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원형原形과 변용變用
머리글
이 세상에 있는 생명체는 모두 일종의 천연의 기를 받고 태어나고 또한 천연의 기를 호흡하며 일생을 살아나간다. 그 기를 크게 말하자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태양의 기이고, 둘은 달의 기이며, 셋은 지구의 기이다. 또한 이를 다섯 가지로 나누면 목화토금수 오행의 운기이다. 태양의 기는 1년 4계절 봄 여름 가을 겨울 또는 12개월로 나누어 느낄 수 있고, 지구의 기는 하루 조석 주야 또는 12시로 나누어 느낄 수 있으며, 달의 기는 보름 그믐 상현 하현 또는 초하루부터 그믐까지 30일로 나누어 느낄 수 있다. 해변이나 섬에서 사는 사람들은 달의 기운을 항상 느끼며 살지만, 내륙에 사는 사람들 특히 도시 사람들은 달의 기운을 전혀 느끼지 못하며 살아가고 있다.
1년의 기운은 태양이 주재하고, 1개월의 기운은 달이 주재하며, 1일의 기운은 지구가 주재한다. 태양이 주재하는 1년이나 달이 주재하는 1개월 그리고 지구가 주재하는 1일 가운데도 각각 목화토금수라는 오행의 다섯 가지 기운이 또한 작용하고 있다. 태양과 달과 지구와의 삼자 간 상호 관계에 따라 1년 365일의 기운이 상호 교합交合하며 시시각각으로 달라지는 것이다.
오행에는 목화토금수가 있고, 계절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과 진술축미의 사계토월이 있으며, 작용하는 기의 현상에는 왕상휴수사가 있다. 곧 계절에 따라 각 오행이 작용하는 그 운기의 힘에 강약 쇠왕의 차이가 있다. 왕상휴수사는 계절과 오행의 상관관계로 발생한 운기의 강약을 말한다.
운기의 흐름은 봄 여름 늦여름 가을 겨울의 차서로 흐르고, 갑을목 병정화 무기토 경신금 임계수 또는 인묘목 사오화 미토 신유금 해자수 등 목화토금수 오행의 차서로 흐르나, 왕상휴수사는 차서 개념이 아니고 강약 왕휴의 개념이다. 만일 왕휴를 차서 개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면 계절을 위주할 때와 오행을 위주할 때 서로 차이가 발생한다. 곧 계절을 위주할 때는 목화토금수 오행의 차서에 왕상사수휴로 흘러가고, 오행을 위주할 때는 봄 여름 늦여름 가을 겨울 계절의 차서에 왕휴수사상으로 흘러간다.
이 글에서는 먼저 왕상휴수사의 원형을 제시하고 그에 따르는 변형을 추구해 보고자 한다. 만일 독자들이 원형에 의거하여 왕상휴수사의 본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변형에 의거하여 왕상휴수사의 변용에 자재한다면 글쓴이로서 매우 만족스러워 할 것이다.
한 가지를 더 부언하면 오행의 운기가 작용하는 각 계절의 기간을 72일 또는 73일로 한정하고자 한다. 곧 봄 춘령春令은 인묘월과 진월의 여기와 중기 12일을 합한 72일이고, 여름 하령夏令은 사오월과 미월의 여기와 중기 12일을 합한 72일이며, 가을 추령秋令은 신유월과 술월의 여기와 중기 12일을 합한 72일이고, 겨울 동령冬令은 해자월과 축월의 여기와 중기 12일을 합한 72일이며, 사계토월은 진술축미월 중에 본기에 해당하는 18일로 한정하여 합계 72일로 정하고자 한다. 각 오행이 사령하는 기간을 72일로 한정하면 360일이 될 것이고, 73일로 한정하면 365일이 될 것이다. 특히 진술축미월 중에 미월의 본기를 늦여름 상하常夏로 하나의 계절을 추가하여 왕상휴수사 논리의 완벽성에 보완작용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이 글은 학술논문이 아니므로 차례를 대소 항목으로 나누지 않고 일정한 분량에 따라 차례를 붙여나가고자 한다.
1.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원형原形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원의는 한 계절에 오행의 어떤 기운이 왕旺하고 상相하며 휴休하고 수囚하며 사死하는가하는 왕쇠旺衰 강약의 차서를 말한 것이다. 왕상휴수사를 줄여 말하면 왕쇠 또는 왕휴旺休가 된다. 오행의 운기를 표현하는 용어로서는 강약이나 왕쇠가 더 적당하겠지만 이 글에서는 왕휴로 표기하고자 한다. 이 왕휴의 원형은 계절과 오행의 관계에서 이루어진다. 첫째 계절과 오행의 관계에서 왕휴를 살펴볼 수 있고, 이를 확장하면 둘째 계절과 왕휴의 관계에서 오행을 살펴볼 수 있으며, 셋째 오행과 왕휴의 관계에서 계절을 살펴볼 수 있다. 왕상휴수사의 원형은 아래와 같다.
왕상휴수사의 원형
旺 |
相 |
休 |
囚 |
死 | |
봄 |
木旺 |
火相 |
水休 |
金囚 |
土死 |
여름 |
火旺 |
土相 |
木休 |
水囚 |
金死 |
늦여름 |
土旺 |
金相 |
火休 |
木囚 |
水死 |
가을 |
金旺 |
水相 |
土休 |
火囚 |
木死 |
겨울 |
水旺 |
木相 |
金休 |
土囚 |
火死 |
각 계절마다 오행과의 관계를 살펴서 왕상휴수사하는 오행의 왕휴를 알 수 있다. 가령 봄이면 목왕 화상 수휴 금수 토사하고, 여름이면 화왕 토상 목휴 수수 금사하며, 늦여름 곧 상하 또는 사게토월에는 토왕 금상 화휴 목수 수사하고, 가을이면 금왕 수상 토휴 화수 목사하며, 겨울이면 수왕 목상 금휴 토수 화사한다. 모든 계절마다 목화토금수 오행이 왕상휴수사하며 그 운기가 작동한다. 곧 봄이 되면 목기가 가장 왕성하고 다음 화기이며 수기 금기 토기가 차례를 따르는 것이다. 다른 계절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왕상휴수사를 간단히 정의한다면 각 계절에 목화토금수 오행의 왕쇠 차서를 왕상휴수사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왕상휴수사의 원의를 삼명통회三命通會의 당해 논문을 인용하여 확인해 보고자 한다.
2. 왕상휴수사의 정의
오행의 왕상휴수사를 논의함(論五行旺相休囚死竝寄生十二宮)
성덕盛德한 오행이 시령時令을 타는 것을 왕旺이라 하니 봄에 목기木氣가 왕성旺盛한 것과 같다. 목기가 왕성하면 화기火氣를 생하니 火는 바로 木의 자식이 된다. 자식은 아버지의 사업을 승재乘載하기 때문에 火가 보상輔相한다는 상相이 되는 것이다. 목기는 수기水氣를 의거하여 생하니 나를 생하는 분은 부모이다. 이제 자식이 뒤를 이어 시령을 얻고서 고명高明하고 현혁顯赫한 지위에 오른다면 나를 생한 부모는 마땅히 물러갈 줄을 아는 법이다. 이 때문에 水를 쉰다고(休) 하는 것이다. 물러난 자는(休者) 그 아름다움이 끝이 없는 것이며 한가로워 일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화기는 금기金氣를 극제剋制할 수 있다. 金은 바로 木의 관귀官鬼가 되지만 화기의 극제를 받으므로 금기를 펼쳐서 쓸 수 없으며, 이 때문에 金을 갇힌다고(囚) 하는 것이다. 火는 土를 생할 수 있고 土는 木의 재성財星이 되며 재물財物은 숨겨놓은 물건이다. 초목이 움트고 나오면 토기土氣가 티끌처럼 흩어지기 때문에 봄에 木이 土를 극하면 곧 죽는다고(死) 한 것이다.
여름에는 火가 왕하다. 火가 土를 생하면 곧 토상土相이고, 木이 火를 생하면 곧 목휴木休이며, 水가 火를 극하면 곧 수수水囚이고, 火가 金을 극하면 곧 금사金死이다.
6월에는 土가 왕하다. 土가 金을 생하면 곧 금상金相이고, 火가 土를 생하면 곧 화휴火休이며, 목이 토를 극하면 목수木囚이고, 토가 수를 극하면 곧 수사水死이다.
가을에는 金이 왕하다. 金이 水를 생하면 곧 수상水相이고, 土가 金을 생하면 곧 토휴土休이며, 火가 金을 극하면 곧 화수火囚이고, 金이 木을 극하면 곧 목사木死이다.
겨울에는 水가 왕하다. 水가 木을 생하면 곧 목상木相이고, 金이 水를 생하면 곧 금휴金休이며, 土가 水을 극하면 곧 토수土囚이고, 水가 火를 극하면 곧 화사火死이다.
論五行旺相休囚死並寄生十二宮
盛德乘時曰旺 如春木旺. 旺則生火 火乃木之子. 子乘父業 故火相. 木用水生 生我者父母 今子嗣得時 登高明顯赫之地 而生我者當知退矣 故水休. 休者 美之無極 休然無事之義. 火能克金 金乃木之鬼 被火克制 不能施設 故金囚. 火能生土 土為木之財 財為隱藏之物. 草木發生 土散氣塵 所以春木克土則死.
夏火旺, 火生土則土相, 木生火則木休, 水克火則水囚, 火克金則金死.
六月土旺, 土生金則金相, 火生土則火休, 木克土則木囚, 土克水則水死.
秋金旺, 金生水則水相, 土生金則土休, 火克金則火囚, 金克木則木死.
冬水旺, 水生木則木相, 金生水則金休, 土克水則土囚, 水克火則火死.
3. 위 논문 대의大義의 부연敷衍
성덕盛德이란 목화토금수 오행이 각각 시령時令을 타고 그 운기가 지극히 왕성한 모습을 표현한 말이다.
旺은 왕王과 같다. 어떤 계절을 기준하여 목화토금수 중에 한 오행이 시령을 얻으면 가장 강력한 운기를 갖게 된다. 이 오행이 왕노릇을 하는 것이다. 봄에는 목기가 왕이고, 여름에는 화기가 왕이며, 가을에는 금기가 왕이고, 겨울에는 수가가 각각 왕이며, 진술축미 사계토월은 토기가 왕이다.
봄에 목기木氣가 왕성하면 화기火氣를 생한다. 이는 재성이 왕성하면 관성을 생한다는 재왕생관財旺生官과 같은 표현이다. 火는 바로 木의 자식이다. 위에서 자승부업子乘父業을 자식은 아버지의 사업을 승재乘載한다고 해석했다. 승乘자는 올라탄다는 뜻도 있지만 싣는다는 뜻도 있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사업을 승계承繼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아버지의 사업을 승계하고자 하면 먼저 보필하며 잘 익혀야 할 것이다. 보상輔相과 보필輔弼은 동의어이다. 군왕을 보필하는 재상宰相의 상相자가 바로 이 뜻이다. 그러나 왕旺을 군왕君王에 비유한다면 상相은 재상보다 황태자에 비유하는 것이 더 어울릴 것 같다.
수기水氣는 목기의 부모이다. 수기의 전성기는 겨울이다. 겨울이 지나가고 봄이 되면 이제 수기의 자식인 목기가 뒤를 이어 시령을 얻고서 고명高明하고 혁혁赫赫한 지위에 오르게 되며, 이를 보고서 나를 생한 부모는 마땅히 기쁜 마음으로 물러갈 줄을 안다. 이 휴休자에는 쉬다 그만두다 끝나다 물러나다 그친다는 뜻도 있지만 편안하다 기뻐하다 좋다 훌륭하다 아름답다는 뜻도 있다. 이 때문에 휴자미지무극休者美之無極을 물러난 자는 그 아름다움이 끝이 없다고 해석한 것이고, 한가로워 일이 없다는 휴연무사休然無事의 뜻도 또한 같은 의미이며, 이 때문에 육십갑자의 우두머리인 갑장甲將이 중대한 업무를 모두 마치고 서북 건방에 개문과 동북 간방에 생문으로 좌우를 장엄하고 정북 감방의 휴문 곧 길상문에 주둔하여 쉬고 있는 것이다.
위 논문에서 금수金囚를 해석할 때 당령한 목기와 금기를 대비시키지 않고 목기의 자식인 화기火氣를 써서 금기金氣를 극제剋制한다고 말한다. 곧 당령한 목기는 화기를 발산하여 금기를 제압하기 때문에 금기가 木의 관귀官鬼 역할을 전혀 감당하지 못한다. 화기의 극제를 받으므로 금기를 펼쳐서 쓸 수 없는 모양이 바로 감옥에 갇혀 있는 죄수의 수囚자와 형상이 유사하여 금수金囚라 한 것이다. 봄에는 금기가 작동하기는 하지만 그 운기가 매우 미약하여 그 울타리를 조금도 벗어나지 못하는 것과 같다.
봄에 시령을 얻고서 사령司令하는 왕목旺木 앞에 가장 쇠약한 오행이 토기土氣이다. 초목이 대지를 뚫고 새싹이 솟아오르면 토기의 생기인 접착력이 티끌처럼 부서져 흩어지기 때문에 봄에 木이 土를 극하면 곧 죽는다고 말한 것이다. 목기가 사령하는 봄에 금수金囚의 금기는 미약하게 제한적으로나마 작동할 수는 있지만 토사土死의 토기는 일체 작동이 정지되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사멸死滅하여 없어진 것은 아니다.
봄의 시령 곧 춘령春令을 얻은 오행은 목기이고, 하령을 얻은 오행은 화기이며, 6월 미토월령을 얻은 오행은 토기이고, 가을 추령을 얻은 오행은 금기이며, 겨울 동령을 얻은 오행은 수기이다. 목화토금수 오행이 각 계절의 시령을 얻으면 왕기旺氣를 띠기 때문에 당해 오행을 왕旺이라 하는 것이다.
춘령을 얻은 오행은 목기이다. 시령을 얻은 오행이 생하면 상相이니 봄에는 목생화木生火하여 화상火相이 되고, 사령하는 오행을 생하면 휴休이니 수생목水生木하여 수휴水休가 되며, 사령하는 오행을 극하면 수囚이니 금극목金克木하여 금수金囚가 되고, 사령하는 오행이 극하면 사死이니 목극토木克土하여 토사木死가 되는 것이다. 다른 오행도 또한 이와 같다. 이를 간략하게 일컬으면 당령자왕当令者旺이고, 아생자상我生者相이며, 생아자휴生我者休이고, 극아자수克我者囚이며, 아극자사我克者死라고 외우면 편리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나는 일간의 오행이 아니고 월지의 오행을 말하는 것이다.
하령을 얻은 오행은 화기이다. 시령을 얻은 오행이 생하면 상相이니 여름에는 화생토火生土하여 토상土相이 되고, 사령하는 오행을 생하면 휴休이니 목생화木生火하여 목휴木休가 되며, 사령하는 오행을 극하면 수囚이니 수극화水克火하여 수수水囚가 되고, 사령하는 오행이 극하면 사死이니 화극금火克金하여 금사金死가 되는 것이다.
늦여름 상하 미토월은 토기가 사령하여 토왕土旺하고, 토생금土生金하여 금상金相이 되며, 화생토火生土하여 화휴火休가 되고, 목극토木克土하여 목수木囚가 되며, 토극수土克水하여 목사水死가 된다. 3월 진토월이나 9월 술토월 12월 축토월은 상하 6월과는 조금 다르다. 이에 대해서는 따로 장을 만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가을 추령을 얻은 오행은 금기이니 금왕金旺하고, 금생수金生水하여 수상水相이 되며, 토생금土生金하여 토휴土休가 되고, 화극금火克金하여 화수火囚가 되며, 금극목金克木하여 목사木死가 된다.
겨울 동령을 얻은 오행은 수기이니 수왕水旺하고, 수생목水生木하여 목상木相이 되며, 금생수金生水하여 금휴金休가 되고, 토극수土克水하여 토수土囚가 되며, 수극화水克火하여 화사火死가 되는 것이다.
삼명통회의 위 논문에서 사계절에 6월 미토월 장하를 추가하여 목화토금수 오행과 대비하며 왕상휴수사의 원의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이를 왕상휴수사의 원형으로 삼고자 한다.
4.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변형變形
인터넷에서 중국의 문헌을 찾아보면 대부분 왕상휴수사의 원형을 잘 따르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명리를 공부하는 학자들은 대부분 아래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변형에 의거하여 왕상휴수사를 설명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명리학자들이 삼명통회를 의거하여 공부하지 않고 적천수나 자평진전을 의거하여 공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아래에 왕상휴수사의 변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곧 첫째는 계절과 오행의 관계로 왕휴를 보고, 둘째는 계절과 왕휴의 관계로 오행을 보며, 셋째는 오행과 왕휴의 관계로 계절을 보는 것이다. 원형과 변형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원형은 한 계절을 중심하여 각 오행의 왕상휴수사하는 운기의 강약 차서를 말하는 것이고, 변형은 계절의 차서를 기준하여 오행의 왕상휴수사를 정하고 오행의 차서를 기준하여 계절의 왕상휴수사를 정하는 것이다.
아래 원형에 의거하면 봄에 목왕 화상 수휴 금수 토사하여 오행이 상생하는 목화토금수의 차서와 어긋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변형 1.의 사계절 중 봄에 기준하면 목화토금수에 왕상사수휴의 차서로 상응하고, 오행 중 목에 기준하면 춘하장하추동에 왕휴수사상의 차서로 상응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명리 학자들은 대부분 변형 1.에 의거하여 왕상휴수사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월령을 기준하면 봄일 경우 목화토금수 오행에 왕상사수휴의 차서로 배대하면 될 것이고, 일주 등 오행을 기준하면 갑을목일 경우 춘하장하추동에 왕휴수사상의 차서로 배대하면 될 것이다. 원형과 변형은 아래와 같다.
왕상휴수사의 원형
旺 |
相 |
休 |
囚 |
死 | |
봄 |
木旺 |
火相 |
水休 |
金囚 |
土死 |
여름 |
火旺 |
土相 |
木休 |
水囚 |
金死 |
늦여름 |
土旺 |
金相 |
火休 |
木囚 |
水死 |
가을 |
金旺 |
水相 |
土休 |
火囚 |
木死 |
겨울 |
水旺 |
木相 |
金休 |
土囚 |
火死 |
왕상휴수사의 변형 1. 계절과 오행의 관계로 왕휴를 본다
목 |
화 |
토 |
금 |
수 | |
봄 |
왕 |
상 |
사 |
수 |
휴 |
여름 |
휴 |
왕 |
상 |
사 |
수 |
늦여름 |
수 |
휴 |
왕 |
상 |
사 |
가을 |
사 |
수 |
휴 |
왕 |
상 |
겨울 |
상 |
사 |
수 |
휴 |
왕 |
왕상휴수사의 변형 2. 계절과 왕휴의 관계로 오행을 본다
왕 |
상 |
사 |
수 |
휴 | |
봄 |
목 |
화 |
토 |
금 |
수 |
여름 |
화 |
토 |
금 |
수 |
목 |
늦여름 |
토 |
금 |
수 |
목 |
화 |
가을 |
금 |
수 |
목 |
화 |
토 |
겨울 |
수 |
목 |
화 |
토 |
금 |
왕상휴수사의 변형 3. 오행과 왕휴의 관계로 계절을 본다
왕 |
상 |
사 |
수 |
휴 | |
목 |
봄 |
겨울 |
가을 |
늦여름 |
여름 |
화 |
여름 |
봄 |
겨울 |
가을 |
늦여름 |
토 |
늦여름 |
여름 |
봄 |
겨울 |
가을 |
금 |
가을 |
늦여름 |
여름 |
봄 |
겨울 |
수 |
겨울 |
가을 |
늦여름 |
여름 |
봄 |
5. 사계토월의 변형
정기 18일 |
목 |
화 |
토 |
금 |
수 |
진토월 정기 |
旺囚 |
相休 |
死旺 |
囚相 |
休死 |
미토월 정기 |
(休)囚 |
(旺)休 |
(相)旺 |
(死)相 |
(囚)死 |
술토월 정기 |
死囚 |
囚休 |
休旺 |
旺相 |
相死 |
축토월 정기 |
相囚 |
死休 |
囚旺 |
休相 |
旺死 |
진술축미 사계토월 중에 정기 18일은 토기가 사령하기 때문에 72일이 모두 왕기를 띤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진술축미 토월이 모두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의 목화금수 운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왕기에도 또한 차등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일단 진술축미월 모두 토기는 왕기旺氣를 띠게 될 것이고, 금기는 상기相氣를 띠게 될 것이며, 수기水氣는 사기死氣를 띠게 될 것이고, 목기는 수기囚氣를 띠게 될 것이며, 화기는 휴기休氣를 띠게 될 것이다. 여기에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과 오행과의 관계에서 왕휴를 살펴서 전후로 조합하면 위 도표와 같게 될 것이다. 다만 미토월의 경우 여름에 배속해 보면 휴수 왕휴 상왕 사상 수사가 될 것이고, 독립된 상하 늦여름의 계절로 보면 수 휴 왕 상 사가 될 것이다. 휴왕休旺 수왕囚旺 사왕死旺은 그 운기가 상왕相旺 또는 왕가보다는 쇠약하지만 상기보다는 더 왕성하다고 본다. 다른 오행의 운기도 가감해서 보면 될 것이다.
6. 각 월의 여기와 중기 사령의 왕휴
목 |
화 |
토 |
금 |
수 | |
인월 무토 여기 |
旺囚 |
相休 |
死旺 |
囚相 |
休死 |
인월 병화 중기 |
旺休 |
相旺 |
死相 |
囚死 |
休囚 |
진월 계수 중기 |
旺相 |
相死 |
死囚 |
囚休 |
休旺 |
사월 무토 여기 |
休囚 |
旺休 |
相旺 |
死相 |
囚死 |
사월 경금 중기 |
休死 |
旺囚 |
相休 |
死旺 |
囚相 |
오월 기토 중기 |
休囚 |
旺休 |
相旺 |
死相 |
囚死 |
미월 정화 중기 |
休休 |
旺旺 |
相相 |
死死 |
囚囚 |
신월 무토 여기 |
死囚 |
囚休 |
休旺 |
旺相 |
相死 |
신월 임수 중기 |
死相 |
囚死 |
休囚 |
旺休 |
相旺 |
술월 정화 중기 |
死休 |
囚旺 |
休相 |
旺死 |
相囚 |
해월 무토 여기 |
相囚 |
死休 |
囚旺 |
休相 |
旺死 |
해월 갑목 중기 |
相旺 |
死相 |
囚死 |
休囚 |
旺休 |
축월 신금 중기 |
相死 |
死囚 |
囚休 |
休旺 |
旺相 |
이 ‘6. 각 월의 여기와 중기 사령의 왕휴’의 항도 또한 앞 ‘5. 사계토월의 변형’의 항과 동일하게 판단하면 될 것이다.
7. 결론
삼명통회에 의거하여 왕상휴수사의 원의를 궁구해 보았고, 원형과 변형을 함께 살펴보았다. 위 ‘5. 사계토월의 변형’의 항과 ‘6. 각 월의 여기와 중기 사령의 왕휴’의 항은 처음 시도해 본 것이다. 자연의 원리에 달통한 고사가 본다면 실로 허물이 매우 많을 것이다. 다만 고사의 가르침이 있기를 고대하며 이 글을 끝마치고자 한다.
'풍수지리(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 (0) | 2013.01.31 |
---|---|
[스크랩] 수리론(數理論) (0) | 2013.01.31 |
[스크랩] 황제내경 운기 제67편(오운행대론) (0) | 2013.01.31 |
[스크랩] 운기편 제66편(천원기대론) (0) | 2013.01.31 |
[스크랩] 운기편 제66편(천원기대론) (0) | 201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