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五十六章 .
知者不言, 言者不知,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紛,和其光, 同其塵, 是
지자불언, 언자부지, 색기태, 폐기문, 좌기예, 해기분,화기광, 동기진, 시
謂玄同,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疎,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不可得而貴,
위현동,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불가득이리, 불가득이해,불가득이귀,
不可得而賤, 故爲天下貴.
불가득이천, 고위천하귀.
지혜로운 자는 입을 열어선 짓거리지 않는다 말로 짓거리는 자는 슬기롭다 못할 것이다 그 혀의 움직임을 막아버리고 그 입이라 하는 門戶(문호)를 닫고 그 날카롭게 튀어나오려는 銳鋒(예봉)을 挫折(좌절)시키고 그 紛擾(분요)함을 풀어 버리고 그 빛을 和悅(화열)하게 하여선 그 蒙塵(몽진)세상과 더불어 한다 이를 갖다가선 그윽하게 스며들어선 어울린다 하는 것이니 이렇게 된다면 감히 親疎(친소) 利害(이해)貴賤(귀천)을 나누어 논할 건덕지가 없어진 것처럼 보여질 것이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서 천하 삶들이 질적인 향상 고귀하여 질 수 있는 문제 인 것이다 또는 天下(천하)에 그 道(도) 행하는 것을 찾아보기가 稀貴(희귀) 하다 할 것이니라
어느 구석이 道[도]가 스며들고 쳐박혔는지 구분을 할 수 없음으로 그 회귀하여선 찾아 볼 수가 없을 정도라는 것이니 그 내색 않고 비춰 보이질 않는다는 것이리라 하지만 곳곳이 틈틈이 道[도]가 베어 들어선 그 마치 물이 틈새만 있다면 파고들어선 채워져 있는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선 그 천하에 道(도)가 행하여지는 것을 말하는 것이리라
* 앞서 번 장과 문맥이 통하지 않는 모습이다 앞서 번 문장도 그 의미의 矛盾(모순)을 指摘(지적)하고 있는 모습인데 兒(영아)처럼 되는 것이 道(도)라 하여 놓고선 그렇게되면 온갖 좋은 것이 된 것처럼 하고선 그 삶이 有益(유익)한 것과 心氣(심기)를 부리는 것을 강성해진 것으로 몰아 넣고선 그렇게 된다면 싱싱한 것이 되고 싱싱한 것 치고 노쇠하지 않는 것 없다하고 노쇠 하는 것은 변함 없는 항구한 道(도)가 아니므로 그 거둬 치울 것을 주장하고 있는 바라 이렇게 文脈(문맥)이 앞뒤가 않 맞고 뒤틀리는 性向(성향)을 가져오고 있는 것인데 아무리 간교한 말을 짓거려 된다고 하여선 그 문맥이 앞뒤가 않 맞는 것을 바로 할 수는 없는 것인데 그 阿附(아부)하는 解釋(해석)자들이나 맞장구 칠 내기이지 필자는 그렇게 비위 맞추는 일은 죽어도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리라
兒(영아)처럼 되는 것이 老聃(노담)의 입장으로서는 삶을 有益(유익)하게 하는 것인데 그렇게되면 그 진척 되는 상황으로 봐서 끝내는 道(도)가 아닌 것으로 몰려선 否定(부정)되는 것인지라 소이 그렇게되면 고만 둘 것이라 하고 있음인 것이 그 矛盾(모순)도 이만저만 아니라는 것이리라 그 文脈(문맥)을 따로 떼어 놓고선 所以(소이) 知常曰明(지상왈명)이라 하는 句節(구절) 까지 하고선, 그 아래 그렇다면 益生曰祥(익생왈상)이라 하는 말은 그 老聃(노담)의 전개하고자하는 意圖(의도)에 반대하는 시초점이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고도 할 것인데 所以(소이) 損益(손익)이생 기는 삶은 상서로운 것이라 하고 마음이 기운을 부리는 것은 강성함 이라 하고 이렇게 해선 푸르싱싱한 힘참을 보여주면 그 언젠가는 노쇠함을 가져 온다하고 그런 늙어 뻐지는 것은 道(도)가 아니라 하고 道(도)가 아니면 일찍이 고만둘 것을 주문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 그러니깐 成長(성장)하지 말고 장철 兒(영아)로만 있으라는 것인데 그 語不成說(어불성설)도 이만저만이 아니라 할 것이라 이미 兒(영아)를 말할 적 부텀 그 나중은 늙어 꼬부라진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는 내용이 되질 않는가 하여 보는 것이라 변함 없고 제자리를 지킨다는 것은 그 무슨 허공이나 공기이나나 별이나 태양이나 달이나 이런 것을 指稱(지칭) 譬喩(비유)辭(사)로 이끌어선 말을 한다면 그 말이 되겠지만 成長(성장)관계와 聯關(연관)지어진 것을 類推(유추)한다는 것은 이미 그 장차 그렇게되어질 것을 예고하고 말하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아무리 좋은 내용을 갖고선 美麗(미려)하게 장식을 한다하여도 자연 사람의 생각이 싫증을 내는 것처럼 그 시들어지게 마련이고 퇴색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무슨 장철 어린애 타령이인가 이런 내 논조이다
이번 장에 와서도 그 知者(지자) 타령을 하고 있는데 그 헐뜯기 하려면 한정이 없겠지만 그대稱(칭) 不知者(불지자)는 없겠으며 그 象(상)이 벌어진 事物(사물) 같은 것이라면 우주가 다 들어찬다 할 것인데 그 편벽 된 말을 한쪽을 들어선 주어 섬길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슨 말을 하던 다 語弊(어폐)가있고 矛盾(모순)이 생기는 법인지라 함부로 그 자신의 주장을 피력하기가 쉽지만은 않다는 것이리라 세상 사리가 親疎(친소)나 利害得失(이해득실) 貴賤(귀천)을 떠나선 있을 수가 없는데 所以(소이) 돌아가질 않을 것인데 그런 말을 주어 섬긴다는 것은 정체의 죽엄의 세상이나 가당할 것인가 그렇치 않고 유동적으로 작용하는 세상은 그 희망 생각일 내기이지 그 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것을 다 버리고 세상의 나아진 발전 고귀한 신분 같은 세상을 생각한다면 말이 되질 않는 것이다
세상은 그저 紛擾(분요)하고 騷動(소동)하는 가운데서 발전을 보고 화려한 영화의 꽃을 피워선 번영을 구가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주둥이 닫고 짓거리지 말라하니 그 말이 될법한 얘기인가 이런 내의 생각이다 뭘 갖고선 지헤롭다 하는 것인지... 그냥 세상 돌아가는 것의 운행공로를 가로채어선 제가 묵묵히 하여선 하여 논 것이라고 우겨되는 표현인가 그렇다면 도둑넘이지 그 무슨 道(도)이며 道(도)를 주창하는 聖賢(성현)이라 할 것인가 이다 이 모두 머리에서 괴뢰의 조종을 받아선 吐說(토설)해 놓는 말장난에 불과한 것이지 그 하나도 거기 주장 동조하고 쇠뇌 될 건덕지가 없다할 것임에 일체 그 무슨 주장을 내거는 대갈 머리들을 바셔선 사람들로 하여금 어지러운 주장 논리로 부텀 해방감을 만끽하게 하여야만 한다 할 것인지라
이것이 바로 진정한 사람의 옥죄는 굴레를 벗겨주는 것이지 그 무슨 성현이라 하는 작자들의 甘言利說(감언이설)에 놀아나선 심신이 荒廢化(황폐화)당할 이유가 없다할 것이다 일체 툭툭 털어 버린다면 그 먼지는 다 털려 나가게 마련인지라 그 논리가 사람 볼테기라면 그 웅얼거리는 귀싸대기를 한 대 쳐 갈기고 물러 내다 앉을 것을 권유하는 바이다
애들만 낫게 치고 어른을 輕視(경시)하는 敬老思想(경노사상)이 결여된 이론들인지라 늙어지지 않으면 장차 젊은 것인들 어디서 蘇生(소생)할 것인가 가을이 있어선 그 낙엽이 歸根(귀근)하고 겨울게 貯藏(저장) 하였다간 봄이 되면 다시 새움이 나게되어 있는 것이 자연의 이치인데 이런 것을 否定(부정)하여선 道(도)가 아니라 하고 고만둘 것을 청한다면 그냥 가만히 시간의 停滯(정체) 죽엄을 기다리라는 그런 말로도 들린다할 것이다
노인을 공경한다는 것은 그 노련미 완숙미를 공경하는 것인지라 많은 경험을 토대로 금자탑을 쌓은 모습이 바로 노쇠하여진 모습으로 보여준 것인데 이것을 한쪽 비춰진 면만 보아선 기운 다빠져 꼬부랑 할아범 마귀 할망구 된 것으로 여긴다면 장차 새로 생기는 것인들 어디로 指向(지향)할 바를 잃게 될 것인지라 노련하고 완숙미를 갖추지 말라함은 곧 젊어선 그냥 오래살지 말고 얼른 淘汰(도태) 되라는 그런 가르침인데 그 무슨 道(도)이며 그 무슨 변함 없고 장구하게 가는 가르침이라 할 것인가 이런 내 논조다
자연을 본다면 그렇게 陰陽(음양)질서가 돌고 돌아선 만물을 巡行(순행)시켜선 발전 성장시키는 것이지 그냥 가만히 돌부처처럼 있어선 발전을 보는 것은 아니다 내 주장이 거시안적이지 못하고 그 자연 속의 운행 일부를 들어서 말한다하고 그 전체의 틀을 보지 못한다하고, 자연의 그렇게 돌아가는 법칙은 변함 없다는 것을 노담이 恒久(항구)不變(불변)으로 주장하는 道(도)라 하는 것이라 할 지라도 그게 어떻게 兒(영아)로 보인단 말인가 그 눈이 멀어도 한참 멀은 것이 영아가 장철 兒(영아)란 말인가 그 넘도 성장할 적 있고 그래해선 자기 위상 드러낼 적이 있지.... 지금 세상에 사람들이 다 걸쳐온 것을 갖고선 그 그렇게 그 무슨 根本(근본)으로 復歸(복귀)하자 하느니 하는 시계바늘을 꺼구로 돌리려 하는 듯한 주장을 내어 걸으니 그 내거는 자체 그것으로도 이미 矛盾(모순)이라 할 것이다
일체 老聃(노담)이 말짓거리는 것 따를 것 없고 공자 쫓아 다니며 훼방 놓는 듯한 항퇴의 말을 따르는 것이 지극히 타당하다할 것이다
나에 말을 헐뜯기 하는 징글맞은 미물로 같은 것으로도 그 夢事(몽사)에 표현 하지만은 그 물 속에 흐믈 흐물하게 생긴 그 뭐 바닷 멍게 불가시리 갯지렁이 이렇게 보기 흉물인 것으로 비유 흉물 떠는 것으로 보고 심상이 곱지 못하고 흉측한 것으로 비유하는데 老聃(노담)이야 말로 나보다 더 흉측 하면 하였지 덜하진 않으리라는 것이리라 그 假面(가면) 벗어 던지고 실제모습 자기가 고만 세상 독차지 하겠다는 것을 솔직하게 토설하라는 것이리라 괜히 궤변 늘어 놓아선 사람들 정신 파먹는 벌거지 역할 하지 말고선 말이다 ....
* 本文 第 五十六章 = 지혜로운 자는 말씀치 않고 말씀하는 자는 지혜롭다 할 수 없다. 그 혀를 막고 그 문을 닫고 그 예봉을 꺽고 그 어지러움을 풀고 그 빛을 화순케 하고 그 티끌과 같이한다 이를 일러 그윽함과 같이 함이라 한다 그렇게 얻어서 친히 할 것도 아니고 그렇게 얻어서 성길게 [틈나다, 소원하다, 간격이 멀어져 새가 벌어진 것을 뜻한다할 것이다] 할 것도 아니고 그렇게 얻어서 이롭게 여길 것도 아니고 그렇게 얻어서 해롭게 여길 것도 아니고 그렇게 얻어서 귀하다할 것도 없고 그렇게 얻어서 천박하다고 여길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천하의 귀가된다 할 것이다.
* 지혜로운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지혜롭지 못하다 그 혀를 막고 그 문을 닫아걸고 그 날카로움을 문드러지게 하고 그 분요함을 풀고, 그 빛을 화락하게 해선 그 몽진 사회와 어울린다 이를 갖다가선 그윽한 같이함, 알건 모르건 간에 같이 어울려 산다 하는 것이다, 그래 친근하다 할 수도 없고 그래 소원치도 않고, 그래 잇속만을 챙기려들지도 않고, 그래 해악을 끼치지도 않으며, 그래 귀티 나는 짓도 않 하고 그래 천박한 모습도 드러내지 않는다 이러므로 천하의 귀함이 되는 것이다
蘇註
소주
道非言說 亦不離言說 然能知者未必言能言者未必知 唯塞兌閉門以杜其外
도비언설 역불이언설 연능지자미필언능언자미필지 유새태폐문이두기외
挫銳解紛和光同塵以治其內者 默然不同 而與道同也 可得而親 則亦可得
좌예해분화광동진이치기내자 묵연부동 이여도동야 가득이친 즉역가득
而疏 可得而利 則亦可得而害 可得而貴 則亦可得而賤 體道者 均覆萬物
이소 가득이이 즉역가득이해 가득이귀 즉역가득이천 체도자 균복만물
而孰爲親疏 等觀逆順 而孰爲利害 不知榮辱而孰爲貴賤 情計之所不及 此
이숙위친소 등관역순 이숙위이해 불지영욕이숙위귀천 정계지소불급 차
所以爲天下貴也.
소이위천하귀야.
* 소씨 주석하대.
길이란 말씀으로 할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말씀을 떠날것도 아니다 그러히 잘 지혜로운 자는 반드시 말씀으로 할 려고 않고 말 잘하는 자는 필히 지혜롭다고 도 할수도 없다 오직 혀를 막고 문을 닫아 그 밖에 들어올려 함을 막음을 쓰게되는 것이고 銳鋒(예봉)을 꺽고 어지러움(분잡함)을 풀고 빛을 화순케 하고 티끌을 같이 함으로써 그안을 다스리는 것이 된다 묵묵히 그러히 같이 아니하는 것 같아도 길과 더불어 같이 함이 된다 그렇게 얻어서 친히 할만하면 역시 그렇게 얻어서 성길만하고 이로울만하면 역시 해로울만하고 귀하게 열길만 하면 역시 천박하게 여길만 한게 되는 것이다. 길의 이치를 몸하는 자는 균등하게 만물을 감쌈이라서 무엇을 친하고 성길음 등을 삼으며 거스름과 순함의 관점을 . 갖음일 것이며. 무슨 이해득실을 위할것인가? 영화와 욕됨을 모른는 데선 무엇이 귀천이 된다할 것인가?, 정분의 계산의 영향이 미치지 아니함을 이 소이 천하에 귀함된다 함이리라 (*이러하면 소이 천하에 귀함된다 아니할 것인가?)
呂註
여주
知至於知常 則知之至也 知之至 則默而成之 而無不理也 何所容心哉 苟
지지어지상 즉지지지야 지지지 즉묵이성지 이무불리야 하소용심재 구
爲不能無言 則不能無我 雖知之非眞知者也 故曰 知者不言 言者不知 塞
위불능무언 즉불능무아 수지지비진지자야 고왈 지자불언 언자불지 새
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則默而成之之道也
기태 폐기문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시위현동 즉묵이성지지도야
若然者 萬物一府 死生同狀無所甚親 無所甚疏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疏
약연자 만물일부 사생동상무소심친 무소심소 고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不就利 不違害 故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不榮通 不醜窮 故不可得而貴
불취이 불위해 고불가득이이 불가득이해 불영통 불추궁 고불가득이귀
不可得而賤 夫可得而親疏利害貴賤者 則貴在於物 而物能賤之 不可得而
불가득이천 부가득이친소이해귀천자 즉귀재어물 이물능천지 불가득이
親疏利害貴賤者 貴在於我而物不能賤也 其爲天下貴 不亦宜乎 然則知道
친소이해귀천자 귀재어아이물불능천야 기위천하귀 불역의호 연즉지도
者固終不言 故曰 今以言言道 則言非道也 而知者 乃以言爲知 則是知知
자고종불언 고왈 금이언언도 즉언비도야 이지자 내이언위지 즉시지지
矣 斯言所以不得不出也 以其言出於無言 雖言猶不言也 夫道豈默然也哉.
의 사언소이불득불출야 이기언출어무언 수언유불언야 부도기묵연야재.
* 여씨 주석하대.
앎 음이 늘상의 지식(*지혜) 갖은데 이르면 앎이 지극하다할 것이다 앎이 지극하면 묵묵히 있어도 이루어서 이치 아닌 것이 없는데 뭣 하러 마음을 거동 한다 할 것인가? 실로 말을 없이함에 능통치 못하면 내라함 없음에도 잘하지 못한다 할 것이니 지식이 참 지식이(*지혜가 참지혜가 ) 아닌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지혜로운 자는 말치 않고 말하는 자는 지혜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 혀를 막고 그 문을 닫고 그 날카로운 끝을 꺽고 그 분잡함을 정돈하고 그 빛을 화순케 하고 그 티끌을 같이한다하니 이를 일러 그윽함과 같이한다하고 곧 묵묵하게 이루어 나가는 길이라 하는 것이다 그러할 것 같으면 만물이 한마을이라서 죽고 삶이 같은 얼굴일 테고 너무 친할 것도 없고 그렇다고 너무 성길 것도 없고 한지라 그러므로 바르게 얻어서 친할 것도 없고 바르게 얻어서 성길 것도 아니라 함인 것이다 이로운데도 나가지 않고 해로운데도 위배되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바르게 얻어서 이롭다 여길 것도 아니고 바르게 얻어서 해롭게 여길 것도 아니다 함인 것이고 영화로움과 통하지도 않고 더럽다해서 궁핍하지도 않은지라 그러므로 그렇게 얻어서 귀히 여길 것도 아니고 그렇게 얻어서 천박시 여길 것도 아니라 함인 것이다 대저 바르게 얻어서 친소 이해 귀천이 되는 것이라면 곧 귀함이 사물에 있음이라서 사물 또한 잘 천박시 여겨지고 그렇게 얻어서 친함과 성길음과 이로움과 해로움과 귀함과 천박하게 여기지 아니할 것은 귀함이 자신에게 있음이라서 사물을 천박시 잘 여기지 않는 것인지라 그 천하의 귀함이 된다함이 또한 마땅타 아니할 것인가? 그렇다면 길을 아는 자 실로 마침내 말씀치 아니할 것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말로써 길을 말한다면 곧 길 아님을 말함이요 지혜로운 자 말로써 지식을 위하면 곧바로 지식을 지혜로 여김이라 하리라 이런 말씀은 소이 얻지 않음 내지 않는다는 것이니 그 말 쓰길 말씀 없음에서 냄 비록 말함이 오히려 말 아니함 같다할 것이다 대저 길이 뭘 묵묵하게 그러하다할 것인가?
朴註
박주
知者不言心了至理如鏡照物無待於言也 言者不知口誦前說如矮者場無益於
지자불언심료지리여경조물무대어언야 언자불지구송전설여왜자장무익어
知矣 多言雖窮不如大辯之若訥 故欲其塞兌 閉門 挫銳解紛和光同塵 持玄
지의 다언수궁불여대변지약눌 고욕기새태 폐문 좌예해분화광동진 지현
默而守淸靜 和於衆而無所爭也 玄同者言其深穆而不崖異也 不狎則不親
묵이수청정 화어중이무소쟁야 현동자언기심목이불애리야 불압즉불친
不叛則不疏 不貪財則無所利之 不求勝則無所害之 無患得之心 則寵祿輕
불반즉불소 불탐재즉무소리지 불구승즉무소해지 무환득지심 즉총록경
而難以貴無患失之心 則恥辱遠而難以賤 故能和而不流濁立而爲天下貴
이난이귀무환실지심 즉치욕원이난이천 고능화이불유탁립이위천하귀
*박씨 주석하대,
지혜로운 자는 말치 않는다 함은 마음의 깨달음이 이치에 다다르길 거울이 사물을 비추는 것 같아서 말할걸 기다릴 필요가 없고 말씀으로 그뜻을 나타내려는 자는 지혜롭지 못한지라 입으로 앞 말씀들을 외워도 보는 마당을 버림 같아서 앎에 유익한 게 없음이리라 말을 많 이하여 자주 궁색해짐이 큰 말 잘함의 어눌함만 못하다하는 지라 그러므로 그 혀 놀림을 막고 그 문을 닫고 그 예봉을 꺽고 그 분잡 함을 풀고 그 안색(*빛)을 화순하게 하고 티끌과(여너 사람 등 평범한 삶의 처신)같이함 그윽하게 묵묵하여서 맑고 고요함을 지켜 모든 것에 화순 하여서 다툴게 없다 그윽함과 같이 한다는 것은 그 깊숙이 화목하여서 언덕지거나 이상한 모습이나 행동을 짓지 않는 것을 말 함인 것이니 친압 하지도 않으면서 곧 친하지도 않고 배반치도 않으면서 곧 성길게 나대지도 않음을 말함인 것이고 재물을 탐하지 않으면 이로움을 할려는 게 없고 이김을 구하지 않으면 해로울 데도 없다 얻길 근심하는 마음이 없으면 록을 총애함도 가벼워서 얻음을 어렵게 여김을 귀함을 삼고(*어려움으로써 귀함을 삼고) 내버림을 근심하는 마음이 없으면 부끄럼과 욕됨이 멀어져서 내버림을 어렵게 여김을 천박함을 삼는지라 그러므로 능히 화순 하여 져서 번지지(*불확실한데 유언 비어등)않고 홀로 서서 천하에 귀함이 된다 할 것이다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54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55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57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58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59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