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二十三章 .
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 驟雨不終日.孰爲此者, 天地, 天地尙不能久, 而
희언자연, 고표풍불종조, 취우불종일.숙위차자, 천지, 천지상불능구, 이
況於人乎.故從事於道者, 道者同於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同於道者,
황어인호.고종사어도자, 도자동어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동어도자,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同於失者, 失亦樂得之.信不足, 有
도역락득지, 동어덕자, 덕역락득지, 동어실자, 실역락득지.신부족, 유
不信.
불신
말이 적은 게 자연이라 그런 까닭으로 회오리 바람이 한나절을 못가고 사나운 비바람이 종일을 못 가나니 누가 이러한 것을 한다 할 것인가 ? 바로 하늘땅이 하는 것인지라 天地(천지)라 하는 것이 하는 일도 오래가지 않거늘 하물며 人間之事(인간지사)야 말할 나위 있을 것인가 ? 그러므로 道(도)라 하는 것에 從事(종사)하게되는 것인데 道(도)라 하는 것은 道(도)에 같이하는 것 하나로 同化(동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德(덕)이라 하는 것은 역시 마찬가지로 덕이라 하는 것에 한가지로 동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벗어버린다 하는 것 역시 그 해탈 얽메임에서 벗어나선 그 허물을 버리는 것에 한가지로 同化(동화)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길과 同化(동화)되려고 하는 자는 길 역시 그 얻는 것을 좋아하고 德(덕)과 같이하려는 자는 덕 역시 그 얻는 것을 즐거워하며 解脫(해탈)을 渴望(갈망)하는 자 역시 그 해탈이라 하는 것이 얻어 가지는 것을 좋다고 읊조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논리라면 그 주장들이 不足(부족)한 것이 있어선 그런 것을 신용하게 된다면 역시 믿을 것 못될 것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所以(소이) 그 主長(주장)들 여러 잡다한 것이 많지만 그 原初的(원초적)인 길만 못한 것이므로 그 不信(불신)함이 존재 하게되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要(요)는 길을 추종하라는 그런 老聃(노담)의 辨說(변설)이다
* 本文 第二十三章= 말수가 드믄(希言) 자연을 말함은 회오리 바람이 아침을 가지 못함인가? 비바람 세차게 내리는 비가 종일을 가지 못함을 말함인가? 뉘 이러함을 갖다 자연이라 하였는가? 하늘 땅 하늘땅 하나 오히려 하늘 땅도 오래 영구함이 없거늘 하물며 인간사이야 말할 나위리요? 그런 까닭에 길에 종사한다 함인 것이다 길에 종사하는 자란 길에 같이하는 자요 덕에 종사하는 자는 덕과 함께 하는 것이요 잃어버림에 종사하는 자는 잃어버림과 같이하는 자라 길과 함께 하는 자는 길 역시 즐거이 받아들이고 덕과 함께 하는 자는 덕 역시 즐거이 받아들인다(* 덕될만한 것이 자신을 알아줌을 좋아서 즐거워한다는 뜻임) 잃어버림과 같이하는 자는 잃어버림 역시 즐겁게 받아들인다 (* 사람이 마땅히 끊어버릴걸 끊어버린다면 무슨 서로가 미련을 갖고 얽매여 들리요 서로가 풀려 벗어나 홀 가분 할 따름이지...... 세속 어떤 사람들은 영리에 눈이 어두워 이를 못 벗어나 모든 삶의 구애에 얽매여 허덕인다) 부족 한 점을 감싸 믿어주고 불신할만한 것이라도 부지케 해서 존재의 진가를 발휘케 한다 (*믿음이 부족한 점이 있는 것에까지 밋치게 하고 불신 하려드는 자 들에게 까지도 존재케 한다)
* 회소 성을 자연이라 말한다 회오리바람이 하루아침을 가지 않고 줄기차게 내리는 비가 하루를 못 간다 누가 이러한 것을 하는가 하늘 땅 이란 자이다 하늘땅도 오히려 오래가지 못하거늘 하물며 사람이야 말할 것 있으랴? 그러므로 [옛 의] 길이라 하는 것에 종사하게 된다 길이라 하는 것은 길에 같이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덕이란 것은 덕에 같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잃어버린다하는 것은 잃어버림에 같이하는 것을 말한다 할 것이라
길이란 것에 같이하려 드는 자는 길도 역시 얻어짐을 좋아하고, 덕이란 것에 같이하려 드는 자는 덕 역시 자신이 그에게 얻어짐을 즐거워하고, 벗어버릴 것과 같이하는 자는 그 벗어날려 하는 것 역시 그 탈출 벗어남 얻어지는 것을 [소이 그로부터 버려지는 것을] 좋아한다 이래 믿음이 부족하여선 그 불신함을 갖게되는 것이라 불신함을 갖게된다면 어떻게 오래 갈 것인가 다 믿음이 넉넉한 가운데 위와 같이 뜻한바가 이뤄지는 것이다
蘇註
소주
言出於自然 則簡而中 非其自然而强言之 則煩而難信矣 故曰道之出口 淡
언출어자연 즉간이중 비기자연이강언지 즉번이난신의 고왈도지출구 담
乎其無味 視之不足見 聽之不足聞 用之不可旣 此所謂希言矣 陰陽不爭
호기무미 시지부족견 청지부족문 용지불가기 차소위희언의 음양부쟁
風雨時至 不疾不徐 盡其勢之所至而後止 若夫陽亢於上 陰伏於下 否而不
풍우시지 불질불서 진기세지소지이후지 약부양항어상 음복어하 부이부
得洩 於是爲飄風暴雨 若將不勝 然其勢不能以終日 古之聖人言出於希 行
득설 어시위표풍폭우 약장불승 연기세불능이종일 고지성인언출어희 행
出於夷 皆因其自然故久而不窮 世或厭之 以爲不若詭辯之悅耳 怪行之驚
출어이 개인기자연고구이불궁 세혹염지 이위불약궤변지열이 괴행지경
世 不知其不能久也 孔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 故曰仁者之過易辭 志於
세 불지기불능구야 공자왈 구지어인의 무악야 고왈인자지과역사 지어
仁猶若此 而 志於道者乎 夫苟從事於道矣 則其所爲 合於道者得道 合於
인유약차 이황지어도자호 부구종사어도의 즉기소위 합어도자득도 합어
德者得德 不幸而失 雖失於所爲 然必有得於道德矣 不知道者 信道不篤
덕자득덕 불행이실 수실어소위 연필유득어도덕의 부지도자 신도불독
因其失而疑之 於是益以不信 夫唯知道 然後不以得失疑道也.
인기실이의지 어시익이불신 부유지도 연후불이득실의도야.
* 소씨 주석하대.
자연에서 나온다 말함은 곧 간이한(*쉽고 간소한) 가운치다 그 자연이 아니고 억지주장은 번거롭고 믿게 하기 어려움에서 리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입에서 내는 길은 그 맛없음에 담백하다 볼려고 해도 보지 못하고 들을려 해도 듣지 못하고 쓸려해도 이미 지난 것이라 (*다한 것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른다) 이를 일러 말수가 드믄 것이라 한다 음과 양이 다투지 않고 풍우가 때로 이름이 급하지도 느리지도 않아 그 세가 완만함을 다한 후에 머무른다 만일 그 양이란 게 위로만 높이 뜨고 음이란 게 밑으로만 엎드려서 서로 사귀지 못하고 서로 접촉해 그 기운을 발산치 못한다면 이에 회오리바람이나 폭우처럼 되어 그 세를 이기지 못할 듯이 나대나 그러나 그 勢(세)란 게 종일을 못 간다 옛 성현이 말수는 드믈게 하시대 실행하심은 손쉽게 하시니 모두 그 자연으로 인하였음이라 그러므로 오래되어도 궁색해지지 않았다 세상에 혹두 권태나 염증을 느낄 정도에 있는 것이 궤변을 즐겨 함만 못할 것이라 하고 괴이한 행위로 세상을 놀라킴에 그 오래가지 못할걸 알지 못한다 공자는 말하길 진실로 어짊에 뜻을 둔 자는 미워할게 없다 하였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어진 자의 허물은 말을 쉽게 함에 있다 했다 어짊에 뜻을 둠도 이러할 진데 하물며 길에 뜻을 둠에야 말할 것 있으랴? 진실 되게 길의 일에 종사하면 그 위하는 게 길에 합할 것이면 길을 얻고 덕에 합할 것이라면 덕을 얻게 되리라 불행 이도 끊어 버릴게 있어서 비록 하던 바를 미련 없이 끊어 버린다 하더라도 그러나 필히 도덕에 존재 가치를 얻게 될 것이다 길을 모르는 자 길 믿음을 독실하게 않는다 그로 인하여 그 끊어 버릴걸 의심 낸다 이래서 더욱 불신함이다 오직 길을 안 연후에 라야 얻고 잃음으로써 길을 의심 내려 들지 않으리라
如註
여주
聽之不聞名曰希 言而知其所以言 則言出於不言 而聽之不聞矣 故曰希言
청지불문명왈희 언이지기소이언 즉언출어불언 이청지불문의 고왈희언
希言者以道言也 故曰自然飄風驟雨 成之暴戾 非出於常然也 故雖天地爲
희언자이도언야 고왈자연표풍취우 성지폭려 비출어상연야 고수천지위
之 尙不能終朝終日之久 人之言不出於自然 則多而數窮宜矣 故唯從事於
지 상불능종조종일지구 인지언불출어자연 즉다이수궁의의 고유종사어
道者 爲能無我 無我 則道也 德也 失也 吾不見其所以異 故道者我則同於
도자 위능무아 무아 즉도야 덕야 실야 오불견기소이리 고도자아즉동어
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 而恢詭譎怪 通爲一也 夫唯不見其所以異而與
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 이회궤휼괴 통위일야 부유불견기소이리이여
之同 則彼雖有以異我 而未嘗去我也 故曰 同於道者道亦得之 同於德者
지동 즉피수유이리아 이미상거아야 고왈 동어도자도역득지 동어덕자
德亦得之 同於失者失亦得之 唯其信不足 則於是乎有道有德有失 而不同
덕역득지 동어실자실역득지 유기신부족 즉어시호유도유덕유실 이부동
矣 故曰信不足有不信.
의 고왈신부족유불신.
* 여씨 주석하대. 들을려도 듣지 못함은 말씀이 희미해서다 그말씀의 하고자 하는 뜻의 처지나 요지를 알면(* 말하고자 하는 향방을 알면) 말씀이 말씀 아니함에서 나올 수 있고 들리지 않는다 해도 들으리라 그러므로 말하길 말수가 적은 드믄 말씀(希言)이라 한다 말수가 적은 것은 길로써 말씀하기 때문이다 (*譯者言= 그렇다면 길의 말씀化는 입에서 형언해내는 말씀만이 아닌가? 그렇다 할 것이니 세상우주가 곧 길(*道)이요 그것은 곧 사람의 입에서 형용해내는 말씀과는 관찰의 차원이 있다 할 것이다) 회오리바람과 후두득비가 사나움을 이룸이 자연이라서 평상시에 정상적으로 생기는 거완 다름인지라 그런 까닭에 비록 하늘땅이 한다해도 아침을 못 가고 종일을 못 간다 (*즉 非常道는 한참을 못 베겨 난다는 뜻) 사람도 말씀을 자연스럽게 내지 않으면 억지로 꾸며서 내는 것이라 말은 많아도 자주 궁색해 지는 게 당연하리라 그러므로 결론컨대 길에 종사하는 자는 내라 함이 없음에 능숙해야 되고 내라함이 없으면 곧 그것이 길이고 덕이고 미련을 끊어 버린 것이 된다 (*譯者言=요런 뜻에 말을 이용해 먹으려는 얄팍한 무리가 생겨날까 의심스럽다 대략은 신앙에 심취해 있는자들이 감언하길 즐기고 그를 포섭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즉 나를 버리라 하곤 자기네의 사상을 파종하려 드는 것이다 지혜가 있는 자는 저울질을 잘한다 저울질을 해봐서 득이 될만한 것이라면 포섭전파를 역이용하라 이런 말도 또한 감언에 속한다 할 것이다 감언이라 생각하면 모든게 의심스러워 성현에 말조차 감언 아닌 게 없다 받아들여 소화시키는 자가 판가름을 잘한다면 무슨 여러 잡다한 게 병될 게 있을 건가? ) 내- 그와 다른걸(쓰는걸)보지 못했다 그러므로 길이란 게 나일 것 같으면 길과 함께 하는 것이요 덕일 것 같으면 덕과 함께 하는 것이요 미련을 끊어버리는 것이라면 그와 또한 같이해서 기괴한 권모술수와 여러 방책들이 통털어 하나가 될 것이다 (*하나를 위하려 들 것이다) 대저 오직 달리 쓸걸 보지 못해서 더불어 함께 하면 저 가 비록 나를 이상히 여기는 게 존재 한다하더라도 일찍이 나를 버리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길과 함께 하려는 자는 길도 역시 받아 드릴려(*저쪽이 도로 이쪽을 얻을 려)하고 덕과 함께 할려는 자는 덕 역시 받아 드릴려 하고 미련을 끊어 버림과 같이 할려는 자는 그 주체 대상이 역시 받아들이게 된다 오직 결론컨대 그 부족 한 것이라도 유족한 듯 믿으면 그렇게 길의 존재가 있게 되고 덕의 존재를 두게 되고 끊어버림의 존재를 두게 된다 그렇게들 한가지로 못하는지라 그러므로 부족한걸 믿으면 믿지 못할게 존재케 된다 함인 것이다(* 오직 그 믿음이 부족하면 이에 하여금 길의 존재와 덕의 존재와 미련을 끊는 존재와 같이하지 못할 것이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할게 존재한다 했다)
朴註
박주
希言簡淡之言也 所謂貴言者是也 自然不苟崖異而隨順於物也 風雨天地之
희언간담지언야 소위귀언자시야 자연불구애리이수순어물야 풍우천지지
所爲而飄驟 則失於自然 故尙不能久人之多言 能無窮乎 故從事於道者 與
소위이표취 즉실어자연 고상불능구인지다언 능무궁호 고종사어도자 여
道者居而同於道 與德者居而同於德 與失者居而同於失 同者隨順無違之意
도자거이동어도 여덕자거이동어덕 여실자거이동어실 동자수순무위지의
同於失則同其塵矣 我旣同於彼則彼皆樂得我 是我信而彼信之也 若夫多言
동어실즉동기진의 아기동어피즉피개락득아 시아신이피신지야 약부다언
者 則喜立異而物與之爲敵 故曰信不足有不信 蘇氏曰言出乎自然 則簡而
자 즉희입리이물여지위적 고왈신부족유불신 소씨왈언출호자연 즉간이
中非其自然而强言之 則煩而難信矣 故曰道之出言淡乎其無味 視之不足見
중비기자연이강언지 즉번이난신의 고왈도지출언담호기무미 시지부족견
聽之不足聞 用之不可旣 此所謂希言矣
청지부족문 용지불가기 차소위희언의
*박씨 주석하대. 말수가 적은 것은 간결하고 담백한 말씀을 뜻한다 이른바 말씀하는 자체를 귀하게 여기는 게 바로 그렇다 자연이란 실로 어디 유별나게 동떨어져 다른 게 아니고(*이상한대 언덕 삼는 게 아니고) 유순하게 사물을 쫓음을 뜻한다 비바람은 하늘땅이 짓는 것이라도 회오리치고 후다닥거려 사납게 나대면 자연에 순리를 잃은 모습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렇게 나댐은 오래갈 수 없는 것이다 사람도 말이 많으면 궁색함이 없을 손가? 그러므로 길에 종사하는 사람은 길과 더불어 하는 것이니 머물러서 길과 함께 하는 것이고 덕과 더불어 하는 자는 머물러서 덕과 함께 하는 것이고 잃어버림과 더불어 하는 자는 머물러서 잃어버림과 함께 하는 것이다 같이한다는 것은 유순하게 쫓아 어김이 없다는 뜻이다 잃어버림과 같이함은 그 몽진과 같이함이다 (*譯者言= 모든 걸 잊고 내 자신을 내어 던진다 그것이 구도자의 갈 길이다 하고 주장을 세운다면 찌든 세파 몽진사회에 파뭍혀서 세상과 함께 한다는 뜻이니 이는 자기를 각고와 궂음속에 내어던져 득도 대달 성취하겠다는 구도자의 한 모습이라 할 것이다=*길 자신이 몽진과 함께 한다는 뜻 표현을 我가 무엇을 어떻게 한다로 여기서 말하는 것 같기도 하다) 내- 이미 저와 같이 한다면 저- 다들 내 얻음을 즐거워 할 것이니 이는 내가 저들을 믿음으로서 저들이 나를 믿게 한다는 뜻이다 이를테면 대저 말이 많은 자일수록 이상한걸 세우길 깃거워 해서 物事(물사)의 이치와 더불어 대적하길 즐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 당함이 있다는 것이다 소씨는 말하길 말씀이 자연스럽게 나오면 간결하면서도 사리에 맞고 부자연 스럽게하면 억지로 꾸며서 하는 것이라 곧 변명 비슷하게 번거롭고 신빙하기 어렵게 됨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길로 인하여 말을 내면 그 맛없음이 담백하고 보는 게 부족한 듯 하고 듣는 게 어정쩡해 보이고 행동이 민첩치 못한 것 같다 (*用之=씀= 사용=활동함. 不可旣=다하지 못함=몸놀림을 제대로 갖추어 하지 못하는 것 같음) 이러함을 일러 말수가 적다 함인 것이다
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 驟雨不終日.孰爲此者, 天地, 天地尙不能久, 而
희언자연, 고표풍불종조, 취우불종일.숙위차자, 천지, 천지상불능구, 이
況於人乎.故從事於道者, 道者同於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同於道者,
황어인호.고종사어도자, 도자동어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동어도자,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同於失者, 失亦樂得之.信不足, 有
도역락득지, 동어덕자, 덕역락득지, 동어실자, 실역락득지.신부족, 유
不信.
불신
말이 적은 게 자연이라 그런 까닭으로 회오리 바람이 한나절을 못가고 사나운 비바람이 종일을 못 가나니 누가 이러한 것을 한다 할 것인가 ? 바로 하늘땅이 하는 것인지라 天地(천지)라 하는 것이 하는 일도 오래가지 않거늘 하물며 人間之事(인간지사)야 말할 나위 있을 것인가 ? 그러므로 道(도)라 하는 것에 從事(종사)하게되는 것인데 道(도)라 하는 것은 道(도)에 같이하는 것 하나로 同化(동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德(덕)이라 하는 것은 역시 마찬가지로 덕이라 하는 것에 한가지로 동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벗어버린다 하는 것 역시 그 해탈 얽메임에서 벗어나선 그 허물을 버리는 것에 한가지로 同化(동화)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길과 同化(동화)되려고 하는 자는 길 역시 그 얻는 것을 좋아하고 德(덕)과 같이하려는 자는 덕 역시 그 얻는 것을 즐거워하며 解脫(해탈)을 渴望(갈망)하는 자 역시 그 해탈이라 하는 것이 얻어 가지는 것을 좋다고 읊조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논리라면 그 주장들이 不足(부족)한 것이 있어선 그런 것을 신용하게 된다면 역시 믿을 것 못될 것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所以(소이) 그 主長(주장)들 여러 잡다한 것이 많지만 그 原初的(원초적)인 길만 못한 것이므로 그 不信(불신)함이 존재 하게되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要(요)는 길을 추종하라는 그런 老聃(노담)의 辨說(변설)이다
* 本文 第二十三章= 말수가 드믄(希言) 자연을 말함은 회오리 바람이 아침을 가지 못함인가? 비바람 세차게 내리는 비가 종일을 가지 못함을 말함인가? 뉘 이러함을 갖다 자연이라 하였는가? 하늘 땅 하늘땅 하나 오히려 하늘 땅도 오래 영구함이 없거늘 하물며 인간사이야 말할 나위리요? 그런 까닭에 길에 종사한다 함인 것이다 길에 종사하는 자란 길에 같이하는 자요 덕에 종사하는 자는 덕과 함께 하는 것이요 잃어버림에 종사하는 자는 잃어버림과 같이하는 자라 길과 함께 하는 자는 길 역시 즐거이 받아들이고 덕과 함께 하는 자는 덕 역시 즐거이 받아들인다(* 덕될만한 것이 자신을 알아줌을 좋아서 즐거워한다는 뜻임) 잃어버림과 같이하는 자는 잃어버림 역시 즐겁게 받아들인다 (* 사람이 마땅히 끊어버릴걸 끊어버린다면 무슨 서로가 미련을 갖고 얽매여 들리요 서로가 풀려 벗어나 홀 가분 할 따름이지...... 세속 어떤 사람들은 영리에 눈이 어두워 이를 못 벗어나 모든 삶의 구애에 얽매여 허덕인다) 부족 한 점을 감싸 믿어주고 불신할만한 것이라도 부지케 해서 존재의 진가를 발휘케 한다 (*믿음이 부족한 점이 있는 것에까지 밋치게 하고 불신 하려드는 자 들에게 까지도 존재케 한다)
* 회소 성을 자연이라 말한다 회오리바람이 하루아침을 가지 않고 줄기차게 내리는 비가 하루를 못 간다 누가 이러한 것을 하는가 하늘 땅 이란 자이다 하늘땅도 오히려 오래가지 못하거늘 하물며 사람이야 말할 것 있으랴? 그러므로 [옛 의] 길이라 하는 것에 종사하게 된다 길이라 하는 것은 길에 같이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덕이란 것은 덕에 같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잃어버린다하는 것은 잃어버림에 같이하는 것을 말한다 할 것이라
길이란 것에 같이하려 드는 자는 길도 역시 얻어짐을 좋아하고, 덕이란 것에 같이하려 드는 자는 덕 역시 자신이 그에게 얻어짐을 즐거워하고, 벗어버릴 것과 같이하는 자는 그 벗어날려 하는 것 역시 그 탈출 벗어남 얻어지는 것을 [소이 그로부터 버려지는 것을] 좋아한다 이래 믿음이 부족하여선 그 불신함을 갖게되는 것이라 불신함을 갖게된다면 어떻게 오래 갈 것인가 다 믿음이 넉넉한 가운데 위와 같이 뜻한바가 이뤄지는 것이다
蘇註
소주
言出於自然 則簡而中 非其自然而强言之 則煩而難信矣 故曰道之出口 淡
언출어자연 즉간이중 비기자연이강언지 즉번이난신의 고왈도지출구 담
乎其無味 視之不足見 聽之不足聞 用之不可旣 此所謂希言矣 陰陽不爭
호기무미 시지부족견 청지부족문 용지불가기 차소위희언의 음양부쟁
風雨時至 不疾不徐 盡其勢之所至而後止 若夫陽亢於上 陰伏於下 否而不
풍우시지 불질불서 진기세지소지이후지 약부양항어상 음복어하 부이부
得洩 於是爲飄風暴雨 若將不勝 然其勢不能以終日 古之聖人言出於希 行
득설 어시위표풍폭우 약장불승 연기세불능이종일 고지성인언출어희 행
出於夷 皆因其自然故久而不窮 世或厭之 以爲不若詭辯之悅耳 怪行之驚
출어이 개인기자연고구이불궁 세혹염지 이위불약궤변지열이 괴행지경
世 不知其不能久也 孔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 故曰仁者之過易辭 志於
세 불지기불능구야 공자왈 구지어인의 무악야 고왈인자지과역사 지어
仁猶若此 而 志於道者乎 夫苟從事於道矣 則其所爲 合於道者得道 合於
인유약차 이황지어도자호 부구종사어도의 즉기소위 합어도자득도 합어
德者得德 不幸而失 雖失於所爲 然必有得於道德矣 不知道者 信道不篤
덕자득덕 불행이실 수실어소위 연필유득어도덕의 부지도자 신도불독
因其失而疑之 於是益以不信 夫唯知道 然後不以得失疑道也.
인기실이의지 어시익이불신 부유지도 연후불이득실의도야.
* 소씨 주석하대.
자연에서 나온다 말함은 곧 간이한(*쉽고 간소한) 가운치다 그 자연이 아니고 억지주장은 번거롭고 믿게 하기 어려움에서 리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입에서 내는 길은 그 맛없음에 담백하다 볼려고 해도 보지 못하고 들을려 해도 듣지 못하고 쓸려해도 이미 지난 것이라 (*다한 것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른다) 이를 일러 말수가 드믄 것이라 한다 음과 양이 다투지 않고 풍우가 때로 이름이 급하지도 느리지도 않아 그 세가 완만함을 다한 후에 머무른다 만일 그 양이란 게 위로만 높이 뜨고 음이란 게 밑으로만 엎드려서 서로 사귀지 못하고 서로 접촉해 그 기운을 발산치 못한다면 이에 회오리바람이나 폭우처럼 되어 그 세를 이기지 못할 듯이 나대나 그러나 그 勢(세)란 게 종일을 못 간다 옛 성현이 말수는 드믈게 하시대 실행하심은 손쉽게 하시니 모두 그 자연으로 인하였음이라 그러므로 오래되어도 궁색해지지 않았다 세상에 혹두 권태나 염증을 느낄 정도에 있는 것이 궤변을 즐겨 함만 못할 것이라 하고 괴이한 행위로 세상을 놀라킴에 그 오래가지 못할걸 알지 못한다 공자는 말하길 진실로 어짊에 뜻을 둔 자는 미워할게 없다 하였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어진 자의 허물은 말을 쉽게 함에 있다 했다 어짊에 뜻을 둠도 이러할 진데 하물며 길에 뜻을 둠에야 말할 것 있으랴? 진실 되게 길의 일에 종사하면 그 위하는 게 길에 합할 것이면 길을 얻고 덕에 합할 것이라면 덕을 얻게 되리라 불행 이도 끊어 버릴게 있어서 비록 하던 바를 미련 없이 끊어 버린다 하더라도 그러나 필히 도덕에 존재 가치를 얻게 될 것이다 길을 모르는 자 길 믿음을 독실하게 않는다 그로 인하여 그 끊어 버릴걸 의심 낸다 이래서 더욱 불신함이다 오직 길을 안 연후에 라야 얻고 잃음으로써 길을 의심 내려 들지 않으리라
如註
여주
聽之不聞名曰希 言而知其所以言 則言出於不言 而聽之不聞矣 故曰希言
청지불문명왈희 언이지기소이언 즉언출어불언 이청지불문의 고왈희언
希言者以道言也 故曰自然飄風驟雨 成之暴戾 非出於常然也 故雖天地爲
희언자이도언야 고왈자연표풍취우 성지폭려 비출어상연야 고수천지위
之 尙不能終朝終日之久 人之言不出於自然 則多而數窮宜矣 故唯從事於
지 상불능종조종일지구 인지언불출어자연 즉다이수궁의의 고유종사어
道者 爲能無我 無我 則道也 德也 失也 吾不見其所以異 故道者我則同於
도자 위능무아 무아 즉도야 덕야 실야 오불견기소이리 고도자아즉동어
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 而恢詭譎怪 通爲一也 夫唯不見其所以異而與
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 이회궤휼괴 통위일야 부유불견기소이리이여
之同 則彼雖有以異我 而未嘗去我也 故曰 同於道者道亦得之 同於德者
지동 즉피수유이리아 이미상거아야 고왈 동어도자도역득지 동어덕자
德亦得之 同於失者失亦得之 唯其信不足 則於是乎有道有德有失 而不同
덕역득지 동어실자실역득지 유기신부족 즉어시호유도유덕유실 이부동
矣 故曰信不足有不信.
의 고왈신부족유불신.
* 여씨 주석하대. 들을려도 듣지 못함은 말씀이 희미해서다 그말씀의 하고자 하는 뜻의 처지나 요지를 알면(* 말하고자 하는 향방을 알면) 말씀이 말씀 아니함에서 나올 수 있고 들리지 않는다 해도 들으리라 그러므로 말하길 말수가 적은 드믄 말씀(希言)이라 한다 말수가 적은 것은 길로써 말씀하기 때문이다 (*譯者言= 그렇다면 길의 말씀化는 입에서 형언해내는 말씀만이 아닌가? 그렇다 할 것이니 세상우주가 곧 길(*道)이요 그것은 곧 사람의 입에서 형용해내는 말씀과는 관찰의 차원이 있다 할 것이다) 회오리바람과 후두득비가 사나움을 이룸이 자연이라서 평상시에 정상적으로 생기는 거완 다름인지라 그런 까닭에 비록 하늘땅이 한다해도 아침을 못 가고 종일을 못 간다 (*즉 非常道는 한참을 못 베겨 난다는 뜻) 사람도 말씀을 자연스럽게 내지 않으면 억지로 꾸며서 내는 것이라 말은 많아도 자주 궁색해 지는 게 당연하리라 그러므로 결론컨대 길에 종사하는 자는 내라 함이 없음에 능숙해야 되고 내라함이 없으면 곧 그것이 길이고 덕이고 미련을 끊어 버린 것이 된다 (*譯者言=요런 뜻에 말을 이용해 먹으려는 얄팍한 무리가 생겨날까 의심스럽다 대략은 신앙에 심취해 있는자들이 감언하길 즐기고 그를 포섭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즉 나를 버리라 하곤 자기네의 사상을 파종하려 드는 것이다 지혜가 있는 자는 저울질을 잘한다 저울질을 해봐서 득이 될만한 것이라면 포섭전파를 역이용하라 이런 말도 또한 감언에 속한다 할 것이다 감언이라 생각하면 모든게 의심스러워 성현에 말조차 감언 아닌 게 없다 받아들여 소화시키는 자가 판가름을 잘한다면 무슨 여러 잡다한 게 병될 게 있을 건가? ) 내- 그와 다른걸(쓰는걸)보지 못했다 그러므로 길이란 게 나일 것 같으면 길과 함께 하는 것이요 덕일 것 같으면 덕과 함께 하는 것이요 미련을 끊어버리는 것이라면 그와 또한 같이해서 기괴한 권모술수와 여러 방책들이 통털어 하나가 될 것이다 (*하나를 위하려 들 것이다) 대저 오직 달리 쓸걸 보지 못해서 더불어 함께 하면 저 가 비록 나를 이상히 여기는 게 존재 한다하더라도 일찍이 나를 버리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길과 함께 하려는 자는 길도 역시 받아 드릴려(*저쪽이 도로 이쪽을 얻을 려)하고 덕과 함께 할려는 자는 덕 역시 받아 드릴려 하고 미련을 끊어 버림과 같이 할려는 자는 그 주체 대상이 역시 받아들이게 된다 오직 결론컨대 그 부족 한 것이라도 유족한 듯 믿으면 그렇게 길의 존재가 있게 되고 덕의 존재를 두게 되고 끊어버림의 존재를 두게 된다 그렇게들 한가지로 못하는지라 그러므로 부족한걸 믿으면 믿지 못할게 존재케 된다 함인 것이다(* 오직 그 믿음이 부족하면 이에 하여금 길의 존재와 덕의 존재와 미련을 끊는 존재와 같이하지 못할 것이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할게 존재한다 했다)
朴註
박주
希言簡淡之言也 所謂貴言者是也 自然不苟崖異而隨順於物也 風雨天地之
희언간담지언야 소위귀언자시야 자연불구애리이수순어물야 풍우천지지
所爲而飄驟 則失於自然 故尙不能久人之多言 能無窮乎 故從事於道者 與
소위이표취 즉실어자연 고상불능구인지다언 능무궁호 고종사어도자 여
道者居而同於道 與德者居而同於德 與失者居而同於失 同者隨順無違之意
도자거이동어도 여덕자거이동어덕 여실자거이동어실 동자수순무위지의
同於失則同其塵矣 我旣同於彼則彼皆樂得我 是我信而彼信之也 若夫多言
동어실즉동기진의 아기동어피즉피개락득아 시아신이피신지야 약부다언
者 則喜立異而物與之爲敵 故曰信不足有不信 蘇氏曰言出乎自然 則簡而
자 즉희입리이물여지위적 고왈신부족유불신 소씨왈언출호자연 즉간이
中非其自然而强言之 則煩而難信矣 故曰道之出言淡乎其無味 視之不足見
중비기자연이강언지 즉번이난신의 고왈도지출언담호기무미 시지부족견
聽之不足聞 用之不可旣 此所謂希言矣
청지부족문 용지불가기 차소위희언의
*박씨 주석하대. 말수가 적은 것은 간결하고 담백한 말씀을 뜻한다 이른바 말씀하는 자체를 귀하게 여기는 게 바로 그렇다 자연이란 실로 어디 유별나게 동떨어져 다른 게 아니고(*이상한대 언덕 삼는 게 아니고) 유순하게 사물을 쫓음을 뜻한다 비바람은 하늘땅이 짓는 것이라도 회오리치고 후다닥거려 사납게 나대면 자연에 순리를 잃은 모습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렇게 나댐은 오래갈 수 없는 것이다 사람도 말이 많으면 궁색함이 없을 손가? 그러므로 길에 종사하는 사람은 길과 더불어 하는 것이니 머물러서 길과 함께 하는 것이고 덕과 더불어 하는 자는 머물러서 덕과 함께 하는 것이고 잃어버림과 더불어 하는 자는 머물러서 잃어버림과 함께 하는 것이다 같이한다는 것은 유순하게 쫓아 어김이 없다는 뜻이다 잃어버림과 같이함은 그 몽진과 같이함이다 (*譯者言= 모든 걸 잊고 내 자신을 내어 던진다 그것이 구도자의 갈 길이다 하고 주장을 세운다면 찌든 세파 몽진사회에 파뭍혀서 세상과 함께 한다는 뜻이니 이는 자기를 각고와 궂음속에 내어던져 득도 대달 성취하겠다는 구도자의 한 모습이라 할 것이다=*길 자신이 몽진과 함께 한다는 뜻 표현을 我가 무엇을 어떻게 한다로 여기서 말하는 것 같기도 하다) 내- 이미 저와 같이 한다면 저- 다들 내 얻음을 즐거워 할 것이니 이는 내가 저들을 믿음으로서 저들이 나를 믿게 한다는 뜻이다 이를테면 대저 말이 많은 자일수록 이상한걸 세우길 깃거워 해서 物事(물사)의 이치와 더불어 대적하길 즐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 당함이 있다는 것이다 소씨는 말하길 말씀이 자연스럽게 나오면 간결하면서도 사리에 맞고 부자연 스럽게하면 억지로 꾸며서 하는 것이라 곧 변명 비슷하게 번거롭고 신빙하기 어렵게 됨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길로 인하여 말을 내면 그 맛없음이 담백하고 보는 게 부족한 듯 하고 듣는 게 어정쩡해 보이고 행동이 민첩치 못한 것 같다 (*用之=씀= 사용=활동함. 不可旣=다하지 못함=몸놀림을 제대로 갖추어 하지 못하는 것 같음) 이러함을 일러 말수가 적다 함인 것이다
출처 : 역학살롱(實戰命理의 場)
글쓴이 : 삼베 중우 적삼 도롱이 원글보기
메모 :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21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22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24 (0) | 2013.05.19 |
[스크랩] Re:도덕경 24, 도덕경 25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26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