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樂山樂水. 同年而語. 子見南子 / 성호사설 經史門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2권 > 경사문(經史門) > 요산요수(樂山樂水) 요산요수는 정자(程子)가 인증만 하고 속 뜻은 분명히 밝히지 않았으니, 그 인(仁)과 지(智)를 포함했다는 깊은 뜻을 무엇으로써 깨달을 것인가? 인과 지란 것은 인심으로서 말하면, 인이 체(體)이고 의(義)가 용(.. 묵향 2013.04.16
[스크랩] 星湖 李瀷 / 星湖全集 . 성호전집(星湖全集) 星湖先生全集 目錄 2권, 原集 68권, 附錄 2권 합 36책 소장처 : 서울대학교 규장각 저자 이익(李瀷) 1681년(숙종 7) ~ 1763년(영조 39) 자 : 子新. 호 : 星湖. 본관 : 驪州. 近畿 實學派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숙종 7 1681 신유 康熙 20 1 10월 18일, 庚申換局.. 묵향 2013.04.16
[스크랩] 小人勿用. 際遇之難. 孝悌力田 / 성호사설 經史門.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3권 > 경사문(經史門) > 소인물용(小人勿用) 사괘(師卦) 상육(上六)001]에, “국가를 개척하고 가정을 잇는 데는 소인(小人)을 쓰지 말라[開國承家小人勿用].” 했는데, 부자(夫子)가 해설한 상(象)에는,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히기 때문이다[必亂邦也].’ 하.. 묵향 2013.04.16
[스크랩] 석전(釋奠).경해(經解).문도(聞道).지각(知覺) / 성호사설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4권 > 경사문(經史門) 석전(釋奠) 문왕세자(文王世子)001]에, “무릇 처음 학교(學校)를 세우면 반드시 선성(先聖)과 선사(先師)에게 석전(釋奠)을 지낸다.” 하였고, 그 주에 ‘당우(唐虞) 때는 기(夔)ㆍ용(龍)ㆍ백이(伯夷)가 있었고, 주(周) 나라 때에는 주공(周.. 묵향 2013.04.16
[스크랩] 구인(求仁).충서(忠恕).삼인(三仁) / 성호사설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3권 > 경사문(經史門) 구인(求仁) 성인(聖人)의 도(道)는 《논어(論語)》 한 책에 다 갖춰져 있다. 그러나 오히려 성(性)을 말하고 심(心)을 논한 것은, 후유(後儒)들의 허다한 말과 글귀처럼 되어 있는 것은 보이지 않는다. 일찍이 성인이 가장 경솔하게 허여하.. 묵향 2013.04.16
[스크랩] 一貫. 毋我. 聞韶. 聖人之言 / 성호사설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1권 > 경사문(經史門) 일관(一貫) 공자(孔子)ㆍ증자(曾子)ㆍ자사(子思)ㆍ맹자(孟子)는 도통(道統)을 서로 전해 왔다. 공자가 증자에게 전해 준 것은 일관(一貫)에 더 지난 것이 없었고, 자사가 맹자에게 전해 준 것도 역시 이 같은 데에 지나지 않았다. 공자는 .. 묵향 2013.04.16
[스크랩] 伯夷. 孤竹安市. 生之謂性. / 성호사설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0권 > 경사문(經史門) 백이(伯夷) 《지지(地志)》001]에 고죽국(孤竹國)002]은 요동(遼東) 지방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백이003]가 주(紂)를 피해서 북해(北海) 가에 살았었다고 했으니, 소위 북해란 요동을 버리고는 다시 그런 지방이 없는데, 백이가 이미 나라를 .. 묵향 2013.04.16
[스크랩] 生之謂性. 衛靈不喪. 五福不言貴 / 성호사설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4권 > 경사문(經史門) 생지위성(生之謂性) “생긴 그대로를 성(性)이라 한다.” 함은 고자(告子)에서 나온 말인데, 이미 맹자(孟子)의 논단(論斷)을 겪었다. 정자(程子)가 만약 도체(道體)를 밝게 보지 않았다면 감히 다시 이런 말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 당.. 묵향 2013.04.16
[스크랩] 鄕愿. 驕吝. 克己復禮. 使臣以禮. 執藝以諫 / 성호사설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4권 > 경사문(經史門) 향원(鄕愿) 공자(孔子)가, “나의 문앞으로 지나면서 나의 집에 들어오지 않아도 내가 유감스럽게 여기지 않을 자는 오직 향원(鄕愿)뿐일 것이다.” 하였으니, 향원은 덕을 해치기 때문이다. 착하지 못한 사람에 대해 이름하려면 얼마든.. 묵향 2013.04.16
[스크랩] 道問學. 銘. 忌功. / 성호사설 . 성호사설 > 성호사설 제23권 > 경사문(經史門) 도문학(道問學) 중용(中庸)에, “덕성(德性)을 높이되 문학(問學)을 말미암아야 하며, 광대(廣大)함을 이루되 정미(精微)함을 다하여야 하며, 고명(高明)한 경지에 이르되 중용(中庸)을 말미암아야 하며, 옛것을 익히되 새것을 알아야 하.. 묵향 2013.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