 계사년(영조 49, 1773) 윤삼월(閏三月)에, 나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호)ㆍ영재(?齋 유득공(柳得恭)의 호)와 함께 평양(平壤)을 유람하기 위해 25일 파주(坡州)에서 잤다. 홍제원(弘濟院)으로부터 녹반현(綠礬峴)에 이르니 길이 ..

[스크랩] 영웅은 이미 갔으나 산하는 남아 있으며 -이맹균(李孟畇) -

해동잡록 3 본조(本朝) 이맹균(李孟畇) ○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지밀직사(知密直事) 종덕(鍾德)의 아들이다. 고려의 신우(辛?) 때에 나이 15세로 등제하였으며 문명(文名)이 있었다. 특히 시를 잘하였다. 이조에 들어와 벼슬은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다가 죄에 연좌되어 유배되어 죽었..

[스크랩] 고려판 정신대 “공녀” 제도폐지시킨 이곡선생의 항소문과 찔레꽃 노래 사

고려판 정신대 “공녀” 제도폐지 시킨 가정이곡의 항소문 ㅡ엄마 일 가는 길에 하얀 찔레꽃, 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지. 배고픈 날 하나씩 따먹었다오, 엄마 엄마 부르며 따먹었다오.ㅡ 이 노래는 고려 여인들이 “공녀”란 이름으로, 원나라에 끌려가면서, 비통함을 노래한 가사로 “..

[스크랩] 한산(韓山)에 이르니, 그 시조 이자성(李自成), 가정(稼亭) 이곡 목은 이색 이종선, 이종학, 이계완의 묘소가 모두 그 고을에 있으므로 -윤국형(尹國馨)-

문소만록(聞韶漫錄) 판서 윤국형(尹國馨) 저 -우리 어머니는 목은(牧隱)의 6대손이시다. 내가 호서(湖西)의 감사(監司)로 순회하다가 한산(韓山)에 이르니, 그 시조 이자성(李自成), 가정(稼亭) 이곡(李穀), 목은 이색(李穡), 한성 판윤(漢城判尹) 이종선(李種善), 지돈녕부사 이종학(李種學), ..

[스크랩] ?[강원도 원주] 장정공 송와 이기(莊貞公 松窩 李?)? 묘소

장정공 송와 이기(莊貞公 松窩 李墍) 1522(중종 17)∼1600(선조 3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자는 가의(可依)이다. 호는 송와(松窩)이다. 장윤(長潤)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질(秩)이다. 아버지는 지란(之蘭)이며, 어머니는 원선(元璿)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시서에 능했..

[스크랩] (정신택주 권씨선조님) 묘지명으로 보는 고려시대 여성의 삶

묘지명으로 보는 고려시대 여성의 삶 -이색 처 정신택주 권씨를 중심으로 <요 약> 1. 성장과 혼인 ① 1331년(충혜왕1) 명문 안동 권씨 가문의 2남 5녀 중 넷째로 태어남. ② 조부 권한공은 충선왕과 충숙왕 때 고위 관직을 역임하고 수상까지 지냈으며, 아버지도 재상을 지냄. ③ 1341년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