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연재 배삼익(臨淵齋 裵三益)
1534(중종 29)∼1588(선조 2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여우(汝友), 호는 임연재(臨淵齋). 좌통례(左通禮) 이순(以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헌(獻)이고, 아버지는 충좌위부사과(忠佐衛副司果) 천석(天錫)이다. 어머니는 연일 정씨(延日鄭氏)로 세호(世豪)의 딸이다.
안동에서 세거했으며,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 생원이 되고, 1564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의 학유(學諭)·학록(學錄)·학정(學正)·박사를 거쳐 호조좌랑이 되었다. 1575년(선조 8)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형조정랑이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외직인 풍기군수와 양양부사를 지내고, 1583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냈다. 뒤에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사헌부헌납 겸 춘추관기주관(司憲府獻納兼春秋館記注官) 등을 역임하였다.
1585년 겨울,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이래 상호군(上護軍)이 되었다. 1587년 진사사(陳謝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다음 해 황해도에 흉년이 들자, 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황해도관찰사로 구황에 힘쓰다 병이 깊어 사직하고 돌아오는 길에 죽었다.
대성(臺省)에 있으면서 같은 성씨끼리의 혼인을 금할 것을 주청해 조정에서 한때 찬반론이 격렬해지기도 하였다. 황해도관찰사 시절에는 병든 몸을 위해 올리는 쇠고기를 금육(禁肉)이라 하여 끝내 사양하는 강직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외직에 있으면서 특히 석채(釋菜 : 문묘에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 석전제) 등의 제사를 지내는 일에 정성을 기울였는데, 그가 지내는 기우제에 곧잘 효험이 나타났었다. 장서가로 후세까지 이름을 남겼으며, 필법이 힘찼다.
저서로는 시문집인『임연재선생문집(臨淵齋先生文集)』6권이 있다.
묘소 입구에 세워져 있는 임연재 배삼익의 신도비각
임연재배삼익의 신도비명은 서애류성룡선생이 찬 하였다
서애 류성룡선생이찬한 임연재 배삼익 선도비명
고(故) 통정 대부(通政大夫) 수황해도 관찰사(守黃海道觀察使) 겸 병마 수군 절도사(兵馬水軍節度使) 배공(裵公) 여우(汝友, 배삼익의 자(字)임)가 세상을 떠난 7년 뒤 그 아들 세자 익위사 세마(世子翊衛司洗馬) 배용길(裵龍吉)이 공의 행장(行狀)을 가지고 나의 집에 와서 묘도명(墓道銘)을 구하였다. 내 읽고 나서 슬퍼하여 말하기를, “나는 단지 후사(後死)일 뿐이나 여우를 아는 자가 나만한 이가 없으니, 내가 여우의 명(銘)을 짓지 아니하고 누가 짓겠는가? 그러나 돌아보건대 나는 노쇠하고 병들어 필력(筆力)이 없으니 여우의 사적에 대해 펼쳐서 드러나게 하지를 못하는데에야 어찌하겠는가?” 하였는데, 배용길이 청하기를 더욱 견고히 하므로 차마 끝내 사양하지 못하여 이에 먼저 공의 평생의 일을 서술하고 뒤에 행장(行狀)에 의거하여 말한 다음 이어 명(銘)을 붙인다.
아! 내 나이 열 여섯에 처음 한성감시(漢城監試)를 보았는데, 그해 가을 여우도 시골에서 와서 참연(嶄然)히 두각을 드러내 이미 동료들의 추앙하는 바가 되었다. 고금(古今)의 일을 논할 때는 종횡 무진 막힘이 없었으며, 글을 낭독하는 소리는 크고 시원하여 주위 사람들이 놀라고 탄복하였는데, 나도 즐거운 마음으로 사모하여 날마다 공의 처소에 가서 공의 이야기를 들었다. 원(院)에 들어가는 저녁에 나는 여우가 머물고 있는 곳으로 갔는데 구가(九街)에 사람들은 조용하였고 달은 밝아 마치 그림과 같았으며 종루(鐘漏)의 소리가 밤새도록 들렸다. 닭이 울자 여우는 나를 발로 차 일어나게 하여 함께 말을 타고 원에 도착해 뜰 가운데 있는 큰 홰나무 아래 멈춰 불빛 속에 푸른 잎들을 우러러 바라보니 층층이 우거진 게 가히 사랑스러웠다.
시제(試題)가 나오자 여우는 그다지 생각하지도 않고 날이 저물기 전에 두 편 모두를 완성하고도 왕성하게 힘이 남아 있었다. 내가 시(詩)를 완성하고도 옮겨 적지 못하고 있자 여우가 대신 써주었다. 탁명(坼名)하여 이름을 부르자 나는 다행히 합격했지만 여우는 뜻을 펴지 못하고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내가 다시 술을 가지고 가 큰길에서 전송할 때 ‘요행과 불행’이라는 말로 작별하였다. 이로부터 우정이 날로 친밀해져 만나지 못하면 그리워하고 만나서는 서로 갈 바를 잊으며 여러 날을 떠나지 못했다. 이제 여우는 없고 나 또한 늙었으니, 이 생(生)에 어찌 다시 이런 일이 있겠는가? 슬프구나.
행장을 살펴보건대, 배씨(裵氏)는 흥해인(興海人)으로 고려(高麗) 때 배경분(裵景分)이란 분은 검교 장군(檢校將軍)이 되었고 4대를 지나 배영지(裵榮至)가 전리 판서(典理判書) 평양윤(平壤尹)이 되었으며 그 아들 배전(裵詮)이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 두 임금을 섬겨 성근 선력 익대 좌명공신(誠勤宣力翊戴佐命功臣)의 호(號)를 받고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지니, 흥해 배씨(興海裵氏)는 이로 말미암아 더욱 현달(顯達)하게 되었다. 아들 배상지(裵尙志)는 벼슬이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에 이르렀고 높은 절의와 원대한 식견이 있었으나 어떤 일로 인해 벼슬을 버리고 돌아왔는데, 그 때는 고려(高麗)의 왕업(王業)도 이미 끝난 때였으므로, 드디어 안동부(安東府) 금계촌(金鷄村)에 은거(隱居)하면서 당(堂)을 백죽(柏竹)이라 이름하여 스스로 그 뜻을 보이며 일생을 마쳤다. 백죽(柏竹)의 후손으로는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배권(裵權), 녹사(錄事) 배효장(裵孝長), 소위 장군(昭威將軍) 휘(諱) 임(袵)이 있으니, 임은 실로 공의 고조(高祖)이다. 증조(曾祖)는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휘 이순(以純)으로 통훈 대부(通訓大夫)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에 추증되었고, 조(祖)는 성균관 생원(成均館生員) 휘 헌(巘)으로 통정 대부(通政大夫)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되었다. 고(考)는 휘 천석(天錫)이니,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로서 가선 대부(嘉善大夫)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고, 비(妣)는 영일 정씨(迎日鄭氏)로 정부인(貞夫人)에 추증되었으니, 3대가 모두 공으로 인해 존귀함을 입었다.
공은 무오년(戊午年, 1558년 명종 13년)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고 갑자년(甲子年, 1564년 명종 19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처음 관직에 나갔다. 성균관(成均館)의 학유(學諭) 학록(學錄)ㆍ학정(學正)ㆍ박사(博士)를 거쳐 호조 좌랑(戶曹佐郞)에 올랐다. 계유년(癸酉年, 1573년 선조 6년)에 참판공(參判公, 배천석(裵天錫))의 상(喪)을 당하여 을해년(乙亥年, 1575년 선조 8년)에 복입기를 마치자 형조(刑曹)ㆍ예조(禮曹)의 좌랑(佐郞) 및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형조 정랑(刑曹正郞)에 임명했으나 모두 취임(就任)하지 않았으며, 다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으로 교지(敎旨)를 내려 특별히 불렀으나 병(病)으로 사양하고 외직(外職)인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옮겨 부임하여 임기를 채우고 고향에 돌아오자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에 임명했는데, 부임하지 않았다. 신사년(辛巳年, 1581년 선조 14년)에 양양 부사(襄陽府使)에 임명하였다가 계미년(癸未年, 1583년 선조 16년)에 소환되어 내직(內職)에 들어와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이 되었다. 얼마 되지 않아서 바뀌어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가 되었으며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직강(直講),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으로 있다가 다시 사예ㆍ장령이 되었고,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겸 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으로 옮겼다가 갑자기 뽑혀서 홍문관(弘文館)에 들어가 수찬(修撰) 지제교(知製敎) 겸 경연(經筵) 검토관(檢討官),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이 되었고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에 올랐다. 다시 옥당(玉堂)으로 들어가 부교리(副校理)가 되었으며 다시 장령(掌令)ㆍ사간(司諫)에 임명되었다. 을유년(乙酉年, 1585년 선조 18년) 겨울에 통정 대부(通政大夫)에 올라 승정원 동부승지 (承政院同副承旨) 겸 경연 참찬관(經筵參贊官), 춘추관 수찬관(春秋館修撰官)이 되었는데, 출납(出納)이 적절하고 마땅하다 하여 우부승지(右副承旨)ㆍ좌부승지(左副承旨)에 승진되었다. 얼마 되지 않아 상호군(上護軍)이 되었고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에 임명되었다가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으로 전임(轉任)되었다.
당시에 사신(使臣)으로 명(明)나라에 간 사람 가운데 적당치 못한 사람이 많아서 어떤 이는 길에서 방물(方物)을 잃어버리기도 하고 또 어떤 이는 옥하관(玉河館)에 불을 내기도 하였다. 조정(朝廷)에서 황공하여 사신을 가려서 진사(陳謝)하려 했는데, 공이 뽑히게 되었다. 공은 떠나게 되자 선비를 양성하는 곳의 장관(長官) 자리를 오래 비워 둘 수가 없다 하여 대사성(大司成)을 사직(辭職)하고 추부 첨지사(樞府僉知事)가 되어 떠났으며, 돌아와 우승지(右承旨)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다.
당시 황해도(黃海道)에 해마다 흉년이 이어져 조정의 의논이 ‘황정(荒政)이 시급하니 감사(監司)를 가려서 임명해야 구제(救濟)할 수 있다.’ 하여 마침내 공을 관찰사(觀察使)로 삼았다. 때에 공은 병이 낫지 않았는데도 병을 무릅쓰고 길을 떠나 여러 고을을 순행하면서 노고(勞苦)를 꺼리지 않았는데, 병이 마침내 심해져서 거듭 사임하여 체직되었으나 돌아오다가 길에서 세상을 마치니, 향년(享年) 55세였다. 부음(訃音)이 들리자 원근(遠近)에서 서로 조문(弔問)하였고 조정에서는 예에 따라 부의(賻儀)를 보내 제사지냈으며, 일로(一路)에 배와 수레를 내려보내어 그 행렬을 호위케 하였다. 그해 10월 기사일(己巳日)에 안동부 북쪽 내성현(奈城縣) 호애산(虎崖山) 묘좌 유향(卯坐酉向)의언덕에 장사지내니, 곧 참판공의 묘소 뒤로, 공의 유명(遺命)에 따른 것이다.
공은 어려서 대부인(大夫人)을 여의고 집은 가난했으나 능히 힘써 배우고 스스로 분발하며 성장하였다. 처음 벼슬길에 나아가서는 직무(職務)에 임하여 삼가고 부지런했으며 매사를 모두 분명하게 처리했는데,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어서는 아전들을 엄하게 다스리고 몸가짐이 검소하였으며 어질게 백성들을 어루만지니, 처음에는 강경한 자들이 자못 좋아하지 않았으나 몇 년 만에 고을 사람들이 공의 치적을 칭송하였고, 공이 떠난 뒤에도 공을 사모함이 많이 남아 있었다.
양양(襄陽)은 바닷가에 있는 고을로 토속(土俗)이 순박해 공은 풍속에 따라 다스리면서 이에 다시 너그럽고도 대범하게 이끌어 쇠잔한 것을 살리고 피폐한 것을 일으키니, 선정(善政)의 소문이 더욱 자자하였다. 더욱 제사를 중시(重視)하여 문묘(文廟)의 석전제(釋奠祭), 사직(社稷) 및 성황(城隍)의 여제(厲祭)에 이르기까지 모두 친히 주제(主祭)하였으며, 매년 동해신(東海神)에 제사지냈다. 축책(祝冊)이 경사(京師)로부터 오면 공은 경건하고 엄숙하게 받들어 행함에 있어 더욱 엄하게 삼갔으므로, 비가 내리기를 기도하면 응함을 받은 일이 많았으며, 성황사(城隍祠)에 들어갔을 때 촌무(村巫)가 지전(紙錢)으로 내부를 어지럽혀 놓았거늘 공이 거두어 불태우라고 명한 뒤 땅을 쓸고 제사를 지냈다.
북쪽에 변고가 있자 남방의 곡식을 운반하여 군량을 공급하였는데, 어떤 이가 큰 배를 만들어 바다로 실어 나를 것을 건의한 자가 있어 파도가 순조롭지 못하여 번번이 빠뜨리게 되자 백성들이 매우 괴로워하므로, 공이 그 폐단을 알고서 장령(掌令)에 임명되어 조정에 돌아와서는 즉시 임금께 말씀드려 이를 파하도록 청했다. 또 동성(同姓)끼리 혼인하는 것을 금하도록 청했는데, 조정의 의논이 갈라져 둘이 되자 기회를 이용하는 자들이 많이 단서를 만들어 공격해서 사류(士類)들을 해치므로 공이 심히 우려하였으니, 그가 벼슬길에 올라 언론(言論)함이 과격하지도 따르지도 않았기에 아는 이들은 공이 뜻을 세우고 있음을 알았다. 또 관계(官階)를 무시하고 대사헌[憲長]에 오른 자가 있어 모두가 놀라고 이상하게 여기면서도 감히 말하지 못했는데, 공이 간원(諫院)에 있으면서 홀로 말하기를, “화복(禍福)은 하늘에 있는 것이니, 마땅히 내가 해야 할 것을 다할 것이다.” 하고 드디어 그 일을 논핵(論劾)하였다. 또 주인(主人)을 모함하여 거짓 공훈을 얻은 자의 명적(名籍)을 삭제할 것을 아뢰니 사람들이 모두 통쾌히 여겼다. 공이 경사(京師)에 진사(陳謝)했을 때는 황제의 칙명으로 포장을 받고 또 망룡의(蟒龍衣)를 받아 가지고 돌아오자 임금이 가상히 여겨 말하기를, “사신으로 가서 독단으로 응대(應對)할 만한 충성이 아니었다면 어찌 이를 얻었으리요?” 하고 내구마(內廐馬)를 내려 주었다.
황해도(黃海道)에 있을 때는 창고를 열어 굶주린 백성을 구휼함에 있어 구획과 조리가 극진하였으므로, 이에 힘입어 살게 된 사람은 그 수를 헤아릴 수가 없다. 이윽고 병으로 몹시 쇠약해지자 그 아들 배용길(裵龍吉)이 쇠고기가 쇠약한 몸을 보할 수 있다 하여 구해서 올리니, 공이 이를 물리치면서 말하기를, “내가 한 지방의 풍속과 법을 잡고 있으면서 먼저 금육(禁肉)을 먹는 것이 옳겠느냐? 네 애비를 잘못에 빠뜨리지 말아라.” 하였다. 아! 공은 한 보잘것없는 음식에 있어서도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 뜻을 바꾸지 않으니, 다른 것은 알 만할 것이다.
대개 공은 가정 생활에서 효성이 지극하여 항상 녹(祿)이 공양(供養)함에 미치지 못한 것을 평생의 한으로 여기어 말이 이에 미치면 문득 눈물을 흘렸다. 참판공의 병 수발을 들 때는 옷에서 띠를 풀지 않았고 약은 반드시 먼저 맛보았으며, 초상(初喪)과 제사(祭祀)에 슬픔과 예(禮)를 다하였다. 묘 곁에 여막(廬幕)을 짓고 3년 동안 집에 내려오지 않았으며, 여러 아우들과도 우애 있게 지내어 남들이 미치기 어려운 바가 많았으니, 사업(事業)에 베푼 것이 대개 근본이 있어서 그러한 것이지 우연히 그러한 것이 아니었다. 만년(晩年)에는 도목촌(桃木村)에 터를 잡아 집을 짓고 낙수(洛水)의 언덕 위에 정자를 지어 ‘산수정(山水亭)’이라 이름하였다. 또 그 집을 ‘임연재(臨淵齋)’라 이름을 붙이고서 왕왕 벗들과 술을 마시고 시(詩)를 읊었는데, 벼슬길에서 물러나 쉬며 일생을 마칠 뜻을 가졌다.
공의 배(配)는 영양 남씨(英陽南氏)이니, 처사(處士) 남신신(南藎臣)의 따님으로 정부인(貞夫人)에 봉해졌다. 2남 2녀를 낳았는데, 장남 배용길(裵龍吉)은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여 추천으로 익위사(翊衛司)의 벼슬이 제수되었고, 막내는 배용필(裵龍弼)인데 일찍 죽었다. 딸은 모모(某某)에게 시집갔다. 이에 다음과 같이 명(銘)을 쓴다.
하늘에서 얻은 것이 바탕이 아니랴? 자기 몸에 이룬 것이 학문이 아니랴? 이름으로 드러나는 것이 때가 아니랴? 이 모든 것을 온전히 갖기란 심히 어려운 일이라서 장차 크게 쓰임이 있을 듯하였는데, 어찌 여기에 그치고 만다는 말인가? 그 베풂을 다하지 못했지만 오히려 남은 경사가 있음을 이 명시(銘詩)에서 징험하리라.
묘역 전경-조부 헌(巘)묘(전)-부 배천석 묘(중)-임연재 배삼익 묘(후)
임연재 배삼익 묘 전경
신도비명은 서애 류성룡선생이 찬하였고 묘지명은 월사 이정구선생이 찬 하였다
임연재의 考 배천석(天錫)묘-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로서 가선 대부 병조 참판에 추증되었다.
배천석 묘비
배천석 묘비 탁본-중앙박물관자료인용
임연재의 조부 헌(巘) 묘(전)와 부 배천석 묘(후)
조부 배헌(巘)묘-성균생원으로서 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에 추증되었다.
증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흥해배공지묘
'여행이야기(경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북 칠곡] 백선엽장군전적비 (0) | 2015.09.29 |
---|---|
[스크랩] [경북 봉화] 닭실마을 미수 허목 선생 글씨 청암수석(靑?水石) (0) | 2015.09.29 |
[스크랩] [경북 칠곡] 칠곡군수 일화 최현달(一和 崔鉉達) 선정비와 묘-경주최씨 (0) | 2015.09.29 |
[스크랩] [경북 상주] 동아제약 창업주 강중희(姜重熙)묘-진주강씨 (0) | 2015.09.29 |
[스크랩] [경북 문경] 조선의 명당 연주패옥과 말무덤 (0) | 2015.09.29 |