ꊷ 태을구성법(太乙九星法)
태을(太乙)‧섭제(攝提)‧헌원(軒轅)‧초요(招搖)‧천부(天符)‧청룡(靑龍)
함지(咸池)‧태음(太陰)‧천을(天乙), 이상을 구성(九星)이라 칭한다.
홍연학의 고전이 되는 홍연진결(洪烟眞訣)에는 태을구성법이 없다.
태을구성법은 기문둔갑금함옥경(奇門遁甲金函玉境)이라는 서책에 나와 있는 것인데, 저자가 실제 임상에서 응용하여 본 결과 그 적중률이 대단히 좋으므로 이에 첨부하여 설명한다.
태을구성법을 일명 일가구성법(日家九星法)이라고도 한다.
招搖 |
天乙 |
攝提 |
軒轅 |
天符 |
咸池 |
太陰 |
太乙 |
靑龍 |
∙ 구성양둔조견표(九星陽遁早見表) ∙
甲 癸 壬 辛 庚 己 戊 子 酉 午 卯 子 酉 午 | ||
靑龍 |
攝提 |
招搖 |
天符 |
咸池 |
天乙 |
太乙 |
軒轅 |
太陰 |
乙 甲 癸 壬 辛 庚 己 丑 戌 未 辰 丑 戌 未 | ||
天符 |
太乙 |
軒轅 |
招搖 |
靑龍 |
太陰 |
天乙 |
攝提 |
咸池 |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寅 亥 申 巳 寅 亥 申 | ||
招搖 |
天乙 |
攝提 |
軒轅 |
天符 |
咸池 |
太陰 |
太乙 |
靑龍 |
戊 丁 丙 乙 甲 癸 壬 辰 丑 戌 未 辰 丑 戌 | ||
攝提 |
咸池 |
天乙 |
太乙 |
軒轅 |
天符 |
靑龍 |
太陰 |
招搖 |
己 戊 丁 丙 乙 甲 癸 巳 寅 亥 申 巳 寅 亥 | ||
太乙 |
靑龍 |
太陰 |
天乙 |
攝提 |
招搖 |
天符 |
咸池 |
軒轅 |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卯 子 酉 午 卯 子 酉 | ||
軒轅 |
太陰 |
太乙 |
攝提 |
招搖 |
靑龍 |
咸池 |
天乙 |
天符 |
庚 己 戊 丁 丙 乙 午 卯 子 酉 午 卯 | ||
天乙 |
天符 |
咸池 |
太陰 |
太乙 |
軒轅 |
招搖 |
靑龍 |
攝提 |
辛 庚 己 戊 丁 丙 未 辰 丑 戌 未 辰 | ||
太陰 |
招搖 |
靑龍 |
咸池 |
天乙 |
攝提 |
軒轅 |
天符 |
太乙 |
壬 辛 庚 己 戊 丁 申 巳 寅 亥 申 巳 | ||
咸池 |
軒轅 |
天符 |
靑龍 |
太陰 |
太乙 |
攝提 |
招搖 |
天乙 |
∙구성음둔조견표(九星陰遁早見表)∙
甲 癸 壬 辛 庚 己 戊 子 酉 午 卯 子 酉 午 | ||
太陰 |
軒轅 |
太乙 |
天乙 |
咸池 |
天符 |
招搖 |
攝提 |
靑龍 |
乙 甲 癸 壬 辛 庚 己 丑 戌 未 辰 丑 戌 未 | ||
咸池 |
攝提 |
天乙 |
太陰 |
靑龍 |
招搖 |
軒轅 |
太乙 |
天符 |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寅 亥 申 巳 寅 亥 申 | ||
靑龍 |
太乙 |
太陰 |
咸池 |
天符 |
軒轅 |
攝提 |
天乙 |
招搖 |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卯 子 酉 午 卯 子 酉 | ||
天符 |
天乙 |
咸池 |
靑龍 |
招搖 |
攝提 |
太乙 |
太陰 |
軒轅 |
戊 丁 丙 乙 甲 癸 壬 辰 丑 戌 未 辰 丑 戌 | ||
招搖 |
太陰 |
靑龍 |
天符 |
軒轅 |
太乙 |
天乙 |
咸池 |
攝提 |
己 戊 丁 丙 乙 甲 癸 巳 寅 亥 申 巳 寅 亥 | ||
軒轅 |
咸池 |
天符 |
招搖 |
攝提 |
天乙 |
太陰 |
靑龍 |
太乙 |
庚 己 戊 丁 丙 乙 午 卯 子 酉 午 卯 | ||
攝提 |
靑龍 |
招搖 |
軒轅 |
太乙 |
太陰 |
咸池 |
天符 |
天乙 |
辛 庚 己 戊 丁 丙 未 辰 丑 戌 未 辰 | ||
太乙 |
天符 |
軒轅 |
攝提 |
天乙 |
咸池 |
靑龍 |
招搖 |
太陰 |
壬 辛 庚 己 戊 丁 申 巳 寅 亥 申 巳 | ||
天乙 |
招搖 |
攝提 |
太乙 |
太陰 |
靑龍 |
天符 |
軒轅 |
咸池 |
예1) 1938년 음 4월 8일 오시생(戊寅년 丁巳월 己亥일 庚午시)
咸池 |
軒轅 |
天符 |
靑龍 |
太陰 |
太乙 |
攝提 |
招搖 |
天乙 |
태을구성을 포국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는
위에 ‘구성양둔조견표’에서 生日을 찾은 후 포국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그렇게 하려면 조견표를 모두 암기하던가, 아니면 항상 조견표를 지참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겪어야 한다. 그래서 또 다른 방법을 아래에 설명하였다.
그 방법은 우선,
己亥日을 逆으로 계산해 己亥日이 무슨 旬中에 있는지를 찾아야 한다.
甲午旬이니, 표에서처럼 甲午가 二坤宮에서 시작함을 알 수 있다.
二坤宮에서부터 순행[양둔이므로]으로 구궁을 따라 甲午(二坤), 乙未(三震), 丙申(四巽), 丁酉(五中), 戊戌(六乾), 己亥(七兌)하게 되면, 七兌宮에서부터 太乙이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甲寅 |
甲戌 |
甲午 |
甲辰 |
|
|
甲子 |
甲申 |
|
그러므로, 七兌宮부터 순행으로 구궁을 따라서 태을, 섭제, 헌원, ...., 태음, 천을 까지, 太乙九星을 진행시킨다.
天乙 |
招搖 |
攝提 |
太乙 |
太陰 |
靑龍 |
天符 |
軒轅 |
咸池 |
ꋼ 음둔국(陰遁局)
生日로서 ‘구성음둔조견표’를 찾은 후,
태을구성을 붙이는 방법은 생략함.
辛巳日의 旬頭는 甲戌이다.
옆의 표에서 甲戌은 一坎宮에서 [음둔국이므로]역행한다.
|
甲申 |
甲子 |
|
|
甲辰 |
甲午 |
甲戌 |
甲寅 |
* 앞으로는 太乙‧提‧軒‧招‧符‧靑‧咸‧陰‧天乙, 이상과 같이 약기한다.
'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팔괘 포국법 (0) | 2013.04.18 |
---|---|
[스크랩] 팔문 포국법 (0) | 2013.04.18 |
[스크랩] 팔괘의 길흉론 (0) | 2013.04.18 |
[스크랩] 팔문의 길흉론 (0) | 2013.04.18 |
[스크랩] 태을 구성의 길흉론 (0) | 201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