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실

[스크랩] 상량문. 사주. 혼서. 신주

장안봉(微山) 2013. 10. 10. 08:49

   

        실용서예는 써 줄 일이 많다. 이 메모를 보고 쓴다

    * 상량문上樑文  쓰기

 西紀二영영八年一月五日午時 立柱上樑 大主 洪吉童

  용龍 한자는 거꾸로 쓴다. 서기를 쓰기 싫으면 檀紀. 佛紀 등으로 쓴다. 양자는 대들보량(樑)으로서 나라양(梁)자를 쓰기도 한다.

  대들보 길이가 넉넉하면 기문(祈文)을 쓴다. 제일 많이 쓰는 말씀은 應天上之三光  備人間之五福이다, 뜻 "하늘의 삼광이 응하고, 인간의 오복을 갖추었도다"

  위 例文에서 대주(집주인) 성명을 쓰지 않기도 하고, 더 자세하게 집지은이들 즉 '도목수' '벽돌공'과 시작 일자 준공일자 등을 쓰기도 한다.     

 상량문은 집의 四柱사주이다

  입주상양은 기둥을 세우고 대들보를 올렸다는 뜻이다.

  지금은 벽돌을 쌓고. 콩크리트 슬라브를 하여 집을 지으므로 입주상량立柱上樑을 築塼覆蓋축전복개로 고쳐 쓰기도 한다.

   머릿돌

서양식으로 머릿돌이라고 돌에 새겨 잘보이는 곳에 부친다. 다음은 예문이다. 처음 예문은

준공 일자이다.

   머릿돌          머릿돌

  2008. 5. 20.         시공 2008. 4. 15

                         준공 2008. 8. 20 

 

  

 

  박경동 선생님 카페에서 가져 왔습니다.

다른것이 있네요, 備人間之五福은 같은데 應天上之光이 다르네요,  3광은 해와 달과 별인데 둘은 무엇일까요. 소생이 설명한 중에 아래 虎(범호) 와 龜(거북구)은 같이 씁니다.

大主도 집밖앗주인이고 택주도 집주인입니다. 같이 씁니다. 대주의 이름을 쓰도록 설명했는데 사진에는 택주의 난 해인가 보네요. 이것은 못 보던 것입니다.  이해가 되는 분들은 의사대로 하시세요.  

 

     * 사주四柱  쓰기

" 戊子 正月 二十二日 丑時 生"

    무자    정월   이십이일    축시

무자는 태어난해.  정월은 난달. 이십이일은 난날. 축시 난시간이다.

  봉투 겉봉에는 붙임 있는 쪽 오른쪽에  사주四柱 또는 四星사성이라고 쓰고 붙이지 않은 쪽은 李(사돈네姓을씀)先生宅  下執事 入納이라 쓴다.

 

     * 연길涓吉  쓰기

 奠雁 戊子年 三月 十五日 午時  (전안 삼월 십오일 오시)

 納幣 同日 先行  (납폐 동일 선행)

          二千八年 二月 五日

  전안은 예식 올리는 해 달 날 시이다,

  납폐는 폐백 드리는 일이다. 지금은 예식일 전날 저녁에 함을 판다. 함을 판다고하는 속언의 절차가 납폐(폐백드리는)의 절차이다. 그러므로 同日先行은 다른 말로 고쳐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납폐동일선행은 빼고 써야 옳을 것이다.

  겉봉에 쓰는 것은 "四星" 쓰는 자리에 "涓吉"연길이라 쓰고. 이선생댁 하집사 입납 자리에 그대로 쓰되 사돈네 성을 쓴다. 

 

      六十甲子 육십갑자  띠 방위 시간 찾아보기

    天干천간 ; 甲乙丙丁戊己庚申壬癸  

    地支지지

지지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띠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방위    북  북북동 북동동   동  남동동 남남동   남     남남서 남서서   서    북서서  북북서

시간   23-1 1-3      3-5      5-7  7-9      9-11  11-13   13-15   15-17   17-19  19-21   21-23 

 방위중에 *동북(북동)은 간艮  *동남(남동)은 손巽  *서남(남서)은 곤坤  *서북(북서)은 건乾

 

 

      月建 월건   季節계절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갑년기년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을년경년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병년신년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정년임년  임신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무년계년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갑자  을축                     

  계절       立春 雨水 驚蟄   春分 淸明 穀雨     立夏 小滿 芒種   夏至 小暑 大暑   立秋 處暑 白露 秋分 寒露 霜降       立冬 小雪 大雪   冬至 小寒  大寒

** 계절 쉽게 외우기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백로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춘 하 추 동의 두 절기를 먼저 외우고 사이의 두계절을 외운다. 

 ** 입춘은 서서 보아야 봄(立春)이 보일뿐 봄에 들어선것(入春)은 아니므로 건강에 유의하해야 함   

   **  오행 五行  *상생相生  *상극相克

상생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상극   木克土    土克水   水克火   火克金    金克木    

 

   ** 銘旌명정 쓰기 (돌아가신 분의 상여 앞에 들고가는 붉은 깃발)

남자     學生金海金公之柩

여자    孺人淸州韓氏之柩

 살아서도 여덟자 죽어서도 여덟자라고 한다. 四柱가 八字이고 명정銘旌도 팔자이다.

 남자 ; 학생은 벼슬이 있으면 벼슬 이름으로 바꾸어 쓰고, 김해김씨 쓴곳에는 亡人의 본관성으로 바꾸어 쓴다,

 여자 ; 유인은 부인夫人 등으로 쓰고. 청주한씨도 망인亡人의 본관 성으로 바꾸어 쓴다.

 

  ** 지방紙榜 쓰기

顯考 學生府君 神位

顯비 孺人密陽朴氏 神位 

  顯祖考 學生府君 神位

  顯祖비 孺人淸州韓氏 神位

    顯曾祖考 學生府君 神位

    顯曾祖비 孺人東萊鄭氏 神位

      顯高祖考 學生府君 神位

      顯高祖비 孺人仁川李氏 神位

외우기

顯현; 높이는 뜻 . 考고; 죽은아버지(생시 父) . 學生학생; 벼슬 이름.  府君부군; 남자를 높여 칭함.  神位신위 ; 신을 모심

  *달라지는 내용1;  祖조 曾祖증조 高祖고조는 考고  앞에 넣어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가 되게한다.

  *달라지는 내용2; 學生은 벼슬 이름이므로 面長면장 ,郡守군수 ,書記官서기관 ,主事주사 등등으로 바꾸어 쓴다  

  *달라지는 내용1 ; 위에서 죽은어머니비는 여자여변에 비할비 쓰는 글자인데 폰드에 없어 유감이다.  조. 증조. 고조.는 비앞에 써서 할머니 증조할머니 고조할머니가 되게 한다.

  *달라지는 내용2 ;  유인은 어떤 벼슬의 부인이라는 호칭이다. 그러므로 남편의 벼슬에 맞게 빠꾸어 쓴다. 옛날에는 孺人 端人 安人 宜人 恭人 令人 淑人 淑夫人 貞夫人 貞敬夫仁이엇고.  지금은 벼슬에 관계 없이 夫人부인을 쓰면 될것이라 생각한다.

   *달라지는 내용3 ; 밀양박씨 청주한씨의 성씨는 할머니 성씨에 따라 쓴다.

  * 위와 같이 이해하고 외어두면 例文예문을 찾아보지 않고 쓸수 있다.   

 

       * 祠堂에 모시는 神主신주 쓰기 

顯 十一代祖考 縣令府君  神位

顯 十一代祖비 令人白川趙氏 神位

   顯 五代祖考 學生府君 神位

    顯 五代祖비 孺人驪興閔氏 神位

신주에 쓰는 신위는 지방에 쓰는 신위와 같은데 몇代祖考,몇代祖비로 쓴다.

    * 神主函신주함  만들기

신주함은 네모의 함인데 侍奉(아래)函과 덮개(위)함을 따로 만들어 평상시에는 덮개함으로 덮어 놓고  제사 지낼때는 열어 놓고 지낸다.

  神位는 시봉함에 써서 모시는데. 신위 나무는 거의 밤나무를 쓴다. 밤나무를 구하지 못하면 제사에 쓰는 감나무 배나무 등을 쓴다. 

  신위 새기는 나무 이외의 재료는 깨끗한 나무 판자로 한다.

       * 神主 모시는 장소 차례 

* 昭穆制소목제  ; 가운데에 가장 윗분을 모시고.  서쪽.. 제사지내는 자손의 위치에서 왼쪽에 다음 윗분을 모시고 그 다음분을 오른쪽에 모신다. 그러면 1은 중앙.. 2.4.6.8은 왼쪽 昭소열이 되고 3.5.7.9는 오른쪽 穆목열이 된다. 할아버지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할머니는 항상 할아버지의 오른쪽에 모신다. 

* 西上制서상제 ; 제일 서쪽에 제일 윗분을 모시고 동쪽(제사자손의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대로 모신다.

    * 昭穆制는 신위가 열분 이하일때는 많이 쓰시는 제도이지만 신위가 많아지면 어려움이 많아, 많은 가문에서  西上制로 모신다.

  

  

  

  

    

 

 

  

출처 : 승천 실용 서예
글쓴이 : 승천 원글보기
메모 :

'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제축문과자방(연웅)  (0) 2014.03.01
[비문을 쓰는 법]  (0) 2014.02.12
[스크랩] 상량문 쓰는 법  (0) 2013.10.10
[스크랩] 상량문 쓰는 법  (0) 2013.10.10
[스크랩] 생활의 지혜 / 혼예 등 일절 소개  (0) 201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