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五十八章 .
其政悶悶, 其民淳淳, 其政察察, 其民缺缺,
기정민민, 기민순순, 기정찰찰, 기민결결,
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孰知其極,
화혜복지소의, 복혜화지소복, 숙지기극,
其無正, 正復爲奇, 善復爲妖, 人之迷, 其日固久,
기무정, 정복위기, 선복위요, 인지미, 기일고구,
是以聖人方而不割, 廉而不 , 直而不肆, 光而不燿.
시이성인방이불할, 염이불귀, 직이불사, 광이불요.
그 정치하는 行態(행태) 爲政者(위정자)가 속아 준다면 그 백성의 삶은 날로 기름지어선 인정이 넘쳐난다 그 정치가 제도가 악랄하여선 치세에 열을 올려선 영악하다면 백성들은 병이 들어선 도탄에 허덕인다 禍根(화근)에는 福(복)이라 하는 것이 寄生(기생)할 터전이 되어선 의지를 하게되고 福(복)이라 하는 곳에도 역시 그와 상반되는 禍根(화근)이 될 要素(요소)가 업드려 있다 이런 것의 원리를 熟知(숙지)함을 극도에 달하게 하여야만 할 것이다
지식이 무르익어선 극도에 달하면은 오히려 바르다하는 정의 개념이 없어지게 마련이라 正義(정의)가 奇詭(기궤)한 곳으로 되돌아가고 善(선)하다하는 것이 妖邪(요사)스러운 것 처럼 遁甲(둔갑)질 되어 돌아간다면 사람의 昏迷(혼미)함이 그 날로 굳어짐이 오래 갈 것이다 이래서 聖人(성인)의 처방은 角(각)이진 것처럼 보여도 두루뭉실하여선 베어 재키는 손상함이 없고 淸廉(청렴)하여도 그로 인하여선 남의 허물을 발각시키는 계기를 誘導(유도)하지 않는다 所以(소이) 올곧은 행위가 남의 하는 행위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다 소이 곧아도 방자스럽지 아니하며 광채가 나면서도 눈부시지 않은 것이다
위정자가 재량권을 잘 활용하여선 융통이 많은 정치를 한다면 백성이 숨통을 트고 활동을 자유자재로 하게되어선 그 삶이 富裕(부유)해 진다는 것이리라 정치라 하는 것은 너무 빡빡하면 살갓과 살갓이 부비는 것 같아선 허물이 벗어지는 고통을 쓰라림을 가져온다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백성에 怨聲(원성)을 자연 살 소지가 있다는 것이리라
政治(정치)라 하는 것은 제도나 규범을 요리하는 위치에 있는 것인지라 所以(소이) 制度(제도)나 規範(규범)을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게끔 적용할 때 백성들은 자연 擊壤(격양)歌(가)를 부루게 된다는 것이리라 소이 저울질을 잘하라는 것이 權(권)이다 그래서 그러한 능력을 갖은 것을 權力(권력)이라 하고 소이 정치권력 칼자루 잡은 것이 되는 것이다 어느 떡이 더 큰가를 요량을 잘하라는 것이고 근시안적 정책으로서 인민의 환심을 살 것만이 아니라 먼 장래를 내다보는 정책을 立案(입안) 하라는 것이리라 制度(제도)가 굳어져선 融通(융통)이 없고 강하기만 하다면 모든 것은 다 부러지게 될 것인바 그 나라가 자연 망가지게 된다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剛柔(강유)를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라는 것이리라 그리고는 人材(인재)를 잘 활용할줄 알라는 것이리라 무엇이 크고 작은가를 모른다면 털어 먼지 안 나는 자 드믈다고 人民(인민)을 모두 規範(규범)을 어기는 罪人(죄인) 취급으로 몰아가는 정치를 하게될 것이라는 것이리라 그렇게 되면 백성이 전전긍긍하여선 수족을 마음대로 놀리지 못할 판인데 그런 사회나 집단이 바르게 돌아갈 리가 만무라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어느 정도 융통 풀어주는 면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時勢(시세) 흐름을 잘 타게 하는 정치를 하는 자만이 유능한 政治家(정치가)가 된다는 것을 여기서 말하여 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사람이 모든 것을 다 갖출 순 없는 것이고 나무가 올곧은 것 같아도 欠缺(흠결) 옹이진 것이 없지 않다는 것이라 그렇다고 그 나무를 棟梁(동량)감이 되지 않는다고 할 것인가 이다 그 먹줄을 팅겨선 바로잡고 그 연장을 갖고선 다듬어선 좋은 재목을 爲的(위적)으로 만들어선 有效(유효)適切(적절) 한데 사용하게되는 것이다
휘어진 나무는 그 政事(정사)가 바른 먹줄이 있게끔 좋은 기회를 提供(제공)하는 마당이요 試驗(시험) 處所(처소)인 것이다 굽은 나무가 없다면 먹줄 통이 무슨데 필요하단 말인가 이런 내 의향이다 要(요)는 왕성하게 성장하는 것은 그 다듬을 것도 많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라 그만큼 富强(부강)하여지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料理(요리)를 하데 본 재료 이외에 반드시 언제나 준비되어 있는 양념이 필요하다 양념이 없이는 아무리 좋은 음식재료라도 제 맛을 내게 하기에는 힘이 들다 그러므로 그 조리기구도 좋아야하지만 거기 끼어 드는 양념도 좋아야만 한다는 것이리라 피로를 풀기 위한 慰安(위안)의 자리 宴會(연회)가 公演(공연)되듯이 그렇게 반드시 이것이 있다면 저것이 반드시 존재해서만이 균형이 잘 잡혀선 그 事案(사안)은 잘 繁榮(번영)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소이 딱딱한 규범이나 제도의 틀을 넘어서선 눈감아 주는 정치를 잘 행할 적에 그 나라는 풍요로움을 謳歌(구가)한다는 것이리라 계란 두개의 뇌물에 발목 잡을 것이 아니라 그 국가의 干城(간성)으로 잘 활용하라는 것이리라 그래야만 통치를 잘하는 帝王(제왕)이라는 것이고,
私益(사익)을 圖謀(도모)하는 자의 처리는 그 機關(기관)과 집단까지 責任(책임)을 전가 시키어선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기 쉬워지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그런 것은 바르게 할 기회를 잠시 주고선 작은 일로 하여선 물의 없게끔 조용히 물러나게 하는 방법 직위를 해제시키는 이런 방법을 동원한다면 그 정치는 잘 행하여지는 모습이 된다는 것이다
老聃(노담)이 듣기 좋은 말만 지금 시브렁 거리고 있는데 실제 현장에 있어선 그렇치 못한 것 이 태반이다 귀에 즐거운 것은 언제나 수족의 쓰거움을 맛보라는 것이라 그 쌍수를 들어선 환영 할 바 못된다는 것을 제대로 알으라는 것이리라 소이 오래되면 그 부작용이 그 새움이 트게 마련이라는 것으로서 오히려 그 旗幟(기치)를 내걸은 것이 비바람 蒙塵(몽진)을 맞아선 퇴색되어선 나븟끼는 깃발 처럼되어 버린다는 것으로서 관록 경험이 풍부하여진 것은 좋다할 것이지만 그만큼 구린내 나는 要素(요소)가 많다는 것을 표현하는 상징이기도 하다는 것이리라
그 비리와 부정에 오염된 상징이기도 하다는 것을 잘 알으라는 것이리라
백성은 간특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는지라 조금이라도 방심하여 풀어 놓아주면 고만 냅다 방종을 떨기시작하고선 그 책임은 다하지 않고 권리 찾기에만 급급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호달구지 않으면 그 자기 司命(사명)을 다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다구치고 호달구는 것이 所以(소이) 督勵(독려)하고 激勵(격려)하는 것이 된다는 것이라 마구 彈壓(탄압)하고 채찍을 갖고 노예를 치듯이 부리어서만이 그 자기 역할을 다한다는 것이리라 그래서는 마구 그저 두둘겨 패줄 것을 권장하는 바이라
백성이라 하는 것은 일체 딴 생각을 못하게끔 일하는 데로 몰아넣어서만이 말을 잘 듣는 자동 기계처럼 된다는 것인지라 그저 힘센 자가 군림하고선 마구 暴擧(폭거)를 자행 할 때 만이 그 나라는 부강함을 가져온다는 것이라 역사 이래로 강한 君主(군주)가 있을 적에는 그 나라가 위세를 떨치고 부강하였다 하지만 문약한 방향으로 흐른 君主(군주)나 그 나라를 결국 망조가 들었다 입으로 정치하는 君主(군주)가 되지 말고 그런 세태를 만들지 말고 주먹으로 정치하는 군주나 세상을 만들어 야지만 백성이 戰慄(전율)을 느끼고선 고분고분하게 잘 따라준다는 것이다 社會(사회)를 통제시켜서는 그 어지러움이 난무하게 하지 말 것이며 행동의 반경을 좁혀서는 그 마구 기계처럼 인민을 부려 쳐 먹어서만이 그 나라는 대박 부자가 된다는 것이다
발에다가는 큰 쇳덩이를 달은 착고 사슬을 채워서는 일을 하게 하고 마구 그저 때약 별에 곡갱이나 삽들고 구덩이를 파게 하대 일정분량을 못해내면 거저 고만 매타작을 쇠도리깨로 하여선 그 자리에서 으깨치워선 본때를 보여줌으로서 다른 자 들도 겁을 먹고선 죽어라 일을 한다는 것이리라 그저 고만 선착순 뺑뺑이를 돌리면 백성들은 숨이 넘어 갈락말락 헐떡이면서도 잘 시키는 자에게 따라 준다는 것이라 마구 유격훈련을 시키고 오청 교육대를 만들어선 쥐 잡듯이 해서 만이 백성들은 꿈적을 못하고 나죽었네 하고선 일을 잘해준다는 것이다
그저 괄은 불을 짚힌 단 무쇠 솥에 콩뽁고 깨 뽁듯이 백성들을 들들 뽁아 재켜서만이 고만 백성들 정신을 못차리고 혼이 나가선 그 시키는 자의 의향에 따라 잘 따라 준다는 것이다 아- 孫武(손무)가 吳(오)나라에 처음 들어가선 우에 훈련을 시켰는가 그 궁궐 궁녀들을 그렇게 무서운 軍律(군율)法(법)을 시행하여선 단 시간내에 기계화 부대를 만들 듯이 하지 않았던가 팔구십먹은 노파와 할아버지라도 그렇게 고된 훈련을 시키면 다 따라주게 마련인지라 그 강한 군대가되는 것이 청장년 오합지졸 보다는 몇 곱절의 실력을 발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파워 와일드한 리더십이 있어 야지만 그 나라는 왕창 일어서게 된다는 것을 위정자는 똑바로 알고선 마구 탄압을 해 재켜야 한다는 것이다
마구 인민을 채석장에 돌 깨는 인부로 동원을 시켜선 마구 두둘겨 패주고 이래서는 그 돌기둥을 만들고 돌집 관청을 크게 짓게 해서만이 백성들이 말을 잘 듣고 그 사회집단은 번창하게된다는 것을 명심하라는 것으로서 다른 업종에도 이와 같은 방식을 동원해서 그저 강폭하게 나대어선 유연한 꼬득임을 짓가라 뭉게고 머리 두뇌를 쓸려 들어오는 틈새를 주지 말게끔 호달구여야 한다 할 것인지라
일체 知識(지식)인들 붙들어다간 强制勞役(강제노역)을 시켜선 그넘의 지식이라 하는 것이 다 부질없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할 것임에 마구 李斯(이사)가 焚書坑儒(분서갱유)하다시피 해서만이 세상은 淸淨(청정)社會(사회)가 된다할 것이다 구린내 나는 것은 모두가 識者(식자)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 많은 것인지라 일체 아는 체하는 주둥이를 묵사발로 문질러 버리고 반창고를 부치고선 노역장에 닷새만 동원시켜선 쉬엄 없이 채찍을 가해서 부린다면 고만 말 잘 듣는 개가되어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잘 다스리는 것이 暴擧(폭거)를 자행하는 것으로 비춰지듯 해야만 한다 할 것이다 우리가 여지 것 무엇을 보아왔나 이렇게 하여선 세상을 다스리는 것을 보아왔지 않았는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고 구정이물이 흐르는데 어떻게 하천 바닥이 오염이 안될 것인가 그러므로 그대로 받아서는 백성들이 간악하다 시피 해서만이 그 번영을 가져온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할 것이다
하천바닥이 간악한 것은 우에 흐르는 물이 오염이 너무 심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기름진 것으로 본다면 덕지덕지 앉은 것이 그 德(덕)의 기름진 肥沃(비옥)한 모습이라 할 것이다
夏(하)나라 桀(걸)임금과 商(상)나라 紂(주)임금과 燕山君(연산군)과 石虎(석호) 같은 실상은 악질적인 것이 아니지만 그렇게 勝者(승자)에게 내몰려선 惡質的(악질적)인 임금으로 비춰지는 지가 있어 야지만 그 나라와 그 백성은 아주 번창을 거듭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다음 바튼을 받는 군주가 명분만 뒤 바뀌었지 실상은 앞에 列擧(열거)한 君主(군주)들이 닦은토대 위에 飛翔(비상)의 나래를 펼쳐선 제가 잘한 것처럼 보여주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남의 공로를 簒奪(찬탈)한 무리들이 바로 成湯(성탕)과 昌發(창발)과 그 후대 여런 구테타 세력들이라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그런 쿠테타 성공한 세력이 오른 것이 아니라 그것이 오게 한 군주가 바로 바른 정치를 행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역사를 바로 알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것을 본다면 실상 오른 것은 그른 것이요 그른 것은 오른 것의 관점 이라는 것으로서 똥은 떡이요 떡은 똥이라는 것을 잘 알으라는 것이다 뭐든지 꽈베기 처럼 틀려 돌아선 반대라는 것을 새기라는 것이다
* 本文 第 五十八章 = 그 정치가 약삭 빠르지 않음(*민첩하지 않음) 그 백성이 기름지고(*축축함 있어 메마르지 않고) 그 정치가 속속들이 파헤쳐 알알이 메주알 고주알 하면 그 백성들이 흠결이 오고 화란 것은 복으로 인함이며 복이란 것은 화가 없드린 바로 인함이다 누가 그 극한 경계를 알아서 그 바르고 삿됨을 없앨 것인가? 바름이 거듭되면 기궤함이 되는 것이고 착함이 거듭되면 재앙이 되는 것이니 사람을 혼미케 함인 야? (*소위 더 잘 하려다 보면 앙화를 자초한다는 뜻임 순리대로 흐르게 나둬야 한다는 것이다) 그 오랫날 동안 지속된다 하리라 이래서 성인은 모나여도 날카로움 없어 베어 상처를 입히지 않고 청렴하여도 그로 인하여 자타를 손상함을 입히지도 입지도 않고 곧아도 방자치 않고 빛을 갖고 게셔도 너무 지나치게 빛나지 않는다.
* 그 정치하는 것이 바보 활동처럼 보이면 백성이 순박해지고,[ 그렇치 않다 지금세상은 인민이 악에 지독하게 오염되었는지라 그 간악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어서는 두둘겨 잡는 정치를 한다하여도 그 되려 살찔 것이라 마구 백성을 핍박 탄압하여서는 도탄에 몰아 넣을려 한다 해도 모두 들고일어나서는 살고자 경쟁할 것이라 그 나라는 더욱 부강해 지는 수 가 있다할 것이다 , 위와 같은 논거는 理想(이상)주의자 들이 망상에 빠져선 그 이상을 동경하는 말일뿐이다 ] 그 정치가 세밀한 것까지 파악하려 들려 한다면 그 백성에겐 털어 먼지 않 나는 자 없다고 그 자연 결핍이 오게 마련이다 , 화근이여 복의 의지하는 바요 , 복이여 화근이 업드린 바이라 누가 그 극성 함을 알까 만은 그 바름을 없이하고 바르다하는 것이 거듭 기궤한 속임이 되고 선한 것이 요사스런 것으로 되돌아가고 사람의 혼미해짐이 그 날로 굳고 오래감으로서 그래 안다 할 것이라
이래서 성인은 모가 낫서도 베는 害(해)를 짓지 않고, 청렴하여도 그 청렴한 기상을 돋보이게 하여서는 다른 이들을 부담 가게끔 찌르는 모습을 짓지 않고 [* 튀는 행동을 자제한 다는 것이리라 ] , 정직하여도 방자하지 않고, 광채가 나더라도 ,눈부시지 않는다
蘇註
소주
天地之大 世俗之見有所眩而不知也 蓋福倚於禍 禍伏於福 譬如老穉生死
천지지대 세속지견유소현이불지야 개복의어화 화복어복 비여노치생사
之相繼未始有止 而迷者不知也 夫惟聖人出於萬物之表 而攬其終始 得其
지상계미시유지 이미자불지야 부유성인출어만물지표 이람기종시 득기
大全 而遺其小察 視之悶悶 若無所明 而其民醇醇各全其性矣 若夫世人不
대전 이유기소찰 시지민민 약무소명 이기민읍읍각전기성의 약부세인부
知道之全體 以耳目之所知爲至 彼方且自以爲福 而不知禍之伏於後 方且
지도지전체 이이목지소지위지 피방차자이위복 이불지화지복어후 방차
自以爲善 而不知妖之起於中 區區以察爲明 至於察甚傷物 而不悟其非也
자이위선 이불지요지기어중 구구이찰위명 지어찰심상물 이불오기비야
可不哀哉 知小察之不能盡物 是以雖能方能廉能直能光 而不用其能 恐其
가불애재 지소찰지불능진물 시이수능방능염능직능광 이불용기능 공기
陷於一偏而不反也 此則世俗所謂悶悶也.
함어일편이불반야 차즉세속소위민민야.
醇(순) = 아들자형의 붙침이 아니고 날 '日'字(일자)형인데 옥편에 찾을 수 없었다
*소씨 주석하대.
하늘땅은 크다. 세속의 봄이 어두운 면 있어 제대로 볼줄 모르는 게 있다 대저 복은 화에 의지를 하고 화는 복에 엎드려 있는 것이 비유컨데 늙고 어림과 삶과 죽음 서로 연이어져 시작해서 그침 두지 아니해서 혼미한자는 모르는 것 같음이다 무릇 오직 성인이 만물의 밖같에 나시어 그 시작과 마침을 보게 하니 그 큰 온전함을 얻게 하고 그 작은 살핌을 버리게 하니 보는 게 답답한 듯 해서 밝은바가 없는 듯 하고 그 백성은 축축하게 해서 각각 그 성품을 온전하게 함이라 대저 세상사람은 길의 전체를 알지 못하고 눈과 귀로써 아는 바에 다달으려 함이라 저들이 바야흐로 또한 스스로 복을 위하여도 화가 뒤에 엎드린 줄 모르고 바야흐로 스스로 착함을 위한다해도 재앙이 그 가운데 일어나는 줄 모른다 살핌으로써 밝음을 위함인데 너무 심한 살핌은 사물을 손상함에 이르어서 그 그릇됨을 깨닷지 못하니 그렇게 슬프다 아니할 것인가? 작게 살피어서 모든 사물에 잘 살피지 못하는 듯함을 앎이라 할 것이니 이래서 비록 잘 모나고 잘 청렴하고 잘 곧고 잘 빛 나여도 그 잘하는 바를 쓰지 아니함이니 그 한편으로 빠져서 돌아오지 못할까 두려워함에 서라 이러하면 세상에 이른바 답답하다 함인 것이다(*소위 답답한 것 같음으로도 세상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이다)
呂註
여주
以正治國 以無事取天下 則其政悶悶 悶悶者 言其不以察爲快也 故其民淳
이정치국 이무사취천하 즉기정민민 민민자 언기불이찰위쾌야 고기민순
淳 淳淳者 言其不요於薄也 以智治國 以有事爲天下 則其政察察 察察者
순 순순자 언기불요어박야 이지치국 이유사위천하 즉기정찰찰 찰찰자
反悶悶者也 故其民缺缺 缺缺者 言其不全於樸也 淳淳故安於德性 而不爲
반민민자야 고기민결결 결결자 언기불전어박야 순순고안어덕성 이불위
禍福 奇正善妖之所遷 是不요於薄也 缺缺故避禍而未必免求福而未必得
화복 기정선요지소천 시불요어박야 결결고피화이미필면구복이미필득
以爲正也 而有時乎爲奇 以爲善也 而有時乎爲妖 而禍福奇正善妖未知孰
이위정야 이유시호위기 이위선야 이유시호위요 이화복기정선요미지숙
在也 徒令智多而難治 是不全於樸也 何則 時有終始 世有變化 禍福淳淳
재야 도령지다이난치 시불전어박야 하즉 시유종시 세유변화 화복순순
至有所拂者有所宜 有所拂者世所謂禍 而有所宜則福所倚也 有所宜者世所
지유소불자유소의 유소불자세소위화 이유소의즉복소의야 유소의자세소
謂福 而有所拂則禍所伏也 則孰知其極而避就之耶 自殉殊面 有所正者有
위복 이유소불즉화소복야 즉숙지기극이피취지야 자순수면 유소정자유
所差 則所謂正者果未可知也 今爲正者後或爲奇 此爲奇者彼或爲正 善與
소차 즉소위정자과미가지야 금위정자후혹위기 차위기자피혹위정 선여
妖亦然 則天下之禍福正奇善妖果未可定也 民自有知以來 迷而執之 其日
요역연 즉천하지화복정기선요과미가정야 민자유지이래 미이집지 기일
久矣 奈何重之以察察之政 而使之不得反樸而全乎 是以聖人方而 不
구의 내하중지이찰찰지정 이사지부득반박이전호 시이성인방이 불
割 故不以一人斷制利天下 廉而不 故勝物而不傷 直而不肆 故能曲全而
할 고불이일인단제이천하 염이불귀 고승물이불상 직이불사 고능곡전이
枉直 光而不耀 故用其光復歸其明 此無他 取此悶悶而去彼察察故也.
왕직 광이불요 고용기광복귀기명 차무타 취차민민이거피찰찰고야.
요 = 물수변 梟字(효자)한자 =뜻은 ,물뿌릴 '요' 엷을 '요'字(자)이다
淳(순)= 이 글자 역시 물수변에 한 글자인데 아래 아들 子(자) 붙는게 아니고 날日字(일자)이다, 뜻은, 흘러움직일 '순' 순박할 '순' 맑을 '순' 字(자)이다
*여씨 주석하대,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고 일없음으로써 천하를 취한다면 그 정치는 약삭빠르지 않다(*소위 인기위주로 정치를 하지 않고 유구한 장래성을 내다보고 정책을 입안 정치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백성이 윤택한 삶을 누리고 그러한 국가는 번영하게 되 있다는 뜻이다) 답답하다는 것은 그 살피려듦이 장쾌하고 알알이 밝히려드는 결단력을 쓰지 않음을 말함이다 그러므로 그 백성은 기름지고, 축축하다는 뜻은 기름지다는 뜻이니 그 야박하지 않다는 뜻이다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려 일 둠으로써 천하를 위하려 든다면 그 정치를 살피고 또 살피게 되니 살피고 또 살핀다는 것은 그늘지게 함(어두운 면이 있게함 =답답하게 함)에 반대인 것이라 그러므로 그 백성이 흠결이 있게 된다 이지러지고 또 이지러지는 것은 그 덩이 진 게 온전치 못함을 말함이다 기름진 연고로 덕성이 편안해져서 복이 화를 바름이 기이함을 재앙이 착함 것에를 옮기려 들바를 위하려 들지 않은이 이 야박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흠결 지고 흠결 지는 연고로 화를 피할려해도 필히 면치 못하고 복을 구할려해도 필히 얻지 못하고 바름을 삼아 쓴다해도 때에 있어 기궤함이 되고 착함을 삼아 쓴다해도 때에 있어 재앙이 되어서 화와 복과 기궤함과 바름과 착함과 재앙이 어디 있는 줄 모른다 도대체 내리는 법령이 많은 지식이나 지혜를 갖고 하더라도 다스리기 어려워져서 이 덩이가 온전해지지 못함이다. 어떻게 하면 시기 적절하게 마침과 비로소 함을 둠과 세상에 변화를 둘 것인가? 화에 복이 스며든다는 것은 거스리는 바 어긋나는 바를 둠이 다함 것은 옳은 구석(*마땅한 구석 여지 틈새) 이 있음이라 거슬려 씻어버린다는 것은 세상에 이른 허물이 되면서도 마땅한 여지 틈새가 있다면 복이 의지하게됨인 것이고 옳고 마땅한 게 있는 것이라 하여 세상에 이른바 복이라 하는 것에서도 거스리고 어긋나는 게 있으면은 재앙이 엎드린바가 됨인 것이라 그렇다면 누가 그 극한 경계를 알아서 피해 나갈 것인가? 스스로 순수한 면이 있어서 바른걸 가졌다 해도 어긋나는 게 있을 것이니 그렇다면(*스스로 순수한 면이 있어서 바름을 가진 것일지라도 어긋남이 있다면) 이른바 바르다는 것을 실로 알지 못한다 할것이라 이제 바르다하는 것이 후에 혹두 기궤함이 되고 기궤 하다 하는 것이 저 혹도 바름이 된다면 착함과 더불어 재앙 또한 그렇다면 천하의 화와 복과 바름과 기궤함과 좋음과 재앙을 실로 제대로 정하지 못할 것이라 백성이 저절로 지혜를 둬 옴으로써 혼미함을 잡은 지가 그 날이 오랜지라 내 무엇을 소중히 여겨서 살피고 살핌으로써 정치를 하여 써 하여금 덩이짐 온전함을 반대하여 얻지 못하게 할려 할 것인가? 이래서 성인은 모 나여도 찔러 베어지는 역할이 되지 않는지라 그런 까닭 게 한사람이 천하의 이로움과 제도를 결단함을 쓰지 않게 하고 청렴하여도 베이는 역할을 않는지라 사물보다 낳으면서도 그 사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곧으면서도 방자치 않는지라 그러므로 잘 굽으면서도 온전하고 휘면서도 곧음이고 빛이 있으면서도 찌르듯 빛나지 않는 지라 그러므로 그 빛을 써서 그 밝음을 돌아오게 하니 이는 다름이 없음이라 이쪽의 답답함을 (*어두운 면을 ) 취하고 저쪽의 살피고 살핌(*찰찰함)을 버리었기 때문이다 .
朴註
박주
醇醇純質之貌 缺缺요薄之貌 奇謂奇邪 妖謂妖惡割削 傷 肆恣耀衒也 其
순순순질지모 결결요박지모 기위기사 요위요악할삭귀상 사자요현야 기
政悶悶 是非不分 而其民反醇醇 以質其政察察 善惡必明而其民反缺缺以
정민민 시비불분 이기민반순순 이질기정찰찰 선악필명이기민반결결이
薄 是非不分 向所謂禍者而今以致福 善惡必明向所謂福者 而今以致禍 是
박 시비불분 향소위화자이금이치복 선악필명향소위복자 이금이치화 시
禍伏於福 福倚於禍 倚伏之理熟知其極乎 其果無所謂正者耶 正之過則復
화복어복 복의어화 의복지리숙지기극호 기과무소위정자야 정지과즉복
爲邪 善之過則復爲惡 人之迷於正邪善惡之分 其爲日固已久矣 又安知察
위사 선지과즉복위악 인지미어정사선악지분 기위일고이구의 우안지찰
察之不足以爲正爲善耶 聖人則不然方不至割廉不至 直不至肆光不至耀
찰지부족이위정위선야 성인즉불연방부지할염불지귀직불지사광불지요
如此然後方可謂得其中而能盡乎 正善之矣 若方而如削廉而傷物直而恣其
여차연후방가위득기중이능진호 정선지의 약방이여삭염이상물직이자기
情光而衒其明 則所謂正善之過而爲福而反致禍也
정광이현기명 즉소위정선지과이위복이반치화야
* 요 = 물수변에 幸(행)자 비슷한 글자 인데 아래 꼬리가 둘임.무슨글자인지 확실치 않음 ,
*박씨 주석하대.
醇醇(순순)이란 순질(순수)한 모습이다{(* 역자부언= 박씨는 水字변에 뜻없는 토두( )아래 입구(口)하고 날일(日)字 한 글자 두 개 있는 것을 순수하다는 뜻으로 풀었다= 역자는 강희 자전에서 이 글자를 찾지못하고 닭구 유자 변에 소리음자 한 글자 축축할(읍)으로 해석했다 물수변에 누릴향자한 글자가 순박하다는 뜻의 글자이다.)} 缺缺(결결)은 엷은 모습이다 奇(기)는 기이하고 사벽스럼을 말함이다 妖(요)는 妖惡(요악=괴이하고 불길하고 나쁜걸 뜻한다 했다)을 말함이다 割(할)은 削(삭=깍는다 해치다 란 뜻이다)이고, (귀)는 傷(상=상처 이지러짐 즉 손상 이란뜻임)이고, 肆(사)는 恣(자= 방자 하다는 뜻 제멋대로이다는 뜻임)이고, 耀(요)는 衒(현=행하고 또 판다는 의미의 팔릴 현字 이고 자랑한다는 의미임)이라 했다.
*그 정치가 답답하면 옳고 그름이 나누어지질 않아서 그 백성이 도리혀 순수한 모습을 띄게되어 질박해진다. 그 정치 자세히 좋고 나쁨을 필히 밝히려 들면 그 백성이 도리혀 흠결 짓는 모습을 띄게 되어 야박하게 보인다. 시비를 나눔이 없음 향하길 이른바 재앙이이라 하는 것일지라도 이제 복을 이루게 될 것이고 선악을 필히 밝히려 든다 한다면 향하길 이른바 복이라 하는 것이라 하여도 이제 재앙을 이룰 것이니 이러함으로써 재앙이 복에 엎드렸다하고 복이 재앙에 의지하였다 함이니 (*역자부언=모두 역설적인 논리임) 의지하고 엎드린 이치 누가 그 극한 경계를 알으리요 그 실로 바르다 할게 없다 할 것이니 바름이 지나 친즉 거듭 사벽스럼이 되고 착함이 지나친즉 거듭 악함이 됨이라 사람이 정사 선악을 나눌려 함에서 혼미해져 그 날로 위하여 굳힘이 이미 오램이라 또 무엇을 자세 살펴 부족함을 알아서 바름을 삼고 착함을 삼는다 할 것인가? 성인인즉 그렇치 않아서 모난 모습을 띄더라도 여타를 베임에 이르지 않고 (*즉 여타의 심신에 상처를 주지 않고 본받게 해 덕을 주는 모습을 띈다는 것임) 청렴하여도 또한 베임에 이르지 않고 곧으시면 서도 방자한 모습을 띄지 않고 빛이 있으시면 서도 그 빛을 자랑하려 들지 않으신다 이 같은 연후래야 바야흐로 바르게 그 가운데를 얻어서 잘 바름과 착함의 지극한 경계에 다다름을 다했다 함이리라 만일 모나서 베임 같고 청렴해서 사물을 손상시키고 곧아도 그 뜻이 방자하고 빛이 있으면서 그 밝음을 자랑하려든다면(*빛을 값나가는 물건처럼 팔을려 든다면) 이른바 바름과 착함이 지나친 것이라서 복이 된다 하여도 도리혀 재앙을 이루 게 된다 함인 것이다.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56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57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59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60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61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