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八十一章 .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辯, 辯者不善.知者不博, 博者不知. 聖人不積,
신언불미, 미언불신. 선자불변, 변자불선.지자부박, 박자부지. 성인부적,
旣以爲人,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天之道, 利而不害, 聖人之道, 爲而不
기이위인,기유유, 기이여인, 기유다.천지도, 이이불해, 성인지도, 위이부
爭.
쟁.
신용 있는 말은 교태스럽지 못하고, 선한 자의 말은 웅변을 토할 줄 모른다 알량한 지식을 자랑하려 드는 자는 그 포용능력이 드넓지를 못하고 허심탄회한 그릇이 되어선 수용능력이 무한한 자는 아는 체 함이 없다 聖人(성인)은 무언가 가진 것이 있다면 쌓아 놓치를 않으시고 이미 사람들을 위하여선 널리 펼치신다 몸에 이미 治癒(치유)할 藥(약)을 가지셨다면 이미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자 하신다 몸에 치유할 약이 많은 것을 어디에다 쓸 것인가 이다 하늘의 길은 이로움과 해롭지 않음을 논하는 것이나니 세상 인민을 위하면서 그런 것을 갖고서 다투려들지 않나니라
이런 것의 그 의미가 머리가 슬기롭지 않으면 展開(전개)되지를 못하는 말들인 것인데 신용할만한 말이 아름답지 못하다하는 것은 말만 번지르 하게 하는 자 치고 불성실하지 않은 자가 드믈다는 것이리라 그러니 그런 감미로운 말을 누가 신용할 것인가 이다 所以(소이) 惑世誣民(혹세무민)하려는 자 치고 그 말이 감미롭지 아니한바가 없다는 것인데 거기 그렇게 빠지라고 말로서 함정을 판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의 耳目(이목)을 쏠리게끔 雄辯(웅변)을 吐(토)하는 자 그 속셈이 善(선)한 자가 드믈다는 것이다 무언가 계산하여 넣은 바가 있으니깐 그렇게 熱變(열변)을 토하면서 사람들을 꼬득이려 든다는 것이리라 그러니 그런데 넘어가면 고만 먹이 대상 포로로 잡힌 것이나 진배없게 된다는 것이다 진정한 슬기로운 자는 그렇치 않겠지만 자신의 식견이나 識者(식자)를 내세워 誇示(과시) 하려는 자 치고 그 포용할 능력이 작다는 것인데 그는 왜인가 자기 識見(식견)을 갖고선 어떠한 主長(주장)을 提示(제시)하고 내세우게 된다면 오직 그것만이 제일이라고 고집부리고 완고하게 나댈 것이므로 그 외의 사상들이 더는 들어갈 여백 용납될 구석이 없다는 것이리라 그러니 소견이 좁아지는 작은 그릇이라 할 수밖에 더 있겠는가 이다
이반면 그릇이 큰 자는 아는 체 하는 자기 주장을 그렇게 내세우려 들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 남의 주장도 받아드려선 消化(소화)할 수 있는 능력도 배양해 갖고 있다는 것이리라 물론 이러한 점을 노리고선 침공해 들어오는 전법이나 전술도 있다는 것을 수용하려는 사람은 다 캐치하고 있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그런 얇은 수작을 벌리는 자들도 더는 그 앞에서 자신들의 야비하고 비루한 뜻을 계속 주장만 할 수는 없다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그릇이 큰 자를 大人之象(대인지상)이라 하는 것이다 聖人(성인)은 무언가 가진 것이 있다면 자기혼자만 사용하려고 감추거나 그 잠재우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 목적이 남 여러대중 사람들을 위하려는데 있기 때문에 그 잠간 이라도 잠재우려 하지를 않고선 널리 전파하고 펼치려 들어선 그 불씨의 확대를 노려서 세상을 아주 크게 밝히려 든다는 것이다
혼자의 등불을 삼는 것 보단 여럿에게 나누어 준다면 여럿의 마음에 불을 짚히는 것이 되어선 그 훤하게 모두를 밝힐 수 있다는 그런 논리이다 이미 이렇게 남을 위하는 정신을 가졌다면 분명 자신은 많은 治癒(치유)하는 마음 所以(소이) 합리화 시켜 논 그 病的(병적)인 疑問(의문)에 대한 藥(약)과 같은 대답을 많이 장만하여 노 은 상태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人民(인민)大衆(대중)에게 나누어 주게 된다는 것이고 여러 대중의 病(병)을 治癒(치유)하게된다는 것이다 남을 위하려든다는 것은 자신은 그에 대한 藥(약)을 가졌다는 證據(증거)라는 것이다
하늘의 道(도)는 이롭고 不害(불해)한 것을 말하는 것이고 聖人(성인)의 道(도)는 그러한 하늘의 도를 펼치면서도 그 다른 주장들과 논쟁하려 들지 않는 다는 것이다 지금 이러한 말들을 들어서 귀에 즐겁지가 아니한 바가 없는데 모두 甘言(감언)에 해당한다는 것인지라 그러니 인간의 심리들이 박절치를 못하여선 거기 惑(혹)하여 들어선 그 마음 자리를 내어주는 宿住(숙주)역할을 自處(자처)하게 된다는 것이고 所以(소이)사람의 마음은 사마귀가 되고 이러한 甘言(감언)은 연가시가 되어선 그 宿住(숙주)로 하여금 渴症(갈증)을 일으키게 하여선 그 바닥 그물에 놀게 하여선 그 연가시가 기어 나오듯이 그 吐說(토설) 解脫(해탈)된 말들을 주어 섬기게 된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일체의 말을 하는 理論家(이론가)들은 모두 여치나 사마귀의 거프집 이요 그 우러나오는 말마다 이론마다 그 모두가 혐오를 느끼는 연가시라 하는 것인지라 그 듣기 좋은 꽃 노래도 한 두번 이요 보기 좋은 금강산도 자꾸 보면 신물이 날 것인지라 그러므로 모두가 다 염세적인 권태로움을 느끼게 한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그 마음 자리를 잘 보존하는 것이 제일 첫째가는 닦음이라 할 것임에 일체 이념이나 사상의 懷誘(회유)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의 마음에 있다할 것이다
도덕경 끝마무리를 爭者(쟁자)로 마치니 所以(소이) 전쟁하지 않으면 번영을 구가하지 못한다는 필자의 한결같은 주장과 一脈相通(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할 것이다 그저 머릿 통이 터지도록 싸움해서 살아남는 자 만이 그 이 세상에서 승리자로고 인정받는 자 가 될 것인지라 죽기 아님 살기로 도전정신을 일으켜선 그 목적하는 바를 쟁취할 것이라 고지를 점령할 것이라는 각오아래 크게 뛰어 보라는 것이리라
자기 합리화를 道(도)라 하고 託稱(탁칭) 하늘이라 하는 것일 진데 하늘이라 하는 것은 제 배짱과 맞으면 하늘이라 하는 것인지라 一種(일종)의 잡스런 鬼神(귀신)들 들꼬이는 형태를 가리키는 말이 된다 할 것이다 각자들 하늘이 이렇다고 주장들을 하게 되는데 그것이 어찌 여럿대중의 뜻이 일관적 일수 있겠느냐 이다 그러므로 하늘이라 하는 것은 여러 얼굴을 하고 있는가.... 그 자신의 마음이라 할 것이니 모다 잡스런 생각이 가득 찬 귀신 나부랭이일 뿐인 것이다 우물안의 개구리도 하늘을 동그랗다고 생각한다 하는데 하물며 여너 여러 각도에서 照明(조명)하는 것이야 말할 나위 있을 건가 이다
그래서 하늘 託稱(탁칭)하는 것은 자기 임의로 편의주의 발상에서 생기는 것이라 할 것임에 그 하늘 指稱(지칭)이 아무런 큰 의미가 없는 것이고, 제 주장이 最高(최고)라 하는 것에서 나온 자존과시 하려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라 할 것임에 호주머니에서 송곳이 튀어 나오는것처럼 그 우에든 남을 作害(작해) 하려는 모습을 그린다 할 것인지라 그러므로 일체 탁칭 하늘 神(신) 운운하는 머릿통 들을 말짱 그 아작을 내야 한다는 것이 이래 하는 말인 것이라 李斯(이사)의 焚書坑儒(분서갱유)가 이래 지극히 당연한 것이라 할 것이다 하늘 논리 主長(주장)하는 鬼神(귀신)에 무리들이 인간 난 이래 인간이 머리를 굴리는 이래로 그렇게 人間(인간)한테 作害(작해)를 일삼아 왔다는 것이고 심신의 황폐를 일으켰고 그 심신의 황폐화를 일으키는 도구로 삼았다는 것이리라 각자의 自我(자아)喪失(상실)을 일으키게 한 것이 바로 하늘 주장하는 논리들인지라 그런 제 주장이 잘 낫다 하는 무리들로 인해서 쇄뇌 시키려는 野慾(야욕)이 생겨선 다른 發開(발개)하지 못한 未開(미개)한 자들을 그렇게 빈 공간으로 여거선 터전으로 삼고선 그 作害(작해)를 일삼았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일체 거짓 브렁이 같은 神(신) 崇尙(숭상) 놀음을 거둬 치게 해야만 한다할 것인지라 그래야만 모든 이가 自我(자아)喪失(상실)로 부터 깨어나선 자기 본연에 心狀(심상)을 찾게되어선 그 으르렁 거리는 사회를 만들어선 그 집단 사회가 大成(대성)發展(발전)하게 한다는 것인지라 일체 甘想(감상)에 젓게 하는 이론들을 마음자리로 부터 뿌리채 뽑아내야만 한다 할 것이고 일체 나약하게 하는 양심이라 하는 연약하게 하는 뿌리를 뽑아 버려 야지만 그 惡毒(악독)한 敵愾(적개)의 마음이 일어서는 그 種(종)은 크게 발전을 보게된다 할 것이다 오직 늑대처럼 승냥이처럼 으르렁 거리는 속에 우주는 팽창한다 할 것이다
간악하고 사특한 무리들이 이렇게 이리나 승냥이의 발톱을 숨기고선 甘美(감미)로운 羊(양)의 얼굴 모습으로서 꾀이는 방법을 택하여선 홀리는 여우처럼 활동하는 것을 필자는 단지 직설적으로 그래하라 말하는 것인지라 그 누가 더 정직하고 올곧은 것인가를 알 것인지라 간악한 방법을 우회전술로서 꾀이려는 자와 바로 그렇게 하라는 자와 그 차이일 뿐인 것인지라 그 필자의 논리가 사악한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읽는 이들은 새겨들을 것이라는 것이리라
* 이로써 도덕경 八十一章(팔십일장)의 나의 관찰에 대한 見解(견해)를 마칠가 하는 바인지라 이래 大尾(대미)를 장식하는 바이다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辯, 辯者不善.知者不博, 博者不知. 聖人不積,
신언불미, 미언불신. 선자불변, 변자불선.지자부박, 박자부지. 성인부적,
旣以爲人,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天之道, 利而不害, 聖人之道, 爲而不
기이위인,기유유, 기이여인, 기유다.천지도, 이이불해, 성인지도, 위이부
爭.
쟁.
* 本文 第 八十一章 = 말씀이 미더우면 아름답지 못하고 말씀이 아름다우면 미덥지 않다 말씀이 좋으면 말 잘하는 게 아닌 것이고 말씀함에 말 잘함은 착하지 못하다 아는 체 하는 자는 통이 크지 못하고 폭이 넓은체 하는 자는 별로 아는 게 없다 성인은 치적 치 아니하시나 벌써 남을 위하여 자신보다 가진 것을 낫 게하고 벌써 사람들에게 주대 자신보다 많이 낫게 한다 하늘의 길은 유익해서 해롭지 않고 성인의 길은 위하여 다툴게 아니다
* 미더운 말씀은 매끄럽지 못하고, 매끄러운 말씀은 미덥지 못하다 착한 자는 달변이 아니고, 꿀이 흐르듯 달변가는 착한 것이 드믈다 아는체 하는 자는 드넓은 자세가 되어 있질 못하고, 시야가 드넓은 사람은 아는 체 하는바가 없다,
성인은 경륜을 놓아 깁지 않아도 이미 사람들은 동화되고 감화 받아선 위하여가고, 이미[병들었던 심신]쾌차함이 있다면 이미 사람들과 어울리게 되고, 이미 쾌차한 무리들이 많아진다면 하늘의 길을 이행함이 이로와서 해롭지 않은 것을 알 수가 있고, 성인의 길 위하여 간다해도 다툴 일 있겠는가 이다 .
* 말씀이 진실 되면 매끄럽지 못하고, 화려한 말씀은 진실성이 적다, 선한자의 말은 어눌 하고, 달변가의 말은 사악하다, 지식을 팔려는 자는 자신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수용할 능력을 보유한자는 지혜를 삐죽하게 내밀거나 지식을 팔려들지 않는다 [世人(세인)으로 하여금 열등의식을 갖게 하여선 빈축을 하게 하지 않는다는 뜻임] , 성인은 이러한 잡다한 것들을 짜거나 깁지 않는다 .
이미 남을 위하려든다는 것은 자신한테는 더욱 보태기 요인으로 가졌다는 것이요, 이미 남에게 펼친다는 것은 [* 與(여)字(자)는 줄 與字(여자)도 되고 너 與字(여자)도 되고 되반문 하여 認知(인지)시키는 자 "그렇치 않은가?" 하는 의미로도 쓴다.] 자신한테는 심하게 많이 보유했다는 것이다.
하늘의도는 이로와서 해롭지 않고, 성인의도는 한다해도 다투려 들게 없다, 그러니까 常(상)이라 , 한번 유행처럼 반짝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하게 하는 것이란 것이다
蘇註
소주
信則爲實而已 故不必美 美則爲觀而已 故不必信 以善爲主 則不求辯 以
신즉위실이이 고불필미 미즉위관이이 고불필신 이선위주 즉불구변 이
辯爲主 則未必善 有一以貫之 則無所用博 博學而日益者 未必知道也 聖
변위주 즉미필선 유일이관지 즉무소용박 박학이일익자 미필지도야 성
人抱一而已 他無所積也 然施其所能以爲人 推其所有以與人 人有盡而一
인포일이이 타무소적야 연시기소능이위인 추기소유이여인 인유진이일
無盡 然後知一之爲貴也 勢可以利人 則可以害人矣 力足以爲之 則足以爭
무진 연후지일지위귀야 세가이이인 즉가이해인의 역족이위지 즉족이쟁
之矣 能利能害而未嘗害 能爲能爭而未嘗爭 此天與聖人大過人 而爲萬物
지의 능이능해이미상해 능위능쟁이미상쟁 차천여성인대과인 이위만물
宗者也 凡此皆老子之所以爲書 與其所以爲道之大略也 故於終篇復言之.
종자야 범차개노자지소이위서 여기소이위도지대략야 고어종편복언지.
* 소씨 주석하대,
신의가 있음 곧 진실될 따름이라 그러므로 아름다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아름다움은 곧 관찰하는 것일 따름이라 그러므로 미더움을 필요로 하는 건 아니다
착함으로써 주관을 삼으면 말 잘함을 구하지 않고 말 잘할 것을 주관을 삼으면 착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나를 가짐으로써 꿰뚫으면 폭넓은 게 쓸데가 없다 배움을 널리 하여서 날로 더하려는 자는 길을 아는걸 필요로 하지 않는다
성인은 하나를 포용할 따름이라 달리 치적 할 게 없다 그러나 그 잘하는 바를 펴서 사람을 위하려들고 그 가진 바를 미루어서 남에게 줄려든다 사람들이 다(*몽땅)가지게 하여서 하나라도 다 없앤 연후에 하나라도 알게하는걸 귀함을 삼는다
바르게 남을 이롭게 함으로써 세력을 쓰면 바르게 남을 해롭게 함이리라 힘을 넉넉함을 위하려 들면 곧 넉넉한 것으로 다투어 가는 것이리라
이롭게도 잘하고 해롭게도 잘 해서야 지만 해로움을 맛보게 아니한다
위하기도 잘하고 다투기도 잘 해서야 지만 다툼을 맛보게 아니한다 이 하늘과 함께 성인은 크게 사람들보다 넘침이라서 만물을 위하는 언덕 마루(*祖宗=조종)인 자가된다
무릇 이모든 것은 노자의 소이 글 된바 더불어 소이 길 위하는바 대략이다 그러므로 마지막 편에 거듭 말함인 것이다
呂註
여주
道之爲物 視之不見 聽之不聞 搏之不得 可以墨契 不可以情求者也 則信
도지위물 시지불견 청지불문 박지부득 가이묵계 불가이정구자야 즉신
言者信此而已 安事美 善言者善此而已 安事辯 知言者知此而已 安事搏
언자신차이이 안사미 선언자선차이이 안사변 지언자지차이이 안사박
由是觀之 則美者 不信辯者不善 搏者不知 可知已 何則 雖美與辯與搏 而
유시관지 즉미자 불신변자불선 박자불지 가지이 하즉 수미여변여박 이
不當於道故也 道之爲物 未始有物者也 聖人者與道合體 夫何積之有哉 唯
부당어도고야 도지위물 미시유물자야 성인자여도합체 부하적지유재 유
其無積 故萬物與我爲一 萬物與我爲一 則至富者也 故旣以爲人已愈有 旣
기무적 고만물여아위일 만물여아위일 즉지부자야 고기이위인이유유 기
以與人已 愈多 使其有積也 則用之有時而旣矣 安能愈有而愈多乎 老子之
이여인이 유다 사기유적야 즉용지유시이기의 안능유유이유다호 노자지
言也 內觀諸心 外觀諸物 仰觀諸天 俯觀乎地 無有不契 是信也 然而下士
언야 내관제심 외관제물 앙관제천 부관호지 무유불계 시신야 연이하사
聞而笑之 天下以爲似不肖 是不美也 言之至近 而指至遠 是善也 然而非
문이소지 천하이위사불초 시불미야 언지지근 이지지원 시선야 연이비.
以言爲悅 是不辯也 其知至於無知 是知也 而其約不離乎吾心 是不博也
이언위열 시불변야 기지지어무지 시지야 이기약불리호오심 시불박야
而學者以美與辯與博求之 則疏矣 老子之道也 以有積爲不足 雖聖智猶絶
이학자이미여변여박구지 즉소의 노자지도야 이우적위부족 수성지유절
而棄之 是無積也 故至無而供萬物之求 則是愈有而愈多也 而學者於是不
이기지 시무적야 고지무이공만물지구 즉시유유이유다야 이학자어시불
能 心焉 則不可得而至也 凡物有所利 則有所不利 有所不利 則不能不害
능고심언 즉불가득이지야 범물유소이 즉유소불리 유소불리 즉불능불해
矣 唯天之道無所利 則無所不利 無所不利 則利而不害矣 凡物之有爲者
의 유천지도무소리 즉무소불리 무소불리 즉이이불해의 범물지유위자
莫不有我 有我故有爭 聖人之道 雖爲而無爲 無爲故無我 無我故不爭 是
막불유아 유아고유쟁 성인지도 수위이무위 무위고무아 무아고부쟁 시
天之道而已矣.
천지도이이의
* 여씨 주석하대,
길의 됨됨이가 볼려고 해도 보지 못하고 들을려 해도 듣지 못하고 통이 커도 얻지 못해 바르게 묵묵한 약속을 쓰니 바르게 뜻으로써 구하지 못할 것이다 곧 말씀이 미더운 자 믿어 움이 이러할 따름이다
어느 일을 아름다움이라 하며 말씀이 착한 것이라 하는가? 이러할 따름을 착함이라 한다 어느 일을 말 잘함이라 하여 앎을 말함이라 하는 것인가? 이러할 따름을 앎이라 한다 어느 일을 넓은 것이라 하는가? 이로 말미암아 본다면 곧 아름다운 것은 미덥지 못한 것이고 말재주 부리는 것은 착하지 못한 것이고 통이 넓은 것은 앎이 없음인 것을 바르게 알 것이리라
어떤 법으로 비록 아름다움과 말 잘함과 통이 커도 길에 마땅치 못한 이유가 되는가? 길의 생김 됨됨이가 처음에 사물처럼 생김이 존재치 않은 것이나 성인 인자와 더불어 길이 몸을 합하였음이라 무릇 무슨 가진 쌓임이 있을 것인가? 오직 그 쌓임이 없는 지라 그러므로 만물과 더불어 내 하나가 된다 만물과 더불어 내 하나가되면 곧 지극히 부요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벌써 남을 위하여 몸보다 가진 게 낫 게하고 벌써 남에게 줌을 몸에 하는 것보다 더 많게 한다 하여금 그 쌓음 둔 것인 야 곧 때를 두어 씀에써 벌써 하였음이라 무슨 잘 가진 게 나음이며 많이 낫다할 것인가? 노자의 말씀은 안으론 모든 마음을 관찰하고 밖으론 모든 사물을 관찰해선 우러러선 하늘을 관찰하고 밑으론 땅을 관찰해선 약조 아니함 둠이 없다 바로 이런 게 미더움이다
그러하여도 아랫 된 큰 침이 없는 선비 듣고선 가소롭게 여김은 천하로써 본뜨지 못할 것 같기 때문이라 바로 이래 아름답지 못하다한다
말씀은 지극히 가까워도 가리킴은 지극히 멀다 바로 이래서 착하다한다
그러하여도 말씀으로써 깃거움 삼지 아니 함인지라 바로 이래 말 잘하지 아니함이라 한다 그 앎이 없음에 이르름을 바로 안다함 인 것이고 그 언약하여 내 마음에 떨어지지 아니함이 바로 통이 넓은 체 않는다는 뜻이라서 배우는 자 아름다움과 말 잘함과 통이 넓음을 구해간다면 듬성거려 성길어 지리라 (*소위 알찬 지식을 갖지 못하게 된다는 뜻) 노자의 길이란 것은 쌓임 가진 것으로써 부족한 것을 위함 이라써 비록 성스러움과 슬기로움을 오히려 끊고 버림 같음은 바로 이래 [*어떤 개체만을 위하여]쌓이는 게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극히 없음이라서 만물의 찾음을 갖춘다면 (*제공하는 것이면) 곧 바로 이래 존재 즉 가진 것을 낫게 하며 많이 더하게 함이다 배우는 자 바로 이런데서 마음 쪼개기를 잘못하면 (*여러 갈래. 여러 척도로 잼을 뜻함)곧 바르게 얻지 못하여서 이르리라 (*소이 마음의 통달이 지극한 경계에 다다르지 못한다는 뜻) 무릇 사물이 이로운 게 존재하고 이롭지 않은 게 존재한다 이롭지 않은 게 존재한다면 잘 해롭지 아니함이 없으리라 오직 하늘의 길 이로울 것도 없으면 이롭지 아니할 것도 없다 이롭지 아니할 바가 없다면 이로와서 해롭지 아니 하리라
무릇 사물의 하염 있는 것 내라하는 존재 아니 없음이라 내라함이 있는 이유로 다툼이 있다 성인의길 비록 하여도 함이 없고 함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내라함이 없고 내라함이 없는지라 다투지 않는다 바로 이래서 하늘의 길이라 할 따름이다 {*하늘 길이라 하는 것이다)
朴註
박주
言信者 質而無采 言美者華而無實 善故不辯 不辯不足掩其言辯 由不善
언신자 질이무채 언미자화이무실 선고불변 불변부족엄기언변 유불선
不善不能飾以辯知者 不博一致而該萬殊博者不知多聞 而寡要旨 言妙道不
불선불능식이변지자 불박일치이해만수박자불지다문 이과요지 언묘도부
在於辯 博華美之間 其眞知至善誠信之言 又衆人之所同忽 此亦歎天下之
재어변 박화미지간 기진지지선성신지언 우중인지소동홀 차역탄천하지
莫已知也 以力爲人以財與人 則人共歸助力 愈强而財 愈富以道 爲人以德
막이지야 이력위인이재여인 즉인공귀조력 유강이재 유부이도 위인이덕
與人則人共化服道 愈太而德愈盛此爲人與人 愈有愈多之效 而以不積爲積
여인즉인공화복도 유태이덕유성차위인여인 유유유다지효 이이불적위적
者也 故曰 天之道利物而不害於物 聖人之道爲人而不爭於人 八十一章之
자야 고왈 천지도이물이불해어물 성인지도위인이불쟁어인 팔십일장지
旨 都在於爲而不爭故 結之以此
지 도재어위이불쟁고 결지이차
* 박씨 주석하대,
믿을만한 말씀인 것은 질박해서 꾸밈이 없다
아름다운 말인 것은 화려해서 실속 좋은 게 없다 그러므로 말 잘 할려 하지 않는다
말 잘 할려 하지 않아야 그 착함을 가림을 넉넉하게 못한다
말 잘함은 착하지 못함으로 말미암았으니 착하지 아니한걸 잘 장식 할게 아닌 것이다
말 잘함으로 아는 체 하려는 자 오로지 하나에 다다름을 하지 못하여
만가지 가르침이 오로지 (*순전히) 다른 것들 만이라 듣기는 많이 하게 해도 모르게 한다 적게 요점에 뜻만 말씀하는 미묘한 길은 말을 잘해서 순전하게 화려하고 아름다움을 꾸미는 상간에는 있지 않다
그 참으로 지극한 착함과 정성스런 미더움의 말씀 할 줄 을 앎음 이라도 또 모든 사람과 같이 할바 를 소홀히 한다면 이 역시 천하 자신이 앎이 없음을 탄식할 것이다
힘으로써 남을 위하고 재물로써 남에게 주면 사람들이 한가지로 도우는 데로 돌아가 힘 더욱 강해지고 재물 더욱 부요해 질 것이다
길로써 사람들을 위하고 덕으로써 남에게 주면 사람들이 한가지로 감화 복종해서 길 더욱 커지고 덕 더욱 번성해질 것이다
이러함을 갖다 사람들 위하고 사람들에게 주어 더욱 가지게 하고 더욱 많게 하는 효험이라서 쌓지 않음을 써 쌓음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하늘의 길 사물을 이롭게 하고 사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함이니 성인의 길 사람을 위하여 사람에서 다투지 않는다 팔십 일장의 뜻은 한갓 위함에 있어 다툴 연고가 아니라는 것이다 로
결론을 이렇게 냈다 (*역자부언 = 끝에 와서 다른 사상에 글을 인용해서 뭣하지만 석씨 모양에 메이지 않고 보시한다는 정신이나 무엇을 위하려 하는데 사상 논쟁 등 다른 것을 갖고서라도 다툴 이유가 없다는 것이나 그 자타 등을 위한다는 입장에선 거의 비슷함이라 서로 양보하는 자체가 벌써 위하려드는 정신 자세라 할 것이다)
* 道德經(도덕경) 註解(주해)者(자)들
蘇子由(소자유)는 蘇軾(소식) 소동파의 동생으로서 북송때 사람으로 당송 팔대가에 속한다
呂(여)吉(길)甫(보)도 북송때 사람이다 이식재 도 북송때 사람임
朴(박)西(서)溪(계)는 조선조 사람이다
당송팔대가 [唐宋八大家]
요약
중국 당(唐)나라의 한유(韓愈)·유종원(柳宗元), 송(宋)나라의 구양수(歐陽修)·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蘇轍)·증공(曾鞏)·왕안석(王安石) 등 8명의 산문작가의 총칭.
* 한유·유종원은 육조 이후 산문의 내용이 공소(空疎)하며 화려한 사륙변려체(四六騈驪體)의 문장인 데 대하여, 진한(秦漢) 이전의 고문으로 돌아가, 유교적 정신을 바탕으로 간결하며 뜻의 전달을 지향하는 새로운 산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고문운동(古文運動)이다.
이 운동은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지만 두 사람이 죽은 후에는 점차 기세가 약해졌다. 그것은 새로운 표현과 착상의 연구가 뜻의 전달성을 희박하게 하였고, 또한 도덕지향(道德指向)의 면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도학 냄새가 짙은 것이 원인이었으며, 그 반동으로 당나라 말기에서 5대에 걸쳐 육조식(六朝式) 탐미적 산문(耽美的散文)이 부활하였고, 북송(北宋)의 천성기(天聖期)가 되자 구양수가 한유의 문집을 규범으로 하여, 알기 쉽고 유창한 산문을 만드는 혁신운동에 앞장서, 이 운동으로부터 소순·소식·소철·증공·왕안석 등 우수한 문학자가 배출되었다.
당송팔대가라는 병칭(竝稱)은 송나라의 진서산(眞西山)이 처음으로 주창하였고, 뒤이어 당순지(唐順之)가 당나라·송나라의 우수한 작가를 이 8명으로 묶어 산문선집 《문편(文編)》에 수록하였으며, 다시 명(明)나라의 모곤(茅坤)이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160권)를 편집하여 보급하였다.
*왕필 [王弼, 226~249]
중국 위(魏)나라의 학자.
별칭 자 보사(輔嗣)
국적 중국 위(魏)
출생지 중국 산둥성[山東省]
주요저서 《노자주(老子註)》 《주역주(周易註)》
자 보사(輔嗣). 산둥성[山東省] 출생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난 데에다 유복한 학문적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관료인 하안(何晏) 등에 그 학식을 인정받아 젊은 나이에 상서랑(尙書郞)에 등용되었고,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의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한(漢)나라의 상수(象數: 卦에 나타나는 형상과 변화)나 참위설(讖緯說: 예언학의 일종)을 물리치고 의(義)와 이(理)의 분석적·사변적(思辨的) 학풍을 창설하여 중국 중세의 관념론체계에 영향을 끼쳤다. 체용일원(體用一源)의, 무(無)를 본체로 하고 무위(無爲)를 그 작용으로 하는 본체론(本體論)을 전개하여 인지(人知)나 상대세계(相對世界)를 무한정으로 보는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에 귀일함으로써 현실의 모순을 해결하려고 하였다. 저서인 《노자주(老子註)》 《주역주(周易註)》는 육조시대(六朝時代)와 수·당에서 성행하였으며, 현존한다.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76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77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78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79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80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