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이론
1. 음 양(陰陽)
동양의 易철학에서는 모든 사물을 해석하는 원리가 陰陽개념에 그 기초를 둔다. 陰과 陽의 분리와 조화를 통하여 사물을 인식하고 있다. 그럼 우리 주변에서 변화하는 사물들 중에, 陽으로 분류되는 것은 무엇이고, 陰으로 분류되는 것은 무엇일까?
다음을 참고하라.
(陽) 天‧日‧男‧動‧頭‧美‧重‧上‧開‧大‧書‧凸‧現‧左‧南‧喜‧春‧夏‧長‧高
(陰) 地‧月‧女‧靜‧足‧醜‧輕‧下‧閉‧小‧夜‧凹‧隱‧右‧北‧悲‧秋‧冬‧短‧低
이 외에도 삼라만상을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나, 모든 사물을 모두 설명하기란 불가능하므로, 음양을 분류하는 이치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물의 형태나 성질을 살펴서, 노출된 것, 능동적인 것, 정신적인 것 등은 陽에 속하고, 감추어진 것, 피동적인 것, 물질적인 것 등은 陰에 속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물을 두 가지 성질로 분류한다고 하여, 음양의 속성이 善과 惡으로 대비되거나 적대되는 것은 아니다.
天과 地가 양과 음의 성정으로 분류될 수는 있으나, 天과 地는 별개의 독립체가 아니며, 오히려 서로 협력하여 만물을 化生하는 和合관계를 이루고 있다. 음양은 상호 보완하는 관계이며, 그로 인해 각각이 존재할 수 있게 된다. 天은 地라는 상대가 있으므로 존재하게 되고, 地 역시도 땅과 하늘의 경계가 없다면 진정한 의미의 地일 수는 없는 것이다.
슬픔이란 감정은 기쁨이라는 비교 감정이 없이는 느낄 수가 없는 것이며, 기쁨도 역시도, 과거 언젠가 슬픔 감정을 맛보지 못했다면, 기쁜 감정을 느낄 수 없는 것이 이치이다.
陽이 있고 陰이 없다면 陽도 없는 것이요, 陰이 있고 陽이 없다면 陰도 있을 수 없는 것이다. 陰은 陽과 둘이면서 하나요, 하나이면서 둘이다. 그래서, 사물이 존재하려면 음양이 항상 같은 크기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음양의 속성 구분은 오행요소들의 상호작용 결과로 발생하게 된다.
2. 오 행(五行)
陰陽을 분석하면 五行이요, 五行을 조합하면 陰陽이 된다.
예를 들어 나무를 분석하면 뿌리‧줄기‧잎‧열매 등으로 나뉘어 작용하며, 이들을 조합해서 나무라 칭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실제 작용을 담당하는 것은 오행요소이며 그 작용과정에서 매순간 일어나는 오행 변화가 음양을 대표하는 것이다.
木 火 土 金 水, 이상의 다섯 가지를 일러 五行이라 칭한다.
동방문화의 전통적 사상은 오행을 삼라만상 및 運命律의 구성요소라고 보아왔다. 불교에서 말하는 四大[地 水 火 風]와 유사한 발상법이며, 周易에서 발생하는 四象[太陽 少陰 少陽 太陰]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火의 원리와 太陽의 원리가 비슷하고, 水의 원리와 太陰의 원리가 비슷하고, 木의 원리와 少陰의 원리가 비슷하고, 金의 원리와 少陽의 원리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中性的 역할과 母體的 역할을 하는 土가 하나 더 있을 따름이다.
삼라만상(森羅萬象)을 오행으로 분류한 다음 도표를 참고하라.
• 오행분류표(五行分類表) •
|
本質 |
方位 |
季節 |
氣候 |
色 |
性質 |
動物 |
臟 |
腑 |
五官 |
味 |
臭 |
志 |
數 |
木 |
有機質 |
東 |
春 |
風 |
靑 |
仁 |
길짐승 |
肝 |
膽 |
目 |
酸 |
操 |
怒 |
三八 |
火 |
氣體 |
南 |
夏 |
暑 |
赤 |
禮 |
鳥類 |
心 |
小腸 |
舌 |
苦 |
焦 |
喜 |
二七 |
土 |
모두 포함 |
中 |
中季 |
복합 기후 |
黃 |
信 |
人 |
脾 |
胃 |
口 |
甘 |
香 |
憂 |
五十 |
金 |
無機質 |
西 |
秋 |
冷 |
白 |
義 |
甲虫類 |
肺 |
大腸 |
鼻 |
辛 |
腥 |
悲 |
四九 |
水 |
液體 |
北 |
冬 |
寒 |
黑 |
智 |
魚類 |
腎 |
膀胱 |
耳 |
鹹 |
腐 |
恐 |
一六 |
위와 같이 삼라만상을 오행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오행은 각기 상호간에 상생의 작용과 상극의 작용이 있는데, 이를 살펴보는 것이 만물을 분류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하다.
∙相生(親和의 작용)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
∙相克(爭鬪의 작용)
木克土 土克水 水克火 火克金 金克木
∙木은 火를 돕고, 火는 土를 생하고, 土는 金을 出土시키며, 金은 水를 맑게 하 고, 水는 木을 살린다.
∙木은 土를 균열시키며, 土는 水의 흐름을 막고, 水는 火를 끄며, 火는 金을 녹이 며, 金은 木을 벌채한다.
• 오행 상생‧상극도 •
3. 하도낙서(河圖洛書)
홍연학(洪烟學)을 위시한 모든 동양의 운명학은 하도와 낙서에서 출발되고 있다.
周易이 그러하며, 四柱學이 또한 그러하고, 심지어는 觀相, 手相이니 하는 形而下的인 학문까지도 河圖 洛書와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河圖는 中央土를 중심으로 水와 火, 金과 木이 각각 상대를 이루며 相剋작용을 하고 있다. 즉 ‘土克水 水克火 火克金 金克木 木克土’ 이것을 오행상극(五行相剋)이라고 한다.
그리고, 겉으로 인접한 오행배열은 하도좌측(河圖左側)으로부터 시작하여 木火土金水의 순(順行)으로 체생(遞生)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 이것을 오행상생(五行相生)이라고 한다.
洛書를 참조하면, 낙서의 수리 오행배열은 中央土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궁위가 ‘金生水 木生火’로 오행이 상생작용을 하고 있으며, 외부적으로 인접한 오행간에는 오행 상극작용을 하고 있다. 즉, 水로부터 시작하여 우측으로 ‘水克火 火克金 金克木 木克土 土克水’의 순(逆行)으로 체극(遞剋)작용을 하고 있는 원리를 명시해 놓았다.
이것으로서 하도는 외부적으로는 인력[引力 : 相生作用]이 작용하며, 내부적으로는 추력[推力 : 相剋作用]이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낙서는 외부적인 작용이 추력[推力 : 相剋作用]이며, 내부적으로는 인력[引力 : 相生作用]이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하도와 낙서는 이러한 事物 내부와 외부의 음양 體用관계가 오행의 生剋관계로 작용하는 變化원리를 자연수[象數]의 진리로써 정확하게 밝혀 놓았다.
|
|
음양원리로 살펴보면 하도(河圖)는 순(順)방향으로 상생하는 모습과 대대적(對待的)으로 相克하는 면이 공존한다.
낙서도 또한 逆방향으로 상극하는 모습과 대대적으로 상생하는 면이 공존하다. 이는 동전의 앞‧뒷면과도 같은 관계로, 둘을 떼어놓고선 이야기 할 수 없는 상호 대립‧보완하는 원리라 하겠다.
모든 역학의 근본인 하도는 伏羲氏 시대에 河水에서 龍馬가 등에 지고 나왔다고 하며, 洛書는 夏禹시대에 洛水에서 神龜가 지고 나왔다고 한다.[물론 현대를 살고있는 우리가 그 말을 곧이곧대로 믿을 수는 없으나, 이 책의 저술 목적이 하도 낙서의 고증 문제가 아닌 이상 넘어가기로 하자. 중요한 것은 하도 낙서에 담긴 사상이지 그 유래가 아닌 것이다.]
儒學 「四書三經」 중의 하나인 書經의 洪範五行편에 나오는 洪範五行의 근원은 하도에서 출발된 것이다. 즉, 一六水․二七火․三八木․四九金․五十土는 하도의 그림을 보고 발견한 진리인 것이다.
서양의 數學은 量에 치중되어 있으나, 東洋에서는 質적인 면을 깊이 연구하여 왔다. 一보다는 二가 큰 수요, 二보다는 三이 큰 수라고만 하는 양이 아니요 一의 성질은 어떻고, 二의 성질은 어떻다 하는 등의 내면적 문제와 表裏[안과 밖]의 문제까지 깊이 탐구한 것이 서양의 수학과 다른 점이다.
하도의 그림을 보면 奇數와 偶數가 나타나 있고, 黑點과 白點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는 기수 백점은 陽을 상징한 것이고 우수 흑점은 陰을 뜻한 것이다. 그리고 기수와 우수가 짝지어진 것은 表面과 裏面을 나타내고 있으니 단순한 수치가 아니고 理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하도는 先天的, 靜的, 本體的이고 뒤에 발견된 낙서는 後天的, 動的, 行用的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데, 특히 洪烟學은 洛書[九宮]를 이용하여 人事, 天時, 地理 등 각종의 占法을 산출하니, 소홀히 넘기지 말고 살펴두는 것이 학습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四 |
九 |
二 |
三 |
五 |
七 |
八 |
一 |
六 |
4. 십간(十干)․십이지(十二支)
홍연학(洪烟學)에서도 子平命理學에서와 마찬가지로, 干‧支를 사용해 사주(四柱) 네기둥을 세워야 한다. 이것은 명리학적 판단 때문이 아니라 作局을 하기 위한 기본 과정이므로 명리적 지식이 없더라도 사주 세우는 법 정도는 필히 알아야 한다.
그리고, 홍연국을 布局하여 天命을 해석하기 위해서 사주팔자(四柱八字) 干‧支의 숫자 合으로 홍국을 포열(布列)하고, 기둥[柱]으로 烟局‧八門‧八卦 등을 붙여 나간다.
十 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
陽 |
陰 |
陽 |
陰 |
陽 |
陰 |
陽 |
陰 |
陽 |
陰 | |
木 |
火 |
土 |
金 |
水 | ||||||
春 |
夏 |
四 季 |
秋 |
冬 |
十 二 支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자 |
축 | |
木 |
土 |
火 |
土 |
金 |
土 |
水 |
土 | |||||
陽 |
陰 |
陽 |
陰 |
陽 |
陰 |
陽 |
陰 |
陽 |
陰 |
陽 |
陰 | |
春 |
夏 |
秋 |
冬 |
∙명리학과 달리 홍연학에서는 水‧火의 陰陽體用을 바꾸지 않는다.
5. 팔 괘(八卦)
건(乾) |
태(兌) |
리(離) |
진(震) |
손(巽) |
감(坎) |
간(艮) |
곤(坤) |
☰ |
☱ |
☲ |
☳ |
☴ |
☵ |
☶ |
☷ |
이상 여덟 가지를 八卦라고 칭한다.
팔괘는 이어진 선(−)과 끊어진 선(ꁌ)이 셋 모여 하나의 괘가 되는데, 이를 小成(八)卦라 한다. 이어진 선은 陽을 뜻하고 끊어진 선은 陰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결국 陰陽法을 기호화하였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우주는 태초에 無였다. 그것이 어느 때 기운이 나누어졌다. 가벼운 것은 떠올라 하늘이 되었고, 무거운 것은 가라앉아 땅이 되었다. 이것으로 우주는 陰陽으로 구분되었고, 음양은 다시 太陽‧少陰‧少陽‧太陰의 사상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四象이 또 한번 나누어지면 八卦가 된다.
乾 |
兌 |
離 |
震 |
巽 |
坎 |
艮 |
坤 |
太陽 |
少陰 |
少陽 |
太陰 | ||||
陽 |
陰 | ||||||
太 極 |
① 乾卦의 의미:乾은 天이요, 父요, 老人이요, 玉이요, 金이요, 말이요, 나무 열 매요, 둥근 물건이요, 剛한 물체요, 白色이다.
② 兌卦의 의미:兌는 연못이요, 少女요, 입과 혀요, 첩이요, 깨진 물건이요, 羊이 요, 白色이다.
③ 離卦의 의미:離卦는 火요, 太陽이요, 中女요, 눈(眼)이요, 電이요, 文書요, 電 話요, 꿩이요, 赤色이다.
④ 震卦의 의미:震은 雷요, 長男이요, 足이요, 용이요, 樂器요, 靑色이다.
⑤ 巽卦의 의미:巽은 風이요, 승려요, 닭이요, 股요, 기술자요, 정교하게 만든 기 계요, 靑色이다.
⑥ 坎卦의 의미:坎은 水요, 雨와 雪이요, 中男이요, 돼지요, 개울이요, 숨어있는 것이요, 耳요, 血이요, 도둑이요, 술이요, 씨가 있는 물건이요, 黑色이다.
⑦ 艮卦의 의미:艮은 山이요, 흙이요, 少男이요, 어린이요, 犬公이요, 手요, 寺刹 이요, 오이요, 딴딴하고 마디가 많은 나무요, 黃色이다.
⑧ 坤卦의 의미:坤은 地요, 母요, 늙은 부인이요, 牛요, 수레요, 모난 물건이요, 포목이요, 가마솥이요, 腹部요, 쌀이요, 黃色이다.
본래 易의 팔괘는 현재의 아라비아 숫자처럼, 발음은 없고 의미만 가진 文字였으니, 내포하고 있는 그 뜻을 깊이 음미하여야 할 것이다.
6. 방 위(方位)
역학은 공간적인 관찰법과 시간적인 관찰법의 두 가지 大道를 갖고 있는데, 시간법칙을 이용하여 명리학이 발전하여 왔고, 공간법칙인 九宮方位를 이용하여 紫白九星學이 발전하여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홍연학은 시간법칙과 공간법칙을 종합하여 발전 된 것이기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문제, 즉 方位와 八卦 및 五行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伏羲氏 시대에는 남쪽이 乾이었고, 북쪽이 坤이었다. 동쪽이 離였고, 서쪽이 坎이었다. 文王의 시대에는 남쪽이 離요, 북쪽이 坎이며, 동쪽이 震이고, 서쪽이 兌이다.
현재의 역학에서는 복희씨 시대의 先天八卦方位는 본체로서만 보고, 실지 응용에서는 문왕의 後天八卦方位를 활용하고 있다. 易의 구성 과정에서는 복희선천방위의 법이 더욱 중요시되었으나 역이 완성된 현재에서는 응용의 면이 더욱 중요시되므로 문왕후천방위의 법이 역자간에 널리 퍼져있다.
특히 後天方位와 洛書九宮을 연결하여 활용하는데 즉 一坎‧二坤‧三震‧四巽‧五中央‧六乾‧七兌‧八艮‧九離가 바로 그것이다.
|
正東 |
東南間 |
正南 |
西南間 |
正西 |
西北間 |
正北 |
東北間 |
五行 |
木 |
木 |
火 |
土 |
金 |
金 |
水 |
土 |
先天八卦 |
離 |
兌 |
乾 |
巽 |
坎 |
艮 |
坤 |
震 |
後天八卦 |
震 |
巽 |
離 |
坤 |
兌 |
乾 |
坎 |
艮 |
|
|
< 암 기 >
4 |
9 |
2 |
3 |
5 中央土 |
7 |
8 |
1 |
6 |
辰‧巳 |
午 |
未‧申 |
卯 |
中央土 |
酉 |
寅‧丑 |
子 |
亥‧戌 |
7. 수의 의미
주역 繫辭傳에 ‘天數五요 地數五니, 五位相得而各有合하여 天數는 二十有五요 地數는 三十이라, 凡天地之數는 五十有五니 止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이라.’,또‘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이니...’라고 하였다.
정리해 보면,
「 繫1‧3‧5‧7‧9 등의 奇數는 陽에 속하는 天數요, 2‧4‧6‧8‧10등의 偶數는 陰에 속하는 地數다. 천수는 五位요, 지수도 五位니 兩個의 五位가 相得해서 합계하면 천수는 25요, 지수는 30이라, 천수의 수를 합하면 전부가 55이니 이것이 변화를 성하게 하고, 귀신을 행하게 하는 까닭인 것이다」
라는 내용으로 종합할 수 있는데, 이것이 葉蓍의 기본이 되는 원리인 것이다. 그러면 五十有五라는 숫자가 어째서 우주만유의 변화작용이 된단 말인가 하면, 이것은 수의 근본이 되는 一에서 十까지의 변화작용으로 된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수라는 것은 그 자체가 독립해 있는 것은 아니다. 오직 사물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인간이 창조한 부호인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그의 부호로서 사물의 量을 계산할 뿐만 아니라 그의 質도 추리할 수 있는 것이다. 숫자는 단순히 量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質도 또한 표시하는 것이다. 무릇 事物의 質과 量은 결코 분리할 수 없는 일체인 것이다.
사물은 분석적으로만 관찰하면 하나의 질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니 사물의 양을 계산하는 숫자가 또한 사물의 질을 추리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서양의 숫자는 오직 양적인 계산에만 사용되지만, 동양의 易學은 이에 질적인 추리에도 응용하는 것이니, 이것이 葉蓍(엽시)의 원리가 되는 것이다. 요컨대 숫자를 양적으로 계산하는 데에는 億兆 이상으로도 무한한 巨數(거수)가 사용되지만, 質로 추리하는데는 十數以內에 있는 일정한 少數만으로서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숫자의 기본으로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그의 변화로서 된 五十有五라는 숫자를 추리의 원형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그의 변화는 분석적인 변화가 아니라 종합적인 변화다. 一에서 十까지의 수가 종합된 것이 우주를 대표하는 수로서 모든 사물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一에서 五까지를 生數라 보고 六에서 十까지를 成數라고 보는데, 그 생성원리는 河圖와 洛書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후 여러 학자에 의해 밝혀진 수의 의미를 알아보기로 하자.
∙ 一數의 의미
음양학상으로는 陽이요, 오행으로는 水요, 洛書상으로는 坎宮이다.
모든 數理의 기본이 되는 수로서 제일 작은 수인 동시에 가장 큰 수이다. 가장 완전한 동시에 가장 부족한 수이다. 易學에서는 一數를 太極(태극)이라 보기도 한다.
∙ 二數의 의미
음양학상으로는 陰이요, 오행상으로는 火요, 洛書九宮上으로는 坤宮이다.
一의 움직임에서 파생되는 數로서 二에서부터 모든 현상이 시작된다. 太極에서 陰陽으로 나뉠 때의 理이며, 理와 表裏(표리)의 관계로서 작용되는 수이다.
∙ 三數의 의미
음양학상으로는 陽이요, 오행으로는 木이요, 낙서상으로는 震宮이다.
天地人 三才요, 理를 표상한 數요, 上元, 中元, 下元의 三元을 상징하기도 한다. 인체상 三節(삼절)을 말하고, 또한 一의 伸張이요, 생명구성의 작용수이다.
∙ 四數의 의미
음양상으로는 陰이요, 오행으로는 金이고, 洛書九宮上으로는 巽宮이다.
太陽‧太陰‧少陽‧少陰의 四象의 理이며, 東西南北 방향의 理를 포함하고 있다. 人體상으로는 四肢(사지)도 나타내고 계절로는 春夏秋冬을 뜻하기도 한다.
∙ 五數의 의미
음양상으로는 陽이요, 오행으로는 土이며, 洛書상으로는 中央이다.
木‧火‧土‧金‧水의 오행을 상징하고, 생명운동의 主로서 작용하고 있다. 인체상으로는 五臟(오장)을 뜻하기도 한다.
∙ 六水의 의미
음양상으로는 陰이요, 오행으로는 水요, 洛書九宮으로는 乾宮이다.
成數의 시발점으로 三才의 중복으로 六爻를 상징하고 前後‧左右‧上下의 理이며, 人體상으로는 六腑(육부)를 나타내기도 한다.
∙ 七數의 의미
음양상으로는 陽이요, 오행으로는 火요, 洛書상으로는 兌宮이다.
七曜와 七星을 말하며, 人面에 나타난 七竅(칠규)의 理이기도 하다.
∙ 八數의 의미
음양학상으로는 陰이요, 오행으로는 木이며, 洛書상으로는 艮宮이다.
八卦‧八方位의 理이며, 8×8=64인고로 64卦의 기본이 되기도 한다.
∙ 九數의 의미
음양학상으로는 陽이요, 오행으로는 金이며, 洛書上으로는 離宮이다.
九宮[洛書九宮] 및 人體의 九竅(구규)의 理인 것이다.
∙ 十數의 의미
음양학상으로는 陰이요, 오행으로는 土이며, 기본수의 완성으로 관계되지 않는 곳이 없으나, 나타남이 없는 수이다. 河圖에서 나타난 수를 전부 합하면 55이고, 낙서에서 나타난 수를 합계하면 45인데, 이를 다시 합하면 百이 된다. 수의 원리상 百은 완성의 단계라고 보아 하도와 낙서는 수의 모든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홍연촬요 기문의 기초이론 (0) | 2013.04.18 |
---|---|
[스크랩] 기문둔감의 기원과 변천 (0) | 2013.04.18 |
[스크랩] 홍국포열법 (0) | 2013.04.18 |
[스크랩] 세궁과 육친 (0) | 2013.04.18 |
[스크랩] 연국 포열법 (0) | 201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