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국론
우주만물만상은 다 이치가 있게 마련이고 또 기가 있으며 형(形)이 있으며
상(像)도 있기 때문에 외형의 물체는 그 형상에 상응한 기상과 기운이 내재해 있다고 본다.
풍수에서는 정기 가득한 좋은 땅을 사람, 동물, 물질, 식물, 문자 따위에 비겨서 설명하는데 이를 형국이라 이른다. 이와 같은 형국론은 산천의 겉모양과 그 안의 정기는 서로 통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보거나 잡을 수 없는 정기를 구체적인 형상에 비겨 표현한 것이 형국이다.
다음 아래 표는 한글학회에서 펴낸 [한국지명총람, 1984]과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에서 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990] 기타 몇 권의 연구서로 조사한 결과를 김광언선생(풍수지리, 집과 마을)이 종합한 내용을 새롭게 간추렸다. 표에서는 집터와 마을 터에 관한 형국만 다루었다.
번호 |
형국명 |
우리말 |
횟수 |
1 |
와우형(臥牛形) |
누운 소 |
153 |
2 |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 |
물 마시는 말 |
108 |
3 |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 |
매화가 떨어진 터 |
97 |
4 |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 |
알품은 금닭 |
89 |
5 |
반월형(半月形) |
반달 모양의 터 |
78 |
6 |
장군대좌형(將軍對坐形) |
마주 앉은 장군 |
78 |
7 |
옥녀타금형(玉女彈琴形) |
거문고를 타는 옥녀 |
75 |
8 |
행주형(行舟形) |
배 |
72 |
9 |
옥녀직금형(玉女織錦形) |
비단을 짜는 옥녀 |
58 |
10 |
옥토망월형(玉兎望月形) |
달을 바라보는 토끼 |
47 |
11 |
복호형(伏虎形) |
엎드린 범 |
46 |
12 |
옥녀산발형(玉女散髮形) |
머리를 푼 옥녀 |
45 |
13 |
복치형(伏雉形) |
엎드린 꿩 |
43 |
14 |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
물에 뜬 연꽃 |
40 |
15 |
연화도수형(蓮花到水形) |
물에 이른 연꽃 |
38 |
16 |
앵소유지형(鶯巢柳枝形) |
버드나무 가지의 앵무새 둥지 |
33 |
17 |
괘등형(掛燈形) |
걸린 등 |
32 |
18 |
연소형(燕巢形) |
제비둥지 |
28 |
19 |
평사낙안형(平沙落雁形) |
기러기 내려 앉는 넓은 들 |
26 |
20 |
비학형(飛鶴形) |
날아오르는 학 |
26 |
21 |
금반형(金盤形) |
금소반 |
25 |
22 |
선인무신형(仙人舞神形) |
춤추는 신선 |
24 |
23 |
오공형(蜈蚣形) |
지네 |
24 |
24 |
비룡등천형(飛龍登天形) |
하늘로 날아오르는 용 |
24 |
25 |
운중반월형(雲中半月形) |
구름에 가린 반달 |
23 |
26 |
회룡고미형(回龍顧尾形) |
뒤(꼬리)를 돌아보는 용 |
23 |
27 |
와룡형(臥龍形) |
누운 용 |
22 |
28 |
비안형(飛雁形) |
나는 기러기 |
22 |
29 |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 |
여의주를 다투는 다섯 용 |
22 |
30 |
구룡쟁주형(九龍爭珠形) |
여의주를 다투는 아홉 용 |
21 |
31 |
구유형 |
소, 말의 여물을 담아주는 그릇 |
21 |
32 |
비봉형(飛鳳形) |
날아오르는 봉 |
20 |
33 |
복구형(伏狗形) |
엎드린 개 |
16 |
34 |
와구형(臥狗形) |
누운 개 |
16 |
35 |
선인독서형(仙人讀書形) |
책 읽는 신선 |
16 |
36 |
금귀몰니형(金龜沒泥形) |
진흙을 파고 들어가는 거북이 |
15 |
37 |
비봉포란형(飛鳳抱卵形) |
알을 품고 나르는 봉황 |
15 |
38 |
옥등괘벽형(玉燈掛壁形) |
벽에 걸린 옥등 |
15 |
39 |
용두형(龍頭形) |
용의 머리 |
13 |
40 |
노서하전형(老鼠下田形) |
늙은 쥐가 내려오는 밭 |
13 |
41 |
봉귀소형(鳳歸巢形) |
둥지에 돌아오는 봉 |
13 |
42 |
반룡형(盤龍形) |
꽈라를 튼 용 |
12 |
43 |
돼지형 |
돼지 |
10 |
44 |
작소형(鵲巢形) |
까치 둥지 |
10 |
45 |
맹호출림형(猛虎出林形) |
범이 숲에서 나오는 형 |
9 |
46 |
비조형(飛鳥形) |
날아오르는 새 |
9 |
47 |
풍취나대형(風吹羅帶形) |
비단 띠가 바람에 나부끼는 형 |
9 |
48 |
노승예불형(老僧禮佛形) |
불공을 드리는 스님 |
9 |
49 |
운용토우형(雲龍吐雨形) |
비를 뿌리는 용모양의 구름 |
9 |
50 |
복귀형(伏龜形) |
엎드린 거북이 |
9 |
51 |
군신봉조형(君臣奉朝形) |
임금과 신하가 나라일을 도모하는 형 |
9 |
52 |
생사추와형(生蛇追蛙形) |
개구리를 쫒는 뱀 |
9 |
53 |
해형(蟹形) |
게 |
9 |
54 |
가마솥형 |
가마솥 |
8 |
55 |
금반옥배형(金盤玉杯形) |
금소반의 옥잔 |
8 |
56 |
조리형 |
조리 |
8 |
57 |
취형(鷲形) |
솔개 |
8 |
58 |
봉소형(鳳巢形) |
봉(황)의 둥지 |
8 |
59 |
옥녀단좌형(玉女端坐形) |
단정히 앉은 옥녀 |
8 |
60 |
도화낙지형(桃花落地形) |
복숭아 꽃이 떨어진 터 |
7 |
61 |
천마시풍형(天馬嘶風形) |
바람을 가르는 말 |
7 |
62 |
풀무형 |
|
7 |
63 |
가재형 |
|
6 |
64 |
계소형(鷄巢形) |
닭 둥지 |
6 |
65 |
화심형(花心形) |
꽃 술 |
6 |
66 |
보검형(寶劍形) |
칼 |
6 |
67 |
사반형(蛇蟠形) |
똬리를 튼 뱀 |
6 |
68 |
야자형(也字形) |
|
6 |
69 |
주마탈안형(走馬奪鞍形) |
빠르게 달리는 말 |
6 |
70 |
황룡부주형(黃龍負舟形) |
배를 등에 진 룡 |
6 |
71 |
갈룡음수형(渴龍飮水形) |
물을 마시는 룡 |
5 |
72 |
계명형(鷄鳴形) |
우는 닭 |
5 |
73 |
복룡형(伏龍形) |
엎드린 룡 |
5 |
74 |
용미형(龍尾形) |
용꼬리 |
5 |
75 |
황우도강형(黃牛渡江形) |
물 건너는 소 |
4 |
76 |
갈화낙지형(葛花落地形) |
칡꽃 떨어진 터 |
4 |
77 |
금반옥호형(金盤玉壺形) |
금소방의 옥병 |
4 |
78 |
목단화심형(牧丹花心形) |
모란꽃술 |
4 |
79 |
이화낙지형(梨花落地形) |
배꽃이 떨어진 터 |
4 |
80 |
자라형 |
|
4 |
81 |
계주형(繫舟形) |
정박한 배 |
3 |
82 |
잠두형(蠶頭形) |
누에머리 |
3 |
83 |
비안함로형(飛雁含蘆形) |
갈대를 물고 나는 기러기 |
3 |
84 |
운중선좌형(雲中仙坐形) |
구름속의 신선 |
3 |
85 |
옥녀금반형(玉女金盤形) |
금소반을 든 옥녀 |
3 |
86 |
옥녀무상형(玉女舞裳形) |
춤추는 옥녀 |
3 |
87 |
승무형(僧舞形) |
춤추는 중 |
3 |
88 |
복종형(伏鐘形) |
엎어 놓은 종형 |
3 |
89 |
금채형(金釵形) |
금비녀 |
3 |
90 |
복부형(伏釜形) |
엎어 놓은 솥 |
3 |
91 |
복우형(伏牛形) |
엎드린 소 |
3 |
92 |
백학포란형(白鶴抱卵形) |
알품은 학 |
3 |
93 |
붓형 |
|
3 |
94 |
비봉형(飛鳳形) |
나는 벌 |
3 |
95 |
선인관기형(仙人觀碁形) |
바득을 즐기는 신선 |
3 |
96 |
호미형(虎尾形) |
범꼬리 |
2 |
97 |
황학귀소형(黃鶴歸巢形) |
둥지를 찾아오는 학 |
2 |
98 |
갈녹음수형(渴鹿飮水形) |
물 마시는 사슴 |
2 |
99 |
갈우음수형(渴牛飮水形) |
물 마시는 소 |
2 |
100 |
격고무지형(擊鼓舞地形) |
북치며 춤추는 터 |
2 |
101 |
행화낙지형(杏花落地形) |
살구꽃이 떨어진 터 |
2 |
102 |
거미형 |
|
2 |
103 |
갈화부수형(葛花浮水形) |
물에 뜬 칡 꽃 |
2 |
104 |
모이먹는 닭형 |
|
2 |
105 |
매화만발형(梅花滿發形) |
활짝 핀 매화 |
2 |
106 |
비봉탐화형(飛蜂探花形) |
꽃을 찾는 벌 |
2 |
107 |
비아형(飛鵝形) |
나는 거위 |
2 |
108 |
숙조투림형(宿鳥投林形) |
숲에서 잠든 새 |
2 |
109 |
시루형 |
|
2 |
110 |
쌍룡거두형(雙龍擧頭形) |
머리를 든 두 마리 용 |
2 |
111 |
양류도수형(楊柳到水形) |
물에 이른 버들 |
2 |
112 |
양마입구형(良馬入廐形) |
마구에 들어가는 말 |
2 |
113 |
양화낙지형(楊花落地形) |
버들꽃이 떨어진 터 |
2 |
114 |
어량유수형(漁良遊水形) |
노는 물고기 |
2 |
115 |
선구곡월형(仙狗哭月形) |
달을 보고 짓는 개 |
2 |
116 |
선인취적형(仙人吹笛形) |
피리를 부는 신선 |
2 |
117 |
선인운유형(仙人雲遊形) |
구름에 노는 신선 |
2 |
118 |
비구형(飛鳩形) |
나는 비들기 |
2 |
119 |
반룡농주형(盤龍弄珠形) |
똬리를 틀고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 |
2 |
120 |
노루형 |
|
2 |
121 |
내자형(乃字形) |
|
2 |
122 |
사두형(蛇頭形) |
뱀머리 |
2 |
123 |
사자앙천형(獅子仰天形) |
하늘을 보는 사자 |
2 |
124 |
어옹산망형(漁翁散網形) |
그물을 드리우는 어부 |
2 |
125 |
연화반개형(蓮花半開形) |
반쯤 핀 연꽃 |
2 |
126 |
황사출림형(黃蛇出林形) |
숲에서 나오는 뱀 |
2 |
127 |
황새형 |
|
2 |
128 |
치독고모형(雉犢顧母形) |
어미를 돌아보는 송아지 |
2 |
129 |
필통형(筆筒형) |
|
2 |
130 |
와양형(臥羊形) |
누운 양 |
2 |
131 |
유장고무형(幼獐顧母形) |
어미를 돌아보는 어린 노루 |
2 |
132 |
잠룡농파형(潛龍弄波形) |
파도를 타는 용 |
2 |
133 |
청룡출운형(靑龍出雲形) |
구름에서 나오는 용 |
2 |
134 |
황구곡월형(黃狗哭月形) |
달을 보고 짖는 삽살개 |
2 |
135 |
황룡출수형(黃龍出水形) |
물에서 나오는 용 |
2 |
136 |
갈양음수형(渴羊飮水形) |
물 마시는 양 |
1 |
137 |
갈우음수형(渴牛飮水形) |
물 마시는 소 |
1 |
138 |
갈웅음수형(渴熊飮水形) |
물 마시는 곰 |
1 |
139 |
갈장음수형(渴獐飮水形) |
물 마시는 노루 |
1 |
140 |
갈해음수형(渴蟹飮水形) |
물 마시는 게 |
1 |
141 |
까마귀형 |
|
1 |
142 |
고양이형 |
|
1 |
143 |
귀두형(龜頭形) |
거북 머리 |
1 |
144 |
구룡구사형(九龍九蛇形) |
아홉 마리 용과 뱀 |
1 |
145 |
귀미형(龜尾形) |
거북꼬리 |
1 |
146 |
구유낭형(狗乳囊形) |
개 젖통 |
1 |
147 |
금두괘벽형(金斗掛壁形) |
벽에 걸린 금말 |
1 |
148 |
금대형(金帶形) |
금띠 |
1 |
149 |
금방취적형(金房吹笛形) |
방에서 피리 부는 형 |
1 |
150 |
금반하엽형(金盤荷葉形) |
금소반의 연잎 |
1 |
151 |
금봉포란형(金鳳抱卵形) |
알품은 봉(황) |
1 |
152 |
금사복지형(金蛇伏池形) |
못에 엎드린 뱀 |
1 |
153 |
금라옥척형(金羅玉尺形) |
비단 마르는 옥자 |
1 |
154 |
금와망월형(金蛙望月形) |
달보는 개구리 |
1 |
155 |
금잠괘벽형(金簪掛壁形) |
벽에 걸린 금비녀 |
1 |
156 |
금잠낙지형(金簪落地形) |
금비녀 떨어진 터 |
1 |
157 |
금조낙지형(金鳥落地形) |
새 앉은 터 |
1 |
158 |
금학망천형(金鶴望天形) |
하늘 보는 학형 |
1 |
159 |
금학포란형(金鶴抱卵形) |
알품은 학 |
1 |
160 |
금환낙지형(金環落地形) |
금가락지 |
1 |
161 |
기린형 |
|
1 |
162 |
나귀형 |
|
1 |
163 |
노봉농화형(老蜂弄花形) |
꽃에 노는 벌 |
1 |
164 |
노서식창형(老鼠食唱形) |
노래하는 쥐 |
1 |
165 |
노선기우형(老仙騎牛形) |
소를 탄 신선 |
1 |
166 |
노학귀소형(老鶴歸巢形) |
둥지를 든 학 |
1 |
167 |
단봉함서형(丹鳳含書形) |
편지를 문 봉(황) |
1 |
168 |
복마형(伏馬形) |
엎드린 말 |
1 |
169 |
마화위룡형(馬化爲龍形) |
용이 된 말 |
1 |
170 |
만갑상신형(萬甲裳身形) |
갑옷 입은 형 |
1 |
171 |
굴레 벗은 말 |
|
1 |
172 |
무동형(舞童形) |
춤추는 아이 |
1 |
173 |
무연형(舞燕形) |
춤추는 제비 |
1 |
174 |
무봉형(舞鳳形) |
춤추는 봉 |
1 |
175 |
무학형(舞鶴形) |
춤추는 학 |
1 |
176 |
물레형 |
|
1 |
177 |
박대복해형(博帶伏蟹形) |
띠를 매고 엎드린 게 |
1 |
178 |
백로하전형(白鷺下田形) |
밭에 내린 백로 |
1 |
179 |
백운반월형(白雲半月形) |
그름에 가린 반달형 |
1 |
180 |
백학첩송형(白鶴捷松形) |
소나무에 깃든 학 |
1 |
181 |
백학쌍비형(白鶴雙飛形) |
나는 쌍학 |
1 |
182 |
백호형(白虎形) |
흰 범 |
1 |
183 |
복하형(伏蝦形) |
엎드린 새우 |
1 |
184 |
봉명조양형(鳳鳴朝陽形) |
아침에 우는 봉 |
1 |
185 |
봉미형(鳳尾形) |
봉 꼬리 |
1 |
186 |
열매 먹는 봉형 |
|
1 |
187 |
부귀형(浮龜形) |
물에 뜬 거북 |
1 |
188 |
새부리형 |
|
1 |
189 |
부용화형(芙蓉花形) |
|
1 |
190 |
비룡출수형(飛龍出水形) |
물에서 나오는 용 |
1 |
191 |
비보투림형(飛鳳投林形) |
숲에서 잠든 봉 |
1 |
192 |
비아부벽형(飛蛾附壁形) |
나는 누에나비 |
1 |
193 |
비조탁본형(飛鳥琢本形) |
나무를 쪼는 새 |
1 |
194 |
비조투림형(飛鳥投林形) |
숲에 깃든 새 |
1 |
195 |
비천마제형(飛天馬蹄形) |
나는 말굽 |
1 |
196 |
비파형 |
|
1 |
197 |
비학하전형(飛鶴下田形) |
밭에 내린 학 |
1 |
198 |
사슴형 |
|
1 |
199 |
삼학형(三鶴形) |
세 마리 학 |
1 |
200 |
서우망월형(犀牛望月形) |
달 보는 코뿔소 |
1 |
201 |
선녀등공형(仙女登空形) |
하늘에 오른 선녀 |
1 |
202 |
선녀봉반형(仙女奉盤形) |
소반을 든 선녀 |
1 |
203 |
선녀탄금형(仙女彈琴形) |
거문고를 타는 선녀 |
1 |
204 |
선동채화형(仙童採花形) |
꽃따는 아이 |
1 |
205 |
선인대형(仙人帶形) |
때 맨 선인 |
1 |
206 |
선인야유형(仙人野遊形) |
들에 노니는 선인 |
1 |
207 |
선인취와형(仙人醉臥形) |
술에 취해 누운 선인 |
1 |
208 |
선인탄금형(仙人彈琴形) |
거문고 타는 선인 |
1 |
209 |
쌍룡농주형(雙龍弄珠形) |
여의주를 다투는 두 마리 용 |
1 |
210 |
쌍학형(雙鶴形) |
두 마리 학 |
1 |
211 |
어안형(魚眼形) |
물고기 눈 |
1 |
212 |
어형(魚形) |
물고기 |
1 |
213 |
연엽도수형(蓮葉到水形) |
물에 이른 연잎 |
1 |
214 |
닭볏형 |
|
1 |
215 |
연적형(硯滴形) |
|
1 |
216 |
연화봉접형(蓮花蜂蝶形) |
연꽃과 벌과 나비 |
1 |
217 |
연화함로형(蓮花含露形) |
이슬 머금은 연꽃 |
1 |
218 |
염주형(念珠形) |
|
1 |
219 |
오동봉서형(梧桐鳳棲形) |
오동나무에 깃든 봉 |
1 |
220 |
오동제월혈(梧桐齊月形) |
달밤의 오동나무 |
1 |
221 |
오룡형(五龍形) |
다섯 마리 용 |
1 |
222 |
오지탐금형(五指彈琴形) |
거문고 타는 손 |
1 |
223 |
옥녀개화형(玉女開花形) |
|
1 |
224 |
옥녀쪽집개형 |
|
1 |
225 |
옥녀하강형(玉女下降形) |
세상에 온 옥녀 |
1 |
226 |
옥녀헌배형(玉女獻杯形) |
잔 올리는 옥녀 |
1 |
227 |
옥척형(玉尺形) |
옥자 |
1 |
228 |
와룡농주형(臥龍弄珠形) |
여의주를 갖고 노는 용 |
1 |
229 |
와룡도강형(臥龍渡江形) |
물 건너는 용 |
1 |
230 |
와인형(臥人形) |
누운 사람 |
1 |
231 |
와호형(臥虎形) |
누운 범 |
1 |
232 |
완사명월형(浣紗明月形) |
달 아래 펼친 비단형 |
1 |
233 |
약마하전형(躍馬下田形) |
밭에 내린 말 |
1 |
234 |
용안형(龍眼形) |
용눈 |
1 |
235 |
우미형(牛尾形) |
쇠꼬리 |
1 |
236 |
우무형(牛舞形) |
춤추는 소 |
1 |
237 |
운중침월형(雲中沈月形) |
구름에 잠긴 달 |
1 |
238 |
원앙쌍비형(鴛鴦雙飛形) |
나는 두 마리 원앙 |
1 |
239 |
유어농파형(遊魚弄波形) |
물에 노는 물고기 |
1 |
240 |
유어산란형(遊魚産卵形) |
알 낳는 물고기 |
1 |
241 |
유룡농주형(遊龍弄珠形) |
여의주를 갖고 노는 어린 용 |
1 |
242 |
육룡쟁주형(六龍爭珠形) |
여의주를 다투는 여섯 마리 용 |
1 |
243 |
작약미발형(芍藥未發形) |
피어나는 작약 |
1 |
244 |
해배형(蟹背形) |
게 등 |
1 |
245 |
해안형(蟹眼形) |
게 눈 |
1 |
246 |
칼찬장군형 |
|
1 |
247 |
좌상형(坐象形) |
앉은 코끼리 |
1 |
248 |
좌응형(坐鷹形) |
앉은 매 |
1 |
249 |
지주결망형(蜘蛛結網形) |
줄친 거미 |
1 |
250 |
진주옥반형(眞珠玉盤形) |
옥소반의 진주 |
1 |
251 |
천고낙지형(天鼓落地形) |
북떨어진 터 |
1 |
252 |
천응함로형(天鷹含蘆形) |
갈대를 물은 매 |
1 |
253 |
청조포란형(靑鳥抱卵形) |
알품은 새 |
1 |
254 |
초중반사형(草中反蛇形) |
풀숲의 뱀 |
1 |
255 |
코끼리형 |
|
1 |
256 |
팔학형(八鶴形) |
여덟 마리 학 |
1 |
257 |
호두형(虎頭形) |
범대가리 |
1 |
258 |
홍도낙반형(紅桃落盤形) |
상위의 복숭아(꽃) |
1 |
259 |
홍도낙지형(紅桃落地形) |
복숭어꽃 떨어진 터 |
1 |
260 |
황국반개형(黃菊半開形) |
피어나는 국화 |
1 |
261 |
와룡도하형(黃龍渡河形) |
물 건너는 용 |
1 |
262 |
화학포란형(黃鶴抱卵形) |
알 품은 학 |
1 |
263 |
물자형(勿字형) |
|
1 |
264 |
용자형(用字형) |
|
1 |
265 |
일자형(日字형) |
|
1 |
266 |
품자형(品字형) |
|
1 |
'풍수지리(형세론과형국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상님의 묘를 잘 보살펴야 할 이유 (0) | 2013.04.18 |
---|---|
[스크랩] 제11-1강 : 형국론 (0) | 2013.04.18 |
[스크랩] 명당수 (0) | 2013.04.17 |
[스크랩] 砂(사)란무었인가? (0) | 2013.04.17 |
[스크랩] 사세도 (0) | 201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