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을 쓰는 법]
① 刻石 · 立石 : 碑碣(모난 것을 ‘碑’ 둥근 것을 ‘碣’이라 한다.
● 碑 : 隋 · 唐 시대에 5품관 이상은 龜趺에 螭首를 씌워 碑라 하였다.
● 碣 : 隋 · 唐 시대에 6품관 이하는 사각대와 圓首를 씌워 碣이라 하였다.
② 表石 : 품계 · 관직 · 이름만 앞에 새기고, 뒤는 글을 새기지 않는다.
③ 墓表 : 뒤에 글을 새겼으나 ‘銘’이 없다.
④ 碑文의 내용
● 序 : 亡者의 名 · 號 · 字 · 貫鄕 · 선조의 덕 · 家系 · 生日과 沒日 · 나이 · 타고난 자질과
품격 · 관직과 작위 · 학덕 · 품행 · 업적 · 공 · 부인과 자손 · 묘소 · 시호 등을 기록
● 銘 : 序뒤에 조상의 공덕이나 자손들이 지켜야 할 교훈을 전하기 위한 내용을 音韻형으로
쓴 것으로 노래와 詩로 부를 수 있다.
● 序 · 銘의 合 :
墓碣(墓碑)銘 竝書라고 하며, 碑文 碣文 또는 墓碑文 墓碣文이라고 한다.
⑤ 誌石 : 墓의 失傳을 대비하여 碑文과 유사한 내용을 새긴 돌 판으로 壙中에 묻으므로
壙誌라고도 한다. 새긴 내용은 誌銘이라고 한다.
'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복예 (0) | 2014.03.01 |
---|---|
시제축문과자방(연웅) (0) | 2014.03.01 |
[스크랩] 상량문. 사주. 혼서. 신주 (0) | 2013.10.10 |
[스크랩] 상량문 쓰는 법 (0) | 2013.10.10 |
[스크랩] 상량문 쓰는 법 (0)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